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저탄소 녹색성장을 위한 녹색물류 추진정책 비교 연구 = A Study on Green Logistics Policy for Green Growth with Low Carbon Gas in Kore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8258610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최근 지구 온난화로 인한 국제적인 온실가스 감축 규제 및 각국의 환경규제 강화로 국가와 기업 모두 환경 지속가능성을 중시하고 CO2 배출, 유해물질 제한 등의 환경 규제가 증가하고 있다. ...

      최근 지구 온난화로 인한 국제적인 온실가스 감축 규제 및 각국의 환경규제 강화로 국가와 기업 모두 환경 지속가능성을 중시하고 CO2 배출, 유해물질 제한 등의 환경 규제가 증가하고 있다. 에너지 소비의 지속적 증가, 에너지․자원 가격의 급격한 상승으로 자원.에너지 효율성 제고 등이 중요한 이슈가 되고 있다. 우리나라 온실가스 배출량의 약 20%는 물류.운송부분이 차지하고 있다. 국제적인 환경규제가 강화되고 있는 추세에서 과도한 온실가스의 배출은 제조 및 물류 기업의 원가 상승 요인으로 작용하여 기업의 경쟁력 약화를 초래할 가능성이 크다. 따라서 친환경적인 물류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이 시급하다. 본 연구에서는 선진국의 녹색물류 추진 정책 사례를 비교․분석하여, 우리나라의 저탄소 녹색성장을 실현하기 위한 녹색물류 구축에 대한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Recently, a number of international green house gas(GHS) regulations have been made and enforced due to green house effect. Countries and companies are increasing the tendency of environment durability and CO2 emission and hazardous substances of rest...

      Recently, a number of international green house gas(GHS) regulations have been made and enforced due to green house effect. Countries and companies are increasing the tendency of environment durability and CO2 emission and hazardous substances of restriction. Increasing energy consumption and efficiency enhancers caused from increasing the prices of energy resources have been dealt. It is estimated that approximately 20% of greenhouse gas emissions is occupied by logistics and transportation. Due to the trend of strengthening international environment regulations, excessive emissions of greenhouse gases tend to lead not only to increase in cost of manufacturing and logistics activities, but to result in deterioration of their competitiveness. In this study, cases of green logistics policy practices in developed countries are compared and analyzed, which is expected to bring political implications for realization of green logistics in Korea.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 론
      • Ⅱ. 녹색물류에 대한 일반적 고찰
      • Ⅲ. 녹색물류 정책 현황
      • Ⅳ. 선진국 녹색물류 정책 사례비교
      • Ⅴ. 결론 및 시사점
      • Ⅰ. 서 론
      • Ⅱ. 녹색물류에 대한 일반적 고찰
      • Ⅲ. 녹색물류 정책 현황
      • Ⅳ. 선진국 녹색물류 정책 사례비교
      • Ⅴ. 결론 및 시사점
      •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박석하, "환경친화적 물류활동의 실태 분석" 한국산학경영학회 18 (18): 114-, 2006

      2 한국해양수산개발원, "환경친화적 물류체계 구축을 위한 연안해운 확대방안"

      3 김현수, "환경을 고려한 역물류시스템의 사례 연구" 한국산업경영시스템학회 24 (24): 69-77, 2001

      4 박석하, "환경물류활동과 물류조직특성이 물류성과에 미치는 효과" 한국물류학회 16 (16): 159-185, 2006

      5 오세영, "환경물류에 관한 서설적 고찰" 한국로지스틱스학회 9 (9): 2001

      6 이용근, "일본의 그린물류 정책 분석과 시사점" 한국전자무역연구소 8 (8): 85-101, 2010

      7 임종관, "우리나라 해운산업의 신성장동력 확보방안 연구" 한국해양수산개발원 2009

      8 고병욱, "영국의 수상운송화물 보조금(WFG) 사례" 한국해양수산개발 (11) : 2009

      9 조성원, "녹색물류의 영향요인과 녹색물류 및 성과에 관한 연구" 한국산업경제학회 23 (23): 675-696, 2010

      10 한국무역협회, "녹색물류경영전략" 2009

      1 박석하, "환경친화적 물류활동의 실태 분석" 한국산학경영학회 18 (18): 114-, 2006

      2 한국해양수산개발원, "환경친화적 물류체계 구축을 위한 연안해운 확대방안"

      3 김현수, "환경을 고려한 역물류시스템의 사례 연구" 한국산업경영시스템학회 24 (24): 69-77, 2001

      4 박석하, "환경물류활동과 물류조직특성이 물류성과에 미치는 효과" 한국물류학회 16 (16): 159-185, 2006

      5 오세영, "환경물류에 관한 서설적 고찰" 한국로지스틱스학회 9 (9): 2001

      6 이용근, "일본의 그린물류 정책 분석과 시사점" 한국전자무역연구소 8 (8): 85-101, 2010

      7 임종관, "우리나라 해운산업의 신성장동력 확보방안 연구" 한국해양수산개발원 2009

      8 고병욱, "영국의 수상운송화물 보조금(WFG) 사례" 한국해양수산개발 (11) : 2009

      9 조성원, "녹색물류의 영향요인과 녹색물류 및 성과에 관한 연구" 한국산업경제학회 23 (23): 675-696, 2010

      10 한국무역협회, "녹색물류경영전략" 2009

      11 정헌배, "기업의 환경물류 실행에 관한 연구" 한국로지스틱스학회 13 (13): 19-40, 2005

      12 한국생산성본부, "기업을 위한 그린물류 추진 방법론"

      13 한국해양수산개발원 해운시황분석센터, "금융위기 이후 해운시장 동향과 마케팅 여건" 한국해양수산개발원 해운시황분석센터 2009

      14 건설교통부, "국가물류기본계획 수정계획 : 2006-2020" 건설교통부 2006

      15 전형진, "국가 친환경 물류체계 구축을 위한 Modal Shift 활성화 방안" 한국해양수산개발원 2008

      16 Wong, Lai Tim, "Stakeholder Influences on Environmental Management Practices: A Study of Fleet Operations in Hong Kong(SAR), China" 43 (43): 2004

      17 Murphy, Paul R, "Role and Relevance of Logistics to Corporate Environmentalism - An Empirical Assesment" 25 (25): 1995

      18 Liwen, Zheng, "Research on Green Logistics System based on Circular Economy" 6 (6): 2010

      19 Zhu, Qinghua, "Green Supply Chain Management in China: Pressures, Practices and Performance" 25 (25): 2005

      20 Murphy, Paul R, "Green Logistics Strategy: An Analysis of Usage Patterns" 40 (40): 2000

      21 Cousin, Paul, "Business Environmental Soundness and Green Supply Chain Management"

      22 Lin, Chieh-Yu, "An Empirical Study on Logistics Service Providers' Intention to Adopt Green Innovation" 3 (3): 2008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4-04-11 학회명변경 영문명 : Electronic Trade Institute -> Korea E-Trade Research Institute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 0.5 0.4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7 0.3 0.485 0.3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