본 연구는 조직구성원이 업무과부하의 원인을 어떻게 귀인하는지에 따라 삶의 질 및 조직유효성 변수에 미치는 영향이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살펴보았다. 한국행정연구원에서 발행한 2018 공...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7181305
2020
Korean
업무과부하 ; 귀인이론 ; 직무만족 ; 조직몰입 ; 삶의 질 ; work overload ; attribution theory ; job satisfaction ; organizational commitment
KCI등재
학술저널
107-126(20쪽)
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조직구성원이 업무과부하의 원인을 어떻게 귀인하는지에 따라 삶의 질 및 조직유효성 변수에 미치는 영향이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살펴보았다. 한국행정연구원에서 발행한 2018 공...
본 연구는 조직구성원이 업무과부하의 원인을 어떻게 귀인하는지에 따라 삶의 질 및 조직유효성 변수에 미치는 영향이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살펴보았다. 한국행정연구원에서 발행한 2018 공직생활실태조사의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이유 여하를 막론하고 업무과부하는 삶의 질을 저해하는 반면, 직무만족, 업무성과, 조직몰입, 조직시민행동 등에 미치는 영향은 원인에 따라 다소 상이한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특히 부서의 인력이 부족하여 업무가 과중하다고 느끼는 경우에는 오히려 직무만족, 직무성과, 조직시민행동이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현행 주 52시간 근무제도에 대한 정책적 함의를 논의하였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s how the effects of work overload differ depending on individual’s attribution outcome. Analyzing the data from the Korea Institute of Public Administration, we found that although work overload negatively affects the quality ...
This study investigates how the effects of work overload differ depending on individual’s attribution outcome. Analyzing the data from the Korea Institute of Public Administration, we found that although work overload negatively affects the quality of life regardless of its cause, its effects on job attitudes such as satisfaction, commitment, and citizenship behavior considerably differ depending on how individuals attributes the current job situation. Particularly interesting is the finding that positive job attitudes increases if the reason for work overload is because their workunit has a insufficient manpower. The implications for current labor policy in Korea is discussed.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배규식, "한국의 장시간 노동과 근로시간 단축" 7-18, 2013
2 유민봉, "팀제 조직관리 도입의 실효성 분석과 효과성 제고방안 연구 : 정부투자기관을 대상으로" 35 (35): 157-177, 2001
3 양춘희, "직무스트레스요인이 직무소진과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인적자원개발학회 18 (18): 129-151, 2015
4 김경의, "유아교사의 사회적 지지와 직무만족도 및 조직 몰입과의 관계"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15 (15): 323-341, 2014
5 이재완, "워라밸과 삶의 만족: 세대 간 차이를 중심으로" 한국지방정부학회 22 (22): 267-291, 2018
6 김현근, "역할과부하와 일-가정균형만족의 관계에서 가정 친화적 조직지원인식과 가정 친화적 상사지원인식의 조절효과" 한국인적자원관리학회 25 (25): 19-40, 2018
7 최병권, "업무과부하, 직무소진, 이직의도의 관계에서 직무자율성과경력성장기회의 조절효과" 한국인사관리학회 37 (37): 145-170, 2013
8 김병조, "삶의 질 높이고, 초과근로 줄이고, 일자리 늘리는탄력정원제 도입한 한국동서발전!" 한국중소기업학회 21 (21): 163-168, 2018
9 장해순, "뉴스콘텐츠 제작자들의 역할스트레스와 심리적 탈진감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 10 (10): 209-218, 2010
10 강가원, "기혼 직장인의 직무과부하, 심리적 분리, 일-가정 갈등, 삶의 만족도간의 구조적 관계" 한국상담학회 17 (17): 419-440, 2016
1 배규식, "한국의 장시간 노동과 근로시간 단축" 7-18, 2013
2 유민봉, "팀제 조직관리 도입의 실효성 분석과 효과성 제고방안 연구 : 정부투자기관을 대상으로" 35 (35): 157-177, 2001
3 양춘희, "직무스트레스요인이 직무소진과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인적자원개발학회 18 (18): 129-151, 2015
4 김경의, "유아교사의 사회적 지지와 직무만족도 및 조직 몰입과의 관계"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15 (15): 323-341, 2014
5 이재완, "워라밸과 삶의 만족: 세대 간 차이를 중심으로" 한국지방정부학회 22 (22): 267-291, 2018
6 김현근, "역할과부하와 일-가정균형만족의 관계에서 가정 친화적 조직지원인식과 가정 친화적 상사지원인식의 조절효과" 한국인적자원관리학회 25 (25): 19-40, 2018
7 최병권, "업무과부하, 직무소진, 이직의도의 관계에서 직무자율성과경력성장기회의 조절효과" 한국인사관리학회 37 (37): 145-170, 2013
8 김병조, "삶의 질 높이고, 초과근로 줄이고, 일자리 늘리는탄력정원제 도입한 한국동서발전!" 한국중소기업학회 21 (21): 163-168, 2018
9 장해순, "뉴스콘텐츠 제작자들의 역할스트레스와 심리적 탈진감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 10 (10): 209-218, 2010
10 강가원, "기혼 직장인의 직무과부하, 심리적 분리, 일-가정 갈등, 삶의 만족도간의 구조적 관계" 한국상담학회 17 (17): 419-440, 2016
11 유미애, "기혼 간호사의 직장-가정 갈등, 사회적 지지, 직무만족도 및 조직몰입간의 관계" 기본간호학회 16 (16): 515-523, 2009
12 김의석, "근무환경과 사회지지가 어린이집 교사의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직무만족도와 업무스트레스를 매개로"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8 (18): 25-41, 2013
13 박정선, "근로자의 뇌.심혈관질환의 업무관련성에 대한 고찰" 대한직업환경의학회 17 (17): 288-296, 2005
14 곽상종, "고객센터에서 상담사의 직무탈진감이 고객지향성, 직무만족 및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경영학회 39 (39): 541-576, 2010
15 Lin, Y. C., "The effects of positive affect, person-job fit, and well-being on job performance" 42 (42): 1537-1547, 2014
16 Calder, B. J., "Self-perception of intrinsic and extrinsic motivation" 31 (31): 599-605, 1975
17 Chhabra, B., "Person–job fit: Mediating role of job satisfaction & organizational commitment" 638-651, 2015
18 Thompson, J. D., "Organizations in action: Social science bases of administrative theory" Transaction publishers 2003
19 Vigoda, E., "Organizational politics, job attitudes, and work outcomes : Exploration and implications for the public sector" 57 (57): 326-347, 2000
20 AbuAlRub, R. F., "Job stress, job performance, and social support among hospital nurses" 36 (36): 73-78, 2004
21 Kumar, R., "Job satisfaction among public health professionals working in public sector : a cross sectional study from Pakistan" 11 (11): 1-5, 2013
22 Kock, J. K., "Job attachment, satisfaction, and turnover among public employees" 12 : 119-128, 1978
23 Brush, D. H., "Individual demographic differences and job satisfaction" 8 (8): 139-155, 1987
24 Skaalvik, E. M., "Does school context matter? Relations with teacher burnout and job satisfaction" 25 (25): 518-524, 2009
25 Hackman, J. R., "Development of the job diagnostic survey" 60 (60): 159-170, 1975
26 Salami, S. O., "Demographic and psychological factors predicting organizational commitment among industrial workers" 10 (10): 31-38, 2008
27 Bahrami, M. A., "Demographic Determinants of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among Hospital Employees" 5 (5): 2013
28 Rainey, H. G., "Comparing public and private organizations" 36 (36): 233-244, 1976
29 Weiner, B., "Attribution theory, achievement motivation, and the educational process" 42 (42): 203-215, 1972
30 Kelley, H. H., "Attribution in social interaction" Lawrence Erlbaum Associates, Inc 1987
31 Demerouti, E., "A model of burnout and life satisfaction amongst nurses" 32 (32): 454-464, 2000
정부R&D예산지출의 변동요인 분석: 일본의 수출규제 사례를 중심으로
지방정부 인구 이동의 요인 탐색: 서울시 25개 자치구의 공공서비스를 중심으로
구직자의 행동변화를 기준으로 한 구직활동과정의 메커니즘 분석: Vroom의 기대이론을 적용하여
노년기 자원봉사활동이 건강과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노후준비 4대 영역을 중심으로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2-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1999-07-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17 | 1.17 | 1.31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26 | 1.18 | 1.419 | 0.4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