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메타휴먼 크리에이터를 활용한 디지털 휴먼 워크플로우 - XR 오페라 <대가들의 수다>의 디지털 휴먼 ‘휴(HUE)’를 중심으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35715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디지털 이미징 기술의 고도화와 네트워크 기술의 발달, 그리고 온라인 소셜 인터랙션의 증가로 인해 메타버스가 주목받고 있 다. 메타버스를 구성하는 요소는 여러 가지가 있지만, 그중에서...

      디지털 이미징 기술의 고도화와 네트워크 기술의 발달, 그리고 온라인 소셜 인터랙션의 증가로 인해 메타버스가 주목받고 있 다. 메타버스를 구성하는 요소는 여러 가지가 있지만, 그중에서도 주목받고 있는 것은 가상 인간이라고도 불리는 디지털 휴먼 이다. 컴퓨터 그래픽 기술로 만들어진 가상 인간은 국내 최초 버추얼 휴먼 아담부터 현재의 '로지', <수아> 등 여럿 존재하며, 메타버스와 소셜미디어를 중심으로 활동하고 있다. 현재 제작 기술의 발전으로 실제 인물과 구분하기 힘들 정도의 디지털 휴 먼을 제작할 수 있게 되었고, 제작 기술의 발전에 따라 제작비와 제작 기간 또한 낮출 수 있다. 예로 2022년 9월 4일, 성남문 화재단의 예술인 창작 활동 지원을 받아 제작된 창작 음악극 <대가들의 수다>가 공연되었다. 성남아트센터 앙상블시어터에서 진행된 본 창작극에서는 XR 제작기업 ㈜감성놀이터의 디지털 휴먼 휴(HUE) 출연 프로젝트가 포함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문 헌 조사를 통해 디지털 휴먼의 정의를 살피고, 결과물 대비 비용과 시간을 단축하여 제작된 디지털 휴먼 '휴(HUE)'의 제작 워크플로우를 알아본다. 이를 통해 실질적이고 효과적인 디지털 휴먼의 제작 프로세스를 제시한다. 연구 결과, 메타휴먼 크리 에이터를 활용하여 기존의 워크플로우보다 짧은 시간 내에 디지털 휴먼을 제작할 수 있었으며, 메쉬 투 메타휴먼 기술로 원하 는 외형을 자유롭게 제작할 수 있었다. 또 모션캡처 기술과 라이브링크로 연기자의 표정과 행동을 실시간으로 송출할 수 있는 프로세스를 구상하였다. 본 연구는 발전하는 디지털 시대에 XR 음악창작극을 통해 기존의 디지털 휴먼 워크플로우보다 현저 히 단계를 줄인 하나의 워크플로우를 제시함으로써 디지털 휴먼 제작의 접근성을 높이고, 신생 기업이나 유튜브 크리에이터 등 1인 창작자들을 위한 새롭고 효과적인 디지털 휴먼 제작 방안을 제시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With digital imaging technologies, network technology, and the increase in online social interactions, the Metaverse is attracting attention. Many elements make up the Metaverse, but among them, a digital human, also called a virtual human, is attract...

      With digital imaging technologies, network technology, and the increase in online social interactions, the Metaverse is attracting attention. Many elements make up the Metaverse, but among them, a digital human, also called a virtual human, is attracting attention. Virtual humans created by computer graphics technology exist from the first virtual human 'Adam' to the current 'Rosie' and 'Sua' and are active mainly in the Metaverse and on social media. Currently, with the help of many technology advances, it has become possible to produce digital humans that are difficult to distinguish from real people, and the production cost and creation period are also reduced. For example, on September 4 of 2022, the musical ‘Chats of the Masters’ was performed with the support of the Seongnam Foundation for Arts and Culture. This musical, which was held at Seongnam Art Center Ensemble Theater, included a project to appear in Digital Human 'Hue' of Emotion Playground, an XR production company. Therefore, in this study, the definition of a digital human is examined through a literature review, and the production workflow of the digital human 'HUE' produced by reducing the cost and time compared to the result is studied. Through this, a practical digital human production process is presented. As a result of this study, it is now possible to create a digital human in less time than required in the existing workflow by using the metahuman creator tool, freely creating the desired appearance with a mesh to metahuman technology. In addition, we envisioned a process that can transmit the facial expressions and actions of actors in real time with motion capture technology and Live Link. This study, in the ever-growing digital era, proposes a workflow that significantly reduces the required steps compared to the existing digital human workflow through the aforementioned musical creation drama, thereby increasing the accessibility to digital human production by single-person creators, such as startup companies and YouTube creators. A new and effective digital human production method for everyone is presented.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Abstract
      • 국문초록
      • 1. 서론
      • 1.1. 논문의 배경
      • 1.2. 연구방법
      • Abstract
      • 국문초록
      • 1. 서론
      • 1.1. 논문의 배경
      • 1.2. 연구방법
      • 2. 메타휴먼 휴의 접근 방안
      • 2.1. 디지털 휴먼 휴
      • 2.2. 메타휴먼 크리에이터
      • 2.3. 메시 투 메타휴먼
      • 3. <대가들의 수다> 활용 기술
      • 3.1. 모션캡처
      • 3.2. 페이셜 기술
      • 3.3. 메타휴먼 크리에이터 활용
      • 4. 결론
      • 참고문헌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