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데이터는 공공기관이 만들어내는 자료나 정보를 국민에게 공개한 것이다. 정부는 공공데이터포털과 개별기관의 웹사이트를 통해 공공데이터를 개방하고 있다. 그러나 데이터 사용자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5083701
2018
Korean
공공데이터 ; 형식개념분석 ; 메타데이터 ; 오픈데이터 ; Public Data ; Formal Concept Analysis ; Metadata ; Open Data
310
KCI등재
학술저널
305-313(9쪽)
1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공공데이터는 공공기관이 만들어내는 자료나 정보를 국민에게 공개한 것이다. 정부는 공공데이터포털과 개별기관의 웹사이트를 통해 공공데이터를 개방하고 있다. 그러나 데이터 사용자 ...
공공데이터는 공공기관이 만들어내는 자료나 정보를 국민에게 공개한 것이다. 정부는 공공데이터포털과 개별기관의 웹사이트를 통해 공공데이터를 개방하고 있다. 그러나 데이터 사용자 관점에서 원하는 공공데이터를 탐색하고 활용하는데 제약이 있는 것이 현실이다. 특히, 데이터 목록의 특성을 파악하고 서로 다른 데이터를 연계하는 과정에 많은 노력과 시간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공공데이터로 개방된 데이터 목록이 갖고 있는 항목명의 공통 관계를 분석하여 데이터 목록사이의 연결 가능성을 제안한다. 공공데이터포털에서 제공하는 데이터 목록을 수집하고, 데이터 목록에 포함된 데이터 항목명을 추출한다. 추출된 항목명은 형식 개념 분석을 통해 형식 문맥 (formal context)과 형식 개념 (formal concept)으로 구성된다. 형식 개념은 데이터 목록과 항목명을 각각 외연과 내연으로 갖고 있고, 내연의 공통항목을 분석해 데이터 연결 가능성을 판별한다. 형식 개념 분석을 통해 도출한 결과는 데이터 목록의 의미적 연결에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고, 공공데이터 개방을 위한 데이터 표준 및 품질개선에 적용할 수 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Public open data is a database or electronic file produced by a public agency or government. The government is opening public data through the open data portals and individual agency websites. However, it is a reality that there is a limit to search a...
Public open data is a database or electronic file produced by a public agency or government. The government is opening public data through the open data portals and individual agency websites. However, it is a reality that there is a limit to search and utilize desired public data from the perspective of data users. In particular, it takes a great deal of effort and time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data sets and to combine different data sets.
This study suggests the possibility of interlinking between data sets by analyzing the common relationship of item names held by public data. The data sets are collected from the open data portal, and item names included in the data sets are extracted. The extracted item names consist of formal context and formal concept through formal concept analysis. The format concept has a list of data sets and a set of item name as extent and intent, respectively, and analyzes the common items of intent end to determine the possibility of data connection. The results derived from the formal concept analysis can be effectively applied to the semantic connection of the public data, and can be applied to data standard and quality improvement for public data release.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서형준, "지자체 공공데이터 개방 현황 및 정책 제언: 공공데이터 포털사이트 운영을 중심으로" 한국지역정보화학회 18 (18): 1-27, 2015
2 이희정, "정형적 개념 분석과 온톨로지를 활용한제품계열 정보 설계" 한국산업경영시스템학회 35 (35): 110-117, 2012
3 이현정, "우리나라 공공데이터의 이용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링크드 오픈 데이터화 전략을 중심으로" 한국정보관리학회 31 (31): 249-266, 2014
4 서형준, "수요자 중심의 공공 데이터 민간 활용 방안: 민간부문 정보통신 담당자의 인식 조사를 중심으로" 한국지역정보화학회 17 (17): 61-86, 2014
5 이현정, "국내 Linked Open Data 발행후 활용에 관한 연구" 109-114, 2016
6 김학래, "공공데이터포털 분석"
7 행정안전부, "공공데이터의 제공 및 이용 활성화에관한 법률, 법률 제11956호"
8 윤소영, "공공데이터 활용을 위한 링크드 데이터 국가 연계체계 구축에 관한 연구" 한국정보관리학회 30 (30): 259-284, 2013
9 김선호, "공공데이터 품질관리성숙 수준에 대한 연구" 159-165, 2016
10 행정안전부, "공공데이터 개방 표준 – 행정자치부 고시 제 2016-46호"
1 서형준, "지자체 공공데이터 개방 현황 및 정책 제언: 공공데이터 포털사이트 운영을 중심으로" 한국지역정보화학회 18 (18): 1-27, 2015
2 이희정, "정형적 개념 분석과 온톨로지를 활용한제품계열 정보 설계" 한국산업경영시스템학회 35 (35): 110-117, 2012
3 이현정, "우리나라 공공데이터의 이용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링크드 오픈 데이터화 전략을 중심으로" 한국정보관리학회 31 (31): 249-266, 2014
4 서형준, "수요자 중심의 공공 데이터 민간 활용 방안: 민간부문 정보통신 담당자의 인식 조사를 중심으로" 한국지역정보화학회 17 (17): 61-86, 2014
5 이현정, "국내 Linked Open Data 발행후 활용에 관한 연구" 109-114, 2016
6 김학래, "공공데이터포털 분석"
7 행정안전부, "공공데이터의 제공 및 이용 활성화에관한 법률, 법률 제11956호"
8 윤소영, "공공데이터 활용을 위한 링크드 데이터 국가 연계체계 구축에 관한 연구" 한국정보관리학회 30 (30): 259-284, 2013
9 김선호, "공공데이터 품질관리성숙 수준에 대한 연구" 159-165, 2016
10 행정안전부, "공공데이터 개방 표준 – 행정자치부 고시 제 2016-46호"
11 M. Pierre, "Using formal concept analysis for checking the structure of an ontology in LOD: the example of DBpedia" 2017
12 M. Alam, "Mining Definitions from RDF Annotations Using Formal Concept Analysis" 2015
13 B. Ganter, "Formal Concept Analysis, Foundations and Applications, Formal Concept Analysis" Springer 2005
14 J. Poelmans, "Formal Concept Analysis in knowledge processing : A survey on models and techniques" 40 (40): 6601-6623, 2013
15 R. Wille, "Formal Concept Analysis as Mathematical Theory of Concepts and Concept Hierarchies" 2005
빅데이터를 활용한 청소년 성장관리와 예측을 위한 맞춤형 3D 캐릭터 개발 연구
간호학생의 핵심기본간호술에 또래교수법(Peer Tutoring)이 미치는 효과
DR(Digital Radiography)에서 자동노출제어장치의 감도변화에 따른 검출기 성능평가 시 흡수선량과 히스토그램을 통한 정량적 분석방법에 관한 연구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7-05-04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The Korea Contents Society ->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2007-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6-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21 | 1.21 | 1.26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29 | 1.25 | 1.573 | 0.3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