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교폭력은 한국사회의 뜨거운 감자이다. 학교폭력에 대한 염려가 일상적인 사회는 삶의 기본 안전망 자체가 흔들리는 사회이기 때문이다. 학교폭력의 예방대책은 학생들로 하여금 세상...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99777705
2013
Korean
학교폭력 ; 공감 ; 도덕교육 ; 인정 ; 물화 ; School Violence ; Empathy ; Moral Education ; Recognition ; Reification
KCI등재
학술저널
507-527(21쪽)
9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학교폭력은 한국사회의 뜨거운 감자이다. 학교폭력에 대한 염려가 일상적인 사회는 삶의 기본 안전망 자체가 흔들리는 사회이기 때문이다. 학교폭력의 예방대책은 학생들로 하여금 세상...
학교폭력은 한국사회의 뜨거운 감자이다. 학교폭력에 대한 염려가 일상적인 사회는 삶의 기본 안전망 자체가 흔들리는 사회이기 때문이다.
학교폭력의 예방대책은 학생들로 하여금 세상에 대한 객관적인 인식을 획득하게 하는데서 시작한다. 인식의 성립은 타인과의 공감을 선행적으로 요구하며 인식의 객관성은 얼마나 다양한 사람들과 다양한 삶의 형식을 공감할 수 있느냐에 달려 있다. 학교폭력의 사후 대책방안도 이에 맞춰 피해자 보상과 가해자 처벌 위주의 응보적 방식이 아닌 피해학생의 상처회복과 가해학생의 선도 그리고 학교공동체가 다시 통합될 수 있도록 회복적 방식에 초점을 맞춰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학교가 교육의 장이어야 하고, 교육의 내용뿐만 아니라 교육의 방법도 교육적이어야 한다. 교육은 삶과 앎의 통합이다. 먼저 학교폭력을 교육적으로 해결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것이 교육의 시작이다. 교육영역뿐만 아니라 사회전반에 널리 퍼진 물화를 극복하고 정서적 교감을 통한 인정과 상호 공감을 이끌어내는 교육의 중요성에 눈을 돌려야 할 때이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Korean society school violences have become an Issue like a hat potato. For a society prevailed by anxiety about school violences means one in which social safety net of life itself shakes. Preventive measures of school violences can launch to l...
In Korean society school violences have become an Issue like a hat potato. For a society prevailed by anxiety about school violences means one in which social safety net of life itself shakes.
Preventive measures of school violences can launch to let the students acquire an objective perception of the world. And in oder to establish such perception is an empathy with others as a condition precedent required, that is, the possibility of an objective perception hinges on how much you can empathize with different people and various taypes of life. Accordingly, the post-countermeasures of school violences should not focus on the retributive way based on compensating victims and punishing assailants, but rather on the restorative way oriented to heal wounds of victim students, to properly guide bully students, and to reintegrate the school community.
To do that, the school has to be an educational venue; and not only education content, but also education methods have to be educational. Education is to integrate knowing and living. Therefore, the very start of education consists, first of all. in showing to solve school violences educationally.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Glover, Jonathan, "휴머니티" 문예출판사 2008
2 삼성사회정신건강연구소, "학교폭력예방을 위한 시범학교 운영매뉴얼" 교육과학사 2010
3 서정기, "학교폭력에 따른 갈등경험과 해결과정에 대한 질적 사례연구 : 회복적 정의(restorative justice)에 입각한 피해자-가해자 대화모임(victim-offender mediation)을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1
4 "학교폭력근절 종합대책"
5 서정기, "학교폭력 이후 해결과정에서 경험하는 갈등의 구조적 요인에 대한 질적 사례연구" 한국교육인류학회 15 (15): 133-164, 2012
6 문성훈, "폭력 개념의 인정이론적 재구성" 한국사회와철학연구회 (20) : 63-96, 2010
7 이유선, "철학의 재구성" 아카넷 2010
8 Honneth, Axel, "인정투쟁" 사월의책 2011
9 이선호, "외국의 스쿨 바우처 제도(School Voucher)의 적용 가능성" 24 (24): 85-103, 2003
10 문재현, "왕따, 이렇게 해결할 수 있다" 살림터 2012
1 Glover, Jonathan, "휴머니티" 문예출판사 2008
2 삼성사회정신건강연구소, "학교폭력예방을 위한 시범학교 운영매뉴얼" 교육과학사 2010
3 서정기, "학교폭력에 따른 갈등경험과 해결과정에 대한 질적 사례연구 : 회복적 정의(restorative justice)에 입각한 피해자-가해자 대화모임(victim-offender mediation)을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1
4 "학교폭력근절 종합대책"
5 서정기, "학교폭력 이후 해결과정에서 경험하는 갈등의 구조적 요인에 대한 질적 사례연구" 한국교육인류학회 15 (15): 133-164, 2012
6 문성훈, "폭력 개념의 인정이론적 재구성" 한국사회와철학연구회 (20) : 63-96, 2010
7 이유선, "철학의 재구성" 아카넷 2010
8 Honneth, Axel, "인정투쟁" 사월의책 2011
9 이선호, "외국의 스쿨 바우처 제도(School Voucher)의 적용 가능성" 24 (24): 85-103, 2003
10 문재현, "왕따, 이렇게 해결할 수 있다" 살림터 2012
11 Müller, Herta, "숨그네" 문학동네 2010
12 von Wright, "설명과 이해" 서광사 1994
13 Olweus, Dan., "바로보는 왕따 대안은 있다" 삼신각 1999
14 정재준, "미국의 학교폭력 방지대책" 법학연구소 53 (53): 529-570, 2012
15 강병호, "물화" 나남출판 2006
16 Hobbs, Thomas, "리바이어던" 나남출판 2008
17 Dewey, John, "경험으로서의 예술" 책세상 2003
18 데이비드 존슨, "갈등해결을 통한 학교폭력 예방" 백의 2000
19 Decety, J., "The Social Neuroscience of Empathy" The MIT Press 2011
20 Darwall, Stephen, "Empathy, Sympathy, Care" 89 : 1998
21 Hoffman, Martin L, "Empathy and Moral Development" Cambridge Univ. Press 2000
22 Zehr, Howard, "Changing Lenses: A New Focus on Crime and Justice" Herald Press 2005
23 Embry, Dennis D., "A Scientific and Research History of the PAX (Good Behavior) Game" PAXIS Institute
朝鮮後期 才子佳人小說 관련 논의의 비판적 검토와 전개 양상에 대한 試論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2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1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
2018-12-01 | 평가 |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10-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8-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39 | 0.39 | 0.48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6 | 0.6 | 0.803 | 0.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