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미국문화사 강의에서의 소설과 영화의 활용 - 1920년대 재즈 시대를 중심으로 - = The Use of Novel and Film Texts in the Cultural History Class of Americ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34825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논문은 소설과 영화 작품을 활용하여 효과적인 미국 문화사 교육 방안을 모색해 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F. S. 피츠제럴드의 소설 『위대한 개츠비』와 배즈 루어먼 감독의 영화 <위대한 개츠비>는 뛰어난 문학성과 예술성을 인정받은 문예 작품이기도 하지만 또 한편으로는 재즈 시대 또는 광란의 시대라고 일컫는 1920년대 미국의 사회상을 보여주는 좋은 텍스트이기도 하다.
      이러한 점에 착안하여 이 논문에서는 재즈 음악, 폭스트롯과 찰스턴 댄스, 음주와 흡연, 화려한 파티, 짧은 치마를 입고 단발머리에 짙은 화장을 한 신여성 플래퍼의 등장, 그리고 자동차 문화 등으로 대변되는 1920년대의 미국 문화사를 강의할 때 효과적인 교육을 위하여 소설 작품 『위대한 개츠비』와 동명의 영화 작품을 활용하는 방안을 제시해 보았다.
      길드 에이지에 구축된 기간 산업을 바탕으로 1920년대부터 본격적인 산업사회로 접어든 미국은 소비재의 대량 생산이 가능해졌다. 비약적인 발전 덕택에 기업은 엄청난 부를 축적하였고 이것은 개인에게 분배되어 미국은 바야흐로 대중 소비사회로 접어들게 되었다. 이러한 사회 변동과 더불어 1차 세계 대전이 끝난 후 젊은이들을 중심으로 미국인들은 정신적 방황을 겪었다. 이른바 길 잃은 세대라고 불린 이 시기의 미국인들은 전통적인 청교도 풍의 기성 질서에 대하여 반기를 들면서 도덕적인 타락과 환락에 빠져들기 시작했다.
      이러한 1920년대 미국 사회의 모습은 소설과 영화 작품으로도 소개되었는데 대표적인 사례가 바로 앞서 언급한 피츠제럴드의 소설 『위대한 개츠비』이며 그것을 영화로 만든 사례 가운데 최근 것이 바로 배즈 루어먼 감독의 작품이다. 이들은 각 장르의 특성, 즉 스토리텔링과 이미지텔링의 강점을 살려 기존 도덕과 질서가 붕괴된 1920년대 미국의 사회상을 생생하게 보여준다. 그러므로 문화사 강의에서도 이러한 점을 활용한다면 학생들의 흥미와 관심을 유발하여 교육 효과를 높일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역사 분야의 전문가가 아닌 소설가와 영화 감독이 만든 문예 작품이므로 역사적 사실에 대한 신뢰성을 담보하기는 어렵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문화사 강의에 있어서 소설과 영화를 활용해야 할 필요는 충분하다. 그 이유는 스토리텔링과 이미지 매체에 익숙한 신세대 학생들의 교육 현장에서는 소설과 영화를 이용하는 것이 기대 이상으로 효과적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문화사 강의의 보조 자료로서 소설과 영화를 활용하는 것은 권장되어야 하며 또한 효과적 활용 방안에 관하여 후속 연구가 이어지기를 기대한다.
      번역하기

      이 논문은 소설과 영화 작품을 활용하여 효과적인 미국 문화사 교육 방안을 모색해 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F. S. 피츠제럴드의 소설 『위대한 개츠비』와 배즈 루어먼 감독의 영화 <위대한...

      이 논문은 소설과 영화 작품을 활용하여 효과적인 미국 문화사 교육 방안을 모색해 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F. S. 피츠제럴드의 소설 『위대한 개츠비』와 배즈 루어먼 감독의 영화 <위대한 개츠비>는 뛰어난 문학성과 예술성을 인정받은 문예 작품이기도 하지만 또 한편으로는 재즈 시대 또는 광란의 시대라고 일컫는 1920년대 미국의 사회상을 보여주는 좋은 텍스트이기도 하다.
      이러한 점에 착안하여 이 논문에서는 재즈 음악, 폭스트롯과 찰스턴 댄스, 음주와 흡연, 화려한 파티, 짧은 치마를 입고 단발머리에 짙은 화장을 한 신여성 플래퍼의 등장, 그리고 자동차 문화 등으로 대변되는 1920년대의 미국 문화사를 강의할 때 효과적인 교육을 위하여 소설 작품 『위대한 개츠비』와 동명의 영화 작품을 활용하는 방안을 제시해 보았다.
      길드 에이지에 구축된 기간 산업을 바탕으로 1920년대부터 본격적인 산업사회로 접어든 미국은 소비재의 대량 생산이 가능해졌다. 비약적인 발전 덕택에 기업은 엄청난 부를 축적하였고 이것은 개인에게 분배되어 미국은 바야흐로 대중 소비사회로 접어들게 되었다. 이러한 사회 변동과 더불어 1차 세계 대전이 끝난 후 젊은이들을 중심으로 미국인들은 정신적 방황을 겪었다. 이른바 길 잃은 세대라고 불린 이 시기의 미국인들은 전통적인 청교도 풍의 기성 질서에 대하여 반기를 들면서 도덕적인 타락과 환락에 빠져들기 시작했다.
      이러한 1920년대 미국 사회의 모습은 소설과 영화 작품으로도 소개되었는데 대표적인 사례가 바로 앞서 언급한 피츠제럴드의 소설 『위대한 개츠비』이며 그것을 영화로 만든 사례 가운데 최근 것이 바로 배즈 루어먼 감독의 작품이다. 이들은 각 장르의 특성, 즉 스토리텔링과 이미지텔링의 강점을 살려 기존 도덕과 질서가 붕괴된 1920년대 미국의 사회상을 생생하게 보여준다. 그러므로 문화사 강의에서도 이러한 점을 활용한다면 학생들의 흥미와 관심을 유발하여 교육 효과를 높일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역사 분야의 전문가가 아닌 소설가와 영화 감독이 만든 문예 작품이므로 역사적 사실에 대한 신뢰성을 담보하기는 어렵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문화사 강의에 있어서 소설과 영화를 활용해야 할 필요는 충분하다. 그 이유는 스토리텔링과 이미지 매체에 익숙한 신세대 학생들의 교육 현장에서는 소설과 영화를 이용하는 것이 기대 이상으로 효과적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문화사 강의의 보조 자료로서 소설과 영화를 활용하는 것은 권장되어야 하며 또한 효과적 활용 방안에 관하여 후속 연구가 이어지기를 기대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aims at exploring how instructors in the cultural history class of America can use novel and film works to help students understand the society and culture of America in 1920s more efficiently and interestingly. The 1920s of America has been called the Jazz Age or the Roaring Twenties which is usually represented by money and gaiety. And also in that era, the trend of laissez-faire had been established as one of the lives, values and American ways of thinking in the age. All of these things in the 1920s had resulted from the industrial development and economic prosperity of America. The American of the 1920s found so-called ‘magic formula’ that had produced their wealth and satisfied their desire. The magic formula was composed of high level wages, mass-production, standardized products, nationwide marketing strategy, and mass-consumption. The industry had made various durable products such as cars, radios, movies, electrical irons, refrigerators, washing machines etc. and the consuming society had been formed in 1920s as a result.
      This article has examined the necessity to use novel and film texts as a supplementary in cultural history class of the American 1920s. To accomplish this paper’s purpose, the novel and film texts I have explored are the works of F. Scott Fitzgerald and Baz Luhrmann, whose title is The Great Gatsby. While criticizing American materialism, Fitzgerald described that American idealism essentially had the same root as the shallow materialism of America. His novel text depicted American life style and social aspect of 1920s such as the use of automobiles, the appearance of flappers and fox-trotters, the culture of drinking and partying etc..
      Similarly, Baz Luhrmann’s film text showed the phases of American society of the 1920s realistically. By adapting the original novel work in his own way, Baz Luhrmann showed the real lives of the American in the 1920s, which were represented by the actors who had the distinct individualities.
      As above-mentioned, the historical realities of the American culture in 1920s have been found in novel and film works of The Great Gatsby. But the novel and film texts can not be used as the main text in the American cultural history class because they just have described the historical realities of those days fragmentarily and also are not able to establish their credibilities as historical sources. Nevertheless, they need to be used as a supplementary text in the cultural history class because they help the students figure out the outline of the historical realities. Thus, the study aiming at finding out the teaching method using novel and film texts in the cultural history class needs to be conducted in succession.
      번역하기

      This paper aims at exploring how instructors in the cultural history class of America can use novel and film works to help students understand the society and culture of America in 1920s more efficiently and interestingly. The 1920s of America has bee...

      This paper aims at exploring how instructors in the cultural history class of America can use novel and film works to help students understand the society and culture of America in 1920s more efficiently and interestingly. The 1920s of America has been called the Jazz Age or the Roaring Twenties which is usually represented by money and gaiety. And also in that era, the trend of laissez-faire had been established as one of the lives, values and American ways of thinking in the age. All of these things in the 1920s had resulted from the industrial development and economic prosperity of America. The American of the 1920s found so-called ‘magic formula’ that had produced their wealth and satisfied their desire. The magic formula was composed of high level wages, mass-production, standardized products, nationwide marketing strategy, and mass-consumption. The industry had made various durable products such as cars, radios, movies, electrical irons, refrigerators, washing machines etc. and the consuming society had been formed in 1920s as a result.
      This article has examined the necessity to use novel and film texts as a supplementary in cultural history class of the American 1920s. To accomplish this paper’s purpose, the novel and film texts I have explored are the works of F. Scott Fitzgerald and Baz Luhrmann, whose title is The Great Gatsby. While criticizing American materialism, Fitzgerald described that American idealism essentially had the same root as the shallow materialism of America. His novel text depicted American life style and social aspect of 1920s such as the use of automobiles, the appearance of flappers and fox-trotters, the culture of drinking and partying etc..
      Similarly, Baz Luhrmann’s film text showed the phases of American society of the 1920s realistically. By adapting the original novel work in his own way, Baz Luhrmann showed the real lives of the American in the 1920s, which were represented by the actors who had the distinct individualities.
      As above-mentioned, the historical realities of the American culture in 1920s have been found in novel and film works of The Great Gatsby. But the novel and film texts can not be used as the main text in the American cultural history class because they just have described the historical realities of those days fragmentarily and also are not able to establish their credibilities as historical sources. Nevertheless, they need to be used as a supplementary text in the cultural history class because they help the students figure out the outline of the historical realities. Thus, the study aiming at finding out the teaching method using novel and film texts in the cultural history class needs to be conducted in succession.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Ⅰ. 머리말
      • Ⅱ. 1920년대 미국의 사회상
      • Ⅲ. 소설과 영화 속의 나타난 1920년대 미국의 사회상
      • Ⅳ. 맺음말
      • 〈국문초록〉
      • Ⅰ. 머리말
      • Ⅱ. 1920년대 미국의 사회상
      • Ⅲ. 소설과 영화 속의 나타난 1920년대 미국의 사회상
      • Ⅳ. 맺음말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프랜시스 스콧 피츠제럴드, "위대한 개츠비" 민음사 2003

      2 배즈 루어먼, "영화 <위대한 개츠비>"

      3 김진경, "영미문학의 길잡이2" 창비 2016

      4 싱클레어 루이스, "배빗" 열린책들 2011

      5 케네스 데이비스, "미국에 대해 알아야 할 모든 것, 미국사" 책과 함께 2003

      6 김현옥, "미국문화 속의 아메리칸드림과 자본주의:<파 앤 어웨이>, 『위대한 개츠비』, 그리고 <월스트리트>" 문학과영상학회 14 (14): 947-987, 2013

      7 임우진, "미국문학기행" 한국외국어대학교 출판부 2006

      8 김욱동, "미국 소설의 이해" 소나무 2001

      9 강준만, "개츠비는 왜 위대한가" 인물과 사상 2013

      10 Berle A., "The Modern Corporation and Private Property" 1968

      1 프랜시스 스콧 피츠제럴드, "위대한 개츠비" 민음사 2003

      2 배즈 루어먼, "영화 <위대한 개츠비>"

      3 김진경, "영미문학의 길잡이2" 창비 2016

      4 싱클레어 루이스, "배빗" 열린책들 2011

      5 케네스 데이비스, "미국에 대해 알아야 할 모든 것, 미국사" 책과 함께 2003

      6 김현옥, "미국문화 속의 아메리칸드림과 자본주의:<파 앤 어웨이>, 『위대한 개츠비』, 그리고 <월스트리트>" 문학과영상학회 14 (14): 947-987, 2013

      7 임우진, "미국문학기행" 한국외국어대학교 출판부 2006

      8 김욱동, "미국 소설의 이해" 소나무 2001

      9 강준만, "개츠비는 왜 위대한가" 인물과 사상 2013

      10 Berle A., "The Modern Corporation and Private Property" 1968

      11 Divine R. A., "The American Story (vol. 2)" Longman 2002

      12 Soule, G., "Prosperity Decade: from War to Depression, 1917-1928" Holt, Rinchart & Winston 1947

      13 Faragher J. M., "Out of Many: A History of the American People" Prentice Hall 2001

      14 Allen, F. L., "Only Yesterday: An Informal History of the Nineteen-Twenties" BANTAM BOOKS 1946

      15 Fitzgerald F. S., "Great Gatsby" David Campbell Publishers Ltd 1991

      16 김형곤, "1920년대 미국 소비사회의 형성배경과 영향" 9 : 199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6-22 학회명변경 한글명 : 무악실학회 -> 역사실학회
      영문명 : Mooak Silhakhoe : The Historical Society Of Mooak Silhak -> Yeoksa Silhakhoe: The Historical Society of Yeoksa Silhak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5 0.65 0.7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74 0.69 1.438 0.2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