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二面交雜에 의한 大麥 F₂ 世代의 遺傳分析 = The Genetic Analyses of Diallel Crosses in F₂Hybrid of Barle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203836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보리의 양적 형질에 대한 유전정보를 얻고자 6조맥 4품종과 2조맥 2품종으로 이면 교배하여 F₂세대에 대한 유전자의 분포상태·분산성분·유전력·유전 상관 등을 분석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각 형질에 대한 분산분석 결과는 상가적 효과, 우성효과, 모본효과, 정역간의 효과가 간장·분얼수·수장·1수립수·1000립중 등에서 유의하였다. 공시된 품종집단에 대한 F₂세대의 우성 정도를 Vr-Wr graph상에서 볼때 간장·분얼수·수장·1수립수·1000립중 등은 불완전 우성으로 유전되었다. 유전 분산 성분에서 간장·분얼수·1000립중은 상가효가보다 우성효과가 크게 평가되나, 수장과 1수립수는 상가적 효과가 더 컸다. 협의의 유전력은 1수립수와 수장이 각각 0.6906, 0.6862로서 높았다. 각 형질간의 상관관계에 있어서 간장과 분얼수, 간장과 수장, 간장과 1000립중, 수장과 1000립중간에서 각각 유의한 정의 상관을 보였다. 또 간장과 1수립수, 수장과 1수립수, 1수립수와 1000립중간에는 각각 부의 유의한 상관을 보였다.
      번역하기

      보리의 양적 형질에 대한 유전정보를 얻고자 6조맥 4품종과 2조맥 2품종으로 이면 교배하여 F₂세대에 대한 유전자의 분포상태·분산성분·유전력·유전 상관 등을 분석한 결과를 요약하면 �...

      보리의 양적 형질에 대한 유전정보를 얻고자 6조맥 4품종과 2조맥 2품종으로 이면 교배하여 F₂세대에 대한 유전자의 분포상태·분산성분·유전력·유전 상관 등을 분석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각 형질에 대한 분산분석 결과는 상가적 효과, 우성효과, 모본효과, 정역간의 효과가 간장·분얼수·수장·1수립수·1000립중 등에서 유의하였다. 공시된 품종집단에 대한 F₂세대의 우성 정도를 Vr-Wr graph상에서 볼때 간장·분얼수·수장·1수립수·1000립중 등은 불완전 우성으로 유전되었다. 유전 분산 성분에서 간장·분얼수·1000립중은 상가효가보다 우성효과가 크게 평가되나, 수장과 1수립수는 상가적 효과가 더 컸다. 협의의 유전력은 1수립수와 수장이 각각 0.6906, 0.6862로서 높았다. 각 형질간의 상관관계에 있어서 간장과 분얼수, 간장과 수장, 간장과 1000립중, 수장과 1000립중간에서 각각 유의한 정의 상관을 보였다. 또 간장과 1수립수, 수장과 1수립수, 1수립수와 1000립중간에는 각각 부의 유의한 상관을 보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study was conducted to get genetic information about quantative characters of F2's in barley through diallel crosses using four six-rowed barley and two-rowed barley. The results obtained were summarized as follows. Additive-dominant, dominant, maternal, and reciprocal effect were observed in culm length, tiller number, spike length, number of grains per spike, and 1000 grain weight. Based on the Vr-Wr graphical analysis, culm length, tiller number, spike length, number of grains per spike, and 1000 grain weight were found to inherit incomplete dominance. Dominant effects were higher than additive effects in culm length, tiller number, and 1000 grain weight, while additive effects were significant in spike length and number of grains per spike. The narrow- sense heritability showed high value as 0.6906 for number of grains per spike and as 0.0682 for spike length. The positive correlations were showed among characters such as between culm length and tiller number, culm length and spike length, culm length and 1000 grain weight, and spike length and 1000 grain weight. Moreover, the negative correlations were showed among characters such as between culm length and number of grains per spike, spike length and number of grains per spike, and number of grains per spike and 1000 grain weight.


      번역하기

      The study was conducted to get genetic information about quantative characters of F2's in barley through diallel crosses using four six-rowed barley and two-rowed barley. The results obtained were summarized as follows. Additive-dominant, dominant, ma...

      The study was conducted to get genetic information about quantative characters of F2's in barley through diallel crosses using four six-rowed barley and two-rowed barley. The results obtained were summarized as follows. Additive-dominant, dominant, maternal, and reciprocal effect were observed in culm length, tiller number, spike length, number of grains per spike, and 1000 grain weight. Based on the Vr-Wr graphical analysis, culm length, tiller number, spike length, number of grains per spike, and 1000 grain weight were found to inherit incomplete dominance. Dominant effects were higher than additive effects in culm length, tiller number, and 1000 grain weight, while additive effects were significant in spike length and number of grains per spike. The narrow- sense heritability showed high value as 0.6906 for number of grains per spike and as 0.0682 for spike length. The positive correlations were showed among characters such as between culm length and tiller number, culm length and spike length, culm length and 1000 grain weight, and spike length and 1000 grain weight. Moreover, the negative correlations were showed among characters such as between culm length and number of grains per spike, spike length and number of grains per spike, and number of grains per spike and 1000 grain weight.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