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SCOPUS

      난소 적출 동물모델에서 고흥산 석류 농축액의 갱년기 증상 개선 효과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45376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난소 적출 동물 모델을 이용하여 고흥산 석류 농축액 시험군과 함께 이란산 석류 농축액을 주성분으로 하는 시판 제품의 혈청 생화학적 지표, 골밀도 등 몇 가지 지표를 분석하여 ...

      본 연구는 난소 적출 동물 모델을 이용하여 고흥산 석류 농축액 시험군과 함께 이란산 석류 농축액을 주성분으로 하는 시판 제품의 혈청 생화학적 지표, 골밀도 등 몇 가지 지표를 분석하여 갱년기 증상 개선 효과를 비교하였다. 고흥산 석류 농축액과 시판 제품은 난소 절제 동물 모델의 골밀도(bone mineral density, BMD) 및 percent bone volume(bone volume/tissue volume), bone surface density(bone surface/tissue volume)를 증가시켰으며, 특히 고용량의 고흥산 석류 농축액(PE3)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골밀도 및 골볼륨을 증가시켰다. 시판 제품을 투여한 군도 골밀도를 증가시키는 양상을 보였으나 통계적 유의성은 없어 고흥산 석류 농축액이 이란산 석류 제품보다 골밀도 등 뼈 건강에 관련한 갱년기 증상 개선에 더 효과적이라고 사료된다. 고흥산 석류 농축액은 난소 절제에 의한 체중 증가 및 복부/내장지방 축적을 개선하였으며, 농도 의존적으로 HDL-C(high 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는 증가시키고 low 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은 감소시켰다. 또한 고농도 석류 농축액(PE3)의 HDL-C/total cholesterol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여 고흥산 석류 농축액이 갱년기 여성의 비만 및 혈중지질을 개선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불안장애 실험에서는 고흥산 석류 농축액 투여로 인해 불안장애가 개선되는 경향을 보였으나 통계적 유의성이 없었고, 이란산 시판제품 투여 시에는 대조군에 비해 유의하게 개선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우울증 또한 시판 제품 투여군에서는 대조군에 비해 유의하게 개선 효과를 나타내었으나 고흥산 석류 농축액 투여군에서는 우울증 개선 효과가 확인되지 않았다. 이상과 같은 결과를 통해 고흥산 석류 농축액은 난소를 적출한 rat의 골 소실을 현저히 개선하고 복부/내장지방 및 혈중지질을 농도 의존적으로 개선하여 골다공증, 비만 및 심혈관 질환과 같은 갱년기 증상에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고흥산 석류 농축액 투여군에서 대표적인 갱년기 증상인 우울증과 불안장애 개선에 유의성 있는 효과가 나타나지 않는 것은 동물실험 모델에서 사람에게 나타나는 다양한 갱년기 증상을 모두 평가하기에 한계가 있는 바, 향후 추가적인 연구를 통해 고흥산 석류 농축액이 갱년기 여성에게 나타나는 여러 가지 증상 중 특정 증상에 대해 선택적으로 효과를 나타내는지에 대해 임상시험을 통해 검증할 필요가 있겠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is study, the effect of Goheung pomegranate extract on postmenopausal syndrome was evaluated both in vitro and in vivo in ovariectomized Sprague-Dawly (SD) rats. Sixty female SD rats were divided into six groups: sham, sham operation and distille...

      In this study, the effect of Goheung pomegranate extract on postmenopausal syndrome was evaluated both in vitro and in vivo in ovariectomized Sprague-Dawly (SD) rats. Sixty female SD rats were divided into six groups: sham, sham operation and distilled water; OVX, ovariectomized and distilled water; PE1, ovariectomized and pomegranate concentrate (0.75 mL/twice/d); PE2, ovariectomized and pomegranate concentrate (1.5 mL/twice/d); PE3, ovariectomized and pomegranate concentrate (2.2 mL/twice/d); and CE, ovariectomized and commercial pomegranate concentrate (2.2 mL/twice/d). Percent bone volume (bone volume/tissue volume) and trabecular thickness (Tb.Th) improved in a dose-independent manner in PE1, 2, and 3. Especially, bone mineral density was significantly improved in PE3 (P<0.05) compared to OVX. Pomegranate extract reduced body weight and visceral fat mass. High 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HDL-C) level slightly increased in a dose-independent manner in the experimental group. In addition, HDL-C/total cholesterol level of PE3 significantly increased (P<0.05) compared with OVX. These results show that pomegranate concentrate improved blood lipid levels and bone metabolism in ovariectomized rats. Therefore, Goheung pomegranate concentrates are expected to improve cardiovascular and bone-related diseases in menopausal women.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ABSTRACT
      • 서론
      • 재료 및 방법
      • 결과 및 고찰
      • 요약
      • ABSTRACT
      • 서론
      • 재료 및 방법
      • 결과 및 고찰
      • 요약
      • REFERENCE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최원균, "이란산 흑석류 농축액과 그 제품의 성분 및 함유된 Phyto 에스트로겐퓨에 관한 연구" 한국식품영양학회 15 (15): 119-125, 2002

      2 전병관, "석류가 뇌혈류 및 비만에 미치는 실험적 효과" 한국식품영양학회 20 (20): 143-149, 2007

      3 박미라, "석류가 갱년기 장애를 유도한 흰쥐의 혈 중 지질 함량에 미치는 영향" 한국생명과학회 18 (18): 46-51, 2008

      4 안광현, "내분비계장애물질 평가방법의 최적화 및 Apoptosis에 관한 연구" 환경독성보건학회 19 (19): 251-259, 2004

      5 이용혁, "난소 절제술을 실시한 암컷 쥐에서 석류 단일과 석류 복합 시료의 갱년기 증상 개선 효과" 대한약학회 50 (50): 177-183, 2006

      6 김미숙, "국내산과 수입산 석류의 화학적 성분과 기능적 특성"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20 (20): 342-347, 2013

      7 Han MY, "The effects of low dose estrogen replacement therapy on the bone mineral densities and bone metabolism of postmenopausal women" 10 : 34-42, 2004

      8 Abidov M, "The effects of Xanthigen in the weight management of obese premenopausal women with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and normal liver fat" 12 : 72-81, 2010

      9 Ahn KH, "The effect of pomegranate on depression, anxiety, and food intake in ovariectomized rats" 16 : 39-45, 2010

      10 Rossouw JE, "Risks and benefits of estrogen plus progestin in healthy postmenopausal women : principal results from the Women's Health Initiative randomized controlled trial" 288 : 321-333, 2002

      1 최원균, "이란산 흑석류 농축액과 그 제품의 성분 및 함유된 Phyto 에스트로겐퓨에 관한 연구" 한국식품영양학회 15 (15): 119-125, 2002

      2 전병관, "석류가 뇌혈류 및 비만에 미치는 실험적 효과" 한국식품영양학회 20 (20): 143-149, 2007

      3 박미라, "석류가 갱년기 장애를 유도한 흰쥐의 혈 중 지질 함량에 미치는 영향" 한국생명과학회 18 (18): 46-51, 2008

      4 안광현, "내분비계장애물질 평가방법의 최적화 및 Apoptosis에 관한 연구" 환경독성보건학회 19 (19): 251-259, 2004

      5 이용혁, "난소 절제술을 실시한 암컷 쥐에서 석류 단일과 석류 복합 시료의 갱년기 증상 개선 효과" 대한약학회 50 (50): 177-183, 2006

      6 김미숙, "국내산과 수입산 석류의 화학적 성분과 기능적 특성"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20 (20): 342-347, 2013

      7 Han MY, "The effects of low dose estrogen replacement therapy on the bone mineral densities and bone metabolism of postmenopausal women" 10 : 34-42, 2004

      8 Abidov M, "The effects of Xanthigen in the weight management of obese premenopausal women with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and normal liver fat" 12 : 72-81, 2010

      9 Ahn KH, "The effect of pomegranate on depression, anxiety, and food intake in ovariectomized rats" 16 : 39-45, 2010

      10 Rossouw JE, "Risks and benefits of estrogen plus progestin in healthy postmenopausal women : principal results from the Women's Health Initiative randomized controlled trial" 288 : 321-333, 2002

      11 Kawaii S, "Quantitation of flavonoid constituents in citrus fruits" 47 : 3565-3571, 1999

      12 Jeong-Hwan Lee, "Quantitation of Ellagic Acid in Concentrated Pomegranate Extracts andTheir Juices" 한국식품과학회 13 (13): 381-383, 2004

      13 Ettinger B, "Preventing postmenopausal osteoporosis with estrogen replacement therapy" 31 : 15-20, 1986

      14 Mori-Okamoto J, "Pomegranate extract improves a depressive state and bone properties in menopausal syndrome model ovariectomized mice" 92 : 93-101, 2004

      15 Odell WD, "Osteoporosis : pathophysiology, prevention, diagnosis, and treatment" 39 : 789-867, 1993

      16 Aggarwal BB, "Molecular targets of dietary agents for prevention and therapy of cancer" 71 : 1397-1421, 2006

      17 Uzuner S, "Hydrolytic properties of ellagic acid in commercial pomegranate juices. 2012" 6 : 717-720, 2012

      18 Gosden RG, "Follicular status at the menopause" 2 : 617-621, 1987

      19 Lee JY, "Estrogen replacement therapy in postmenopausal women" 37 : 1333-1337, 1994

      20 Shansky RM, "Estrogen mediates sex differences in stress-induced prefrontal cortex dysfunction" 9 : 531-538, 2004

      21 Emans SJ, "Estrogen deficiency in adolescents and young adults : impact on bone mineral content and effects of estrogen replacement therapy" 76 : 585-592, 1990

      22 Zhang T, "Ellagic acid exerts anti-proliferation effects via modulation of Tgf-β/Smad3 signaling in MCF-7breast cancer cells" 15 : 273-276, 2014

      23 Johnson MK, "Effects of epigallocatechin gallate and quercetin on oxidative damage to cellular DNA" 459 : 211-218, 2000

      24 Mirmiran P, "Effect of pomegranate seed oil on hyperlipidaemic subjects : a double-blind placebo-controlled clinical trial" 104 : 402-406, 2010

      25 Devipriya N, "Effect of ellagic acid, a natural polyphenol, on alcohol-induced prooxidant and antioxidant imbalance : a drug dose dependent study" 48 : 311-318, 2007

      26 Tomihara K, "Effect of ER-β gene disruption on estrogenic regulation of anxiety in female mice" 96 : 300-306, 2009

      27 Arjmandi BH, "Dried plums prevent ovariectomy-induced bone loss in rats" 4 : 50-56, 2001

      28 Avraham Y, "Current Topics in Menopause" Bentham Science 143-162, 2013

      29 Bu SY, "Comparison of dried plum supplementation and intermittent PTH in restoring bone in osteopenic orchidectomized rats" 18 : 931-942, 2007

      30 Ross RK, "Cardiovascular benefits of estrogen replacement therapy" 160 : 1301-1306, 1989

      31 Devareddy L, "Blueberry prevents bone loss in ovariectomized rat model of postmenopausal osteoporosis" 19 : 694-699, 2008

      32 Shukla M, "Bioavailable constituents/metabolites of pomegranate (Punica granatum L) preferentially inhibit COX2 activity ex vivo and IL-1beta-induced PGE2 production in human chondrocytes in vitro" 5 : 9-, 2008

      33 Altundag K, "Aromatase inhibitors in breast cancer : An overview" 11 : 553-562, 2006

      34 Bekku N, "Animal model of menopausal depressive-like state in female mice: prolongation of immobility time in the forced swimming test following ovariectomy" 183 : 300-307, 2005

      35 Ethriedge A, "Alterations in vertebral bone with hind limb unloading and effect of dried plum and parathyroid hormone during recovery" 18 : S267-, 2003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해외DB학술지평가 신청대상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KCI등재
      2014-06-24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한국식품영양과학회
      영문명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KCI등재
      2014-04-02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식품영양과학회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영문명 : 미등록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2-07-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03 1.03 1.1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18 1.2 1.993 0.2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