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진왜란 중에 많게는 1만 명의 일본군이 降倭의 길을 택하였다. 참전병으로서 가족 없이 조선에 왔기 때문에, 귀화를 선택하는 순간 그들은 일본 사회에서 오랜 기간 형성해 온 관계들이 단...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2056716
2016
Korean
귀화 ; 울산 ; 호적대장 ; 항왜 ; 임진왜란 ; Naturalization ; Ulsan ; Census register ; Japanese defectors ; Becoming Joseon people
KCI등재
학술저널
229-261(33쪽)
4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임진왜란 중에 많게는 1만 명의 일본군이 降倭의 길을 택하였다. 참전병으로서 가족 없이 조선에 왔기 때문에, 귀화를 선택하는 순간 그들은 일본 사회에서 오랜 기간 형성해 온 관계들이 단...
임진왜란 중에 많게는 1만 명의 일본군이 降倭의 길을 택하였다. 참전병으로서 가족 없이 조선에 왔기 때문에, 귀화를 선택하는 순간 그들은 일본 사회에서 오랜 기간 형성해 온 관계들이 단절된 사람들이었다. 조선 생활에 필요한 사회적 관계를 처음부터 만들어 나가야 하는 사람들이었고 일본으로는 돌아가기 어려운 사람들이었다. 항왜는 외모적으로 조선인과 비슷하지만, 언어, 문화가 다른 외국인이고 더욱이 조선을 침략해온 침략군이었기 때문에 조선 사회에 스며드는 것은 어려운 일이었다. 항왜 중에는 降倭將등으로 불리면서 항왜를 관할하고, 조선 사회에서 유명세를 떨친 일본인들이 있었다. 반면 조선군에 재편입되어 전장을 떠돌거나, 변방으로 강제 이주되거나, 조선 내부의 정치적 사건에 휘말려 희생당하는 이들도 있었다. 또한 전쟁이 끝난 후 ‘조선인으로 살아가기’를 빠르게 시도하면서 조선의 평민과 다름없는 항왜도 다수 존재하였다. ‘조선인으로 살아가기’ 과정은 일면 조선에서 ‘항왜를 조선인으로 만들기’의 과정이기도 하였다. 이 글은 항왜가 조선인이 되는 정착과정을 『울산부 호적대장』을 통해 살펴보았다. 『울산부 호적대장』은 임진왜란 직후인 1609년의 것부터 남아 있다. 『울산부 호적대장』 속의 항왜는, 대구 金忠善[사야가, 沙也可]처럼 文集을 남기거나, 대구시 우록리와 같이 세거지를 형성하고 마을에서 가장 높은 지위를 유지 하는, 조정 논의에서 이름이 호명되는 그런 유명인이 아닌 凡人들이었다. 호적대장에 등재된 내용을 통해 항왜들이 겪는 ‘조선인으로 생활하기’의 과정-조선의 성(姓) 가지기, 가족 구성, 가계의 계승-과 조선인과 동일하게 호적대장의 항목을 채워나가는 ‘조선인으로 만들어지기’의 양상을 파악할 수 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examines the Japanese defectors who resided in Ulsan area after the end of Imjin War(1952~1958) based on the Census Register of Ulsan-bu. Since the Japanese defectors came to Joseon as soldiers unaccompanied by their family members, their e...
This study examines the Japanese defectors who resided in Ulsan area after the end of Imjin War(1952~1958) based on the Census Register of Ulsan-bu. Since the Japanese defectors came to Joseon as soldiers unaccompanied by their family members, their existing relationships formed in Japan were completely severed when they decided to be naturalized as Joseon people. They could not return to Japan and had to build new social relationships in Joseon. Blending into the Joseon society was a challenge for these people, because their language and culture were different Joseon people even though they had similar physical appearances. Moreover, they were strange foreigners and were especially members of the Japanese army that invaded Joseon. Importantly, aspects of the settlement process of these Japanese defectors in Joseon sociey can be found in the Census Register. The Census Register of Ulsan-bu includes contain records about the Japanese defector Kim Chung-seon, who left behind an anthology of literary works, the formation of kinship villages such as Urok-ri in Daegu City, and also about the non-famous ordinary Japanese people who were not called during government discussions. Therefore, through the items recorded in the Census Register, this study examines the process of Japanese defectors becoming Joseon people-the adoption of Joseon family names, family composition, and family succession- and investigates the presence and changes of Japanese defector households.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양흥숙, "조선후기 降倭의 존재 양상과 정착 - 대구시 우록리 김충선의 후손 사례를 중심으로 -" 대구사학회 122 : 41-79, 2016
2 김문자, "임진왜란과 한일관계" 경인문화사 2005
3 제장명, "임진왜란 시기 降倭의 留置와 활용" 효원사학회 32 : 95-122, 2007
4 한문종, "임진란 시기 항왜의 투항 배경과 역할" 인문과학연구소 (36) : 319-349, 2013
5 조병로, "경상도 金泉驛戶口臺帳" 국학자료원 2007
6 "輿地圖書"
7 "蔚山府戶籍臺帳"
8 解題, "己酉式年(1609) 蔚山府戶籍大帳" 오월출판사 2002
9 "宣祖實錄"
10 "大邱府戶籍臺帳"
1 양흥숙, "조선후기 降倭의 존재 양상과 정착 - 대구시 우록리 김충선의 후손 사례를 중심으로 -" 대구사학회 122 : 41-79, 2016
2 김문자, "임진왜란과 한일관계" 경인문화사 2005
3 제장명, "임진왜란 시기 降倭의 留置와 활용" 효원사학회 32 : 95-122, 2007
4 한문종, "임진란 시기 항왜의 투항 배경과 역할" 인문과학연구소 (36) : 319-349, 2013
5 조병로, "경상도 金泉驛戶口臺帳" 국학자료원 2007
6 "輿地圖書"
7 "蔚山府戶籍臺帳"
8 解題, "己酉式年(1609) 蔚山府戶籍大帳" 오월출판사 2002
9 "宣祖實錄"
10 "大邱府戶籍臺帳"
11 "仁祖實錄"
12 "世宗實錄"
13 山內民博, "一七世紀初慶尙道蔚山府戶籍大帳と降倭" 한일상호인식연구회 (2) : 2009
14 임학성, "17세기 전반 戶籍자료를 통해 본 귀화 野人의 조선에서의 생활 양상 -蔚山戶籍(1609)과 海南戶籍(1639)의 사례 분석-" 한국고문서학회 33 : 95-128, 2008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5-05-30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한일관계사학회 -> 한일관계사연구 | ![]() |
2005-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3-07-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5 | 1.5 | 1.38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17 | 1.09 | 1.872 | 0.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