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고는 내방가사의 문학적 가치-전승방법적 가치-사회문화적 가치의 순으로 검토하여 기록유산적 가치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첫째, 18세기에 발흥한 전통 여성 문학인 내방가사는 전 세계...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6573791
2019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9-38(30쪽)
0
학회 요청에 의해 무료로 제공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고는 내방가사의 문학적 가치-전승방법적 가치-사회문화적 가치의 순으로 검토하여 기록유산적 가치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첫째, 18세기에 발흥한 전통 여성 문학인 내방가사는 전 세계...
본고는 내방가사의 문학적 가치-전승방법적 가치-사회문화적 가치의 순으로 검토하여 기록유산적 가치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첫째, 18세기에 발흥한 전통 여성 문학인 내방가사는 전 세계 어디에서도 그 유례를 찾아볼 수 없는 우리나라만의 독특한 여성 문학 양식이다. 또한 내방가사는 양반 부녀자들에 대한 한글 및 교양교육 학습 방식으로서 사회적 가치와 여성 내면의 가치를 일깨우는 품격을 가진 생활양식의 일부로 정착된 여성의 집단문학이었다.
둘째, 내방가사는 창작되고 필사되는 문학이면서, 또한 암송되거나 낭송되는 독특한 전승방법으로 18세기부터 약 2~3세기 동안 수많은 작품을 양산해낸 성과를 이루는 독특한 문화관습이 유지되었다.
셋째, 내방가사는 여성이 주된 담당층이었기에 조선후기부터 근세에 이르기까지 자료의 보존이 사회제도적으로 뒷받침되지 못해 자료가 일실되는 경우가 많았다. 수많은 내방가사 자료는 대개 전승 주체에 의해 훼손되었다. 또는 학술적 목적으로 수집되었으나 부적절한 방법으로 수집되어 그 출처와 해제, 자료의 근거와 창작자의 규명이 힘들어진 상태에 놓인작품도 많다. 다행스러운 것은 최근 국가기관인 한국국학진흥원이나 국립한글박물관의 기증 자료들을 조사하고 해제하여 가사작품집으로 발간하거나 DB화한 노력이 있어 다행스럽다고 할 수 있겠다.
이제 우리는 세계적으로 유례없는 여성의 집단문학인 내방가사의 기록유산으로의 보존과 보호에 인류사적 책무를 다하여야 할 시점이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is paper, I tried to examine literature value, traditional method value and socio-cultural value of Naebang-gasa in the order to establish value of (MOW) Memory of World of Naebang-gasa. First, Naebang-gasa is the unique women literature style...
In this paper, I tried to examine literature value, traditional method value and socio-cultural value of Naebang-gasa in the order to establish value of (MOW) Memory of World of Naebang-gasa.
First, Naebang-gasa is the unique women literature style of Korea that can not be found anywhere else in the world. In addition, housekeeping was a collective literature of women who settled as a part of lifestyle with a dignity that awakens social value and inner value of women as a learning method of Korean language and liberal education for women.
Second, Naebang-gasa is a unique literary way of creating and copying, reciting and reciting, and a unique cultural tradition has been maintained, which has resulted in the mass production of numerous works from the 18th century for about two to three centuries.
Third, since the housewife was the main ruling class, the preservation of the data from the late Joseon to early modern times was not supported by the social system. Numerous housekeeping materials have been damaged by the traders. Many recent materials have been collected for academic purposes, but they have also been collected by improper methods that do not know their sources and have been preserved by individuals or organizations, making it difficult to identify the basis of the data and to identify the creator. It shall fulfill the duty of humanity in the preservation and protection of the housework as a documentary heritage.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손대현, "화전가의 구조와 유형" 慶北大學校 大學院 1999
2 박혜숙, "한국여성의 자기서사(1)" 한국여성문학학회 (7) : 323-349, 2002
3 서영숙, "한국여성가사연구" 국학자료원 1996
4 이원주, "조선후기의 언어와 문학" 한국어문학회 1979
5 이동영, "조선조 영남시가의 연구" 부산대출판부 1998
6 최봉영, "조선시대 유교문화"
7 한국여성연구소 여성사연구실, "우리 여성의 역사" 청년사 2000
8 이정옥, "영남내방가사와 여성이야기" 박문사 2017
9 이정옥, "여성의 전통지향성과 현실경험의 문제-최근작 내방가사에 대한 보고-" 한국여성문학학회 (8) : 60-85, 2002
10 박은경, "여성가사의 갈등 해소와 그 의미" 慶北大學校 大學院 1999
1 손대현, "화전가의 구조와 유형" 慶北大學校 大學院 1999
2 박혜숙, "한국여성의 자기서사(1)" 한국여성문학학회 (7) : 323-349, 2002
3 서영숙, "한국여성가사연구" 국학자료원 1996
4 이원주, "조선후기의 언어와 문학" 한국어문학회 1979
5 이동영, "조선조 영남시가의 연구" 부산대출판부 1998
6 최봉영, "조선시대 유교문화"
7 한국여성연구소 여성사연구실, "우리 여성의 역사" 청년사 2000
8 이정옥, "영남내방가사와 여성이야기" 박문사 2017
9 이정옥, "여성의 전통지향성과 현실경험의 문제-최근작 내방가사에 대한 보고-" 한국여성문학학회 (8) : 60-85, 2002
10 박은경, "여성가사의 갈등 해소와 그 의미" 慶北大學校 大學院 1999
11 최미화, "여성 100년" 홍일포럼 2000
12 조혜정, "성찰적 근대성과 페미니즘" 도서출판 또 하나의 문화 2000
13 신은경, "석정 이승욱 선생 회갑기년 논총" 원일사 1991
14 이정옥, "내방가사의 향유자 연구(자료편)" 박이정 1999
15 이정옥, "내방가사의 언술구조와 향유층 의식의 표출 양상" 한국어문학학회 60 : 1998
16 이정옥, "내방가사의 ‘청자호명’의 기능과 사회적 의미[영남의 내방가사]를 중심으로" 한국어문학회 78 : 441-466, 2002
17 이재수, "내방가사연구" 형설출판사 1976
18 이정옥, "내방가사 현장 연구" 역락 2017
19 이정옥, "내방가사 향유자의 생애경험" 국어국문학회 2003
20 이환, "근대성, 아시아적 가치, 세계화" 문학과지성사 1999
21 백순철, "규방가사의 작품세계와 사회적 성격"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1
22 길진숙, "규방가사의 작품세계와 미학" 역락 2002
23 유정선, "규방가사의 작품세계와 미학" 역락 2002
24 한국고전여성문학회, "고전문학과 여성화자 그 글쓰기의 전략" 월인 2003
25 양지혜, "계녀가류 규방가사의 형성에 관한 연구" 梨花女子大學校 大學院 1998
26 張成鎭, "개화가사의 서술구조와 현실인식" 慶北大學校 大學院 1992
27 林在旭, "가사의 형태와 향유방식 변화의 관련 양상 연구" 서울大學校 大學院 1998
28 이동찬, "가사문학의 현실인식과 서사적 향상" 세종출판사 2002
29 서원섭, "가사문학연구" 형설출판사 1978
30 조세형, "가사 장르의 담론 특성 연구" 서울大學校 大學院 1998
31 李正玉, "內房歌辭의 傳承過程과 享有層의 意識硏究" 啓明大學校 大學院 1993
32 이정옥, "內房歌辭에 對한 美學的 硏究" 경북대학교 대학원 1981
여말선초 <관음 지장병립도觀音地藏竝立圖>의 기원과 내포 의미 검토
인동장씨 남산파의 가학 전통과 그 계승— 여헌학旅軒學의 형성과 계승에 유의하여
안동 권굉權(1494~1565) 묘 출토 만장의 보존처리에 관한 연구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8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2-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9-08-01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Korea Studies Adancement Center -> The Korean Studies Institute | ![]() |
201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2-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8-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6-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65 | 0.65 | 0.61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56 | 0.62 | 1.324 | 0.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