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급사슬 역량이 기업 경쟁우위의 중요한 원천으로 인식되면서 많은 기업들이 공급사슬 관리에 있어 협력방식 위주로 전환하고 있는 추세이다. 대기업과 중소 공급사 사이에 상생협력에 대...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G3795910
-
2014년
Korean
한국연구재단(NRF)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공급사슬 역량이 기업 경쟁우위의 중요한 원천으로 인식되면서 많은 기업들이 공급사슬 관리에 있어 협력방식 위주로 전환하고 있는 추세이다. 대기업과 중소 공급사 사이에 상생협력에 대...
공급사슬 역량이 기업 경쟁우위의 중요한 원천으로 인식되면서 많은 기업들이 공급사슬 관리에 있어 협력방식 위주로 전환하고 있는 추세이다. 대기업과 중소 공급사 사이에 상생협력에 대한 관심이 지속적으로 증대되었다. 그러나 국내에서 상생협력은 구호와 선언 위주에 머물면서 실무적으로 발전적인 정착을 이루지 못했고 이론적인 학술 체계를 형성하는데 미흡했다. 이 연구는 사회적 자본 이론을 활용하여 상생협력이 어떻게 공급사슬 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지 설명하고 있다. 첫째, 상생협력 개념과 구성요소를 규명하고 상생협력이 기업간 관계자본 형성과 이를 통한 성과향상에 기여하는 이론 모형을 구축하였다. 중소규모 공급사를 대상으로 수집된 197개 자료를 통계적으로 분석한 결과는 상생협력(공정거래, 협력활동), 사회적 자본, 공급사 성과 간에 긍정적인 영향관계가 있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상생협력의 효과를 실증적으로 분석함으로써 이 연구는 학술적으로 세 가지 공헌을 하고 있다. 첫째, 상생협력 활동에 대한 학술적으로 정립한 연구로 의미가 크다. 둘째, 이 연구는 경영학 이론으로 상생협력의 효과를 엄밀하게 논증하고 있다. 셋째, 이 연구는 상생협력에 관한 국내에서 초창기 실증연구로 독창성이 높다. 상생협력을 통한 제조업 공급사슬 전체 역량 강화를 위해 구매 대기업, 중소 공급사 경영자뿐 아니라 정부 정책 입안자에게도 시사점을 제공하고 있다.
연구결과는 첫째, 상생협력의 공정거래와 협력활동은 구매기업과 중소 공급사 사이의 관계자본 형성에 실질적인 기여를 한다는 결론을 제시한다. 최근 모범적인 공급사 관리방식으로 합의에 이르고 있는 장기적 관계, 파트너십, 공정성, 협력과 지원과 같은 상생협력의 모든 활동이 상호간 신뢰, 몰입, 동질감을 높이는데 긍정적인 기여를 한다. 특히 기존의 잘못된 불공정 관행을 바로잡는 것만으로도 협력이나 지원과 같은 투자가 소요되는 활동이 주는 신뢰 형성 못지않은 효과를 볼 수 있다. 둘째, 사회적 자본은 공급사 성과개선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뿐 아니라 상생협력(공정거래, 협력활동)이 공급사 성과를 높이는데 중요한 매개 작용을 한다. 구매기업과 공급사 사이의 공정거래, 협력활동을 통해 오랜 기간 동안 형성된 사회적 자본은 공급사의 제조성과, 기술역량 개선에 직접적이고 실질적인 도움을 주며 이것은 다른 경쟁사가 단기간에 쉽게 모방하거나 획득할 수 없는 매우 유용한 경쟁력의 원천이 된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s they have realized that a large and increasing amount of sources for a corporate competitive advantage can be found in their supply chain, firms have changed a way of managing their supply chain by adopting win-win collaboration approach. This stud...
As they have realized that a large and increasing amount of sources for a corporate competitive advantage can be found in their supply chain, firms have changed a way of managing their supply chain by adopting win-win collaboration approach. This study explores tow questions. How does win-win collaboration influence the performance of suppliers? More specifically, how does social capital accumulated between buyers and suppliers mediate the relationships between win-win collaboration and supplier performance? First, this study identified a comprehensive set of win-win collaboration practices in the Korean context by synthesizing relevant literature and perspectives of practitioners. Second, the study suggests a mediating role of relational social capital between win-win collaboration and the performance of suppliers. Third, this paper provides empirical analyses of these relationships.
A total of 197 responses from SME suppliers were used for the empirical analysis. The results of a series of rigorous tests provided support for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scales. Regression analyses were used to test the effects of win-win collaboration on social capital and supplier manufacturing performance as well as the mediating effects of social capital on the relationship between w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