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진단검사의학과 검사건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 Anlysis of Factors Affecting the Numbers of Clinical Laboratory Test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7517965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investigating variables affecting the numbers of clinical laboratory tests. Method : Data about the number of clinical laboratory tests, hospital characteristics, and the number of patients between January 199...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investigating variables affecting the numbers of clinical laboratory tests.
      Method : Data about the number of clinical laboratory tests, hospital characteristics, and the number of patients between January 1999 and December 1999 was collected. Data resources were Statistical Yearbook, Standardization Audit by Korean Hospital Association and Internal Data Set of each hospital.
      Hospital characteristics were hospital ownership, tertiary care hospital, duration since opening, licensed hospital beds, the rates of medical inpatient and outpatient.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applied to find factors affecting the number of clinical laboratory tests. Models for WBC, RBC, Hb, Hct, PLT, LDC, PT, PTT, AST, ALT, and GLU were statistically adequate.
      Results : As the results, hospital ownership, duration since opening, licensed hospital beds, the rate of medical outpatient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Private hospitals showed higher numbers than public hospitals, hospitals within 5 years since opening showed higher numbers than others. The licensed hospital beds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numbers of the tests, whereas the rates of medical outpatient was negatively correlated.
      Conclusion : In conclusion, hospital characteristics affect the numbers of clinical laboratory tests. It could be a clue why the costs of medical services were different among medical facilitie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연구목적: 진단검사의학은 환자의 진료에 필수적인 요소로서 정확한 진단, 치료방향의 결정, 치료효과의 판정, 질병경과의 판단 및 예후 추정의 근거가 된다. 국내 의료기관에서는 혈액학...

      연구목적:
      진단검사의학은 환자의 진료에 필수적인 요소로서 정확한 진단, 치료방향의 결정, 치료효과의 판정, 질병경과의 판단 및 예후 추정의 근거가 된다. 국내 의료기관에서는 혈액학적 검사, 미생물검사, 면역혈청검사, 면역혈액검사, 생화학검사, 기생충검사, 응급검사, 최근 효소법으로 대체되고 있는 방사성동의원소검사, 병리조직검사, 기타 특수검사 등 많은 검사를 시행하고 있다. 의료기관의 검사검수는 질병의 종류, 중증도 등에 따라 다를것으로 예상되나 검사건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설명하는 연구는 많지 않다.
      병원의 특성은 병원의 지리적, 조직적 특성을 말하는 것으로 병원의 특성에 따라 환자의 종류 및 구성이 다르며 의료기관 종류, 진료시설, 장비수준, 관리운영상의 차이, 조직구성 등에 따라 진료비도 많은 영향을 받는다. 또한 의학기술 발달과 자동화로 인해 장비의 보유 및 사용에 의료기관이 특성이 반영될 수 있다.
      이 연구에서는 의료기관의 특성이 진단의학과 검사건수의 변화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병원급 이상 의료기관의 진단검사의학과에서 발생하는 검사건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과 그방향서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방법 :
      199년 1월 1일부터 1999년 12월 31일까지의 진단검사의학과 검사건수, 각 병원별 특성, 환자 진료실적을 각 병원의 통계연보, 각 병원 표준화 심사자료, 각 병원 내부자료를 이용하여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병원조직의 특성 변수로는 설립구분, 종합전문요양기관 유무, 개설연도, 허가병상수를 선정하였고, 환자구성의 특성 변수로는 내과계 입원환자비율, 내과계 외래환자비율을 선정하였다. 검사건수는 대상 의료기관 전체에서 공토으로 시행하는 진단검사의학과의 16갖 검사항목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연구대상 의료기관의 병원특성 및 환자특성과 검사건수의 분포를 살펴보았으며 병원조직의 특성과 환자구성의 특성 변수에 대하여 t-검정 및 상관분석을 시행하여 검사건수와 관련성을 보이는 변수를 분석하였다. 검사건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에 대하여 중회귀분석을 시행하여 16개 검사항목 중 WBC, RBC, Hb, Hct, PLT, LDC, PT, PTT, AST, ALT, GLU에 대하여 통계학적으로 타당한 모형을 구성하였다.
      결과 :
      1) WBC의 검사건수의 변화는 44.1%를 설명할 수 있었으며 민간병원에서, 허가병상수가 많을수록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검사건수가 증가하였고 내과계 외래환자비율이 높을수록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검사건수가 감소하였다.
      2) RBC의 검사건수의 변화는 37.7%를 설명할 수 있었으며 민간병원에서 허가병상수가 많을수록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검사건수가 증가하였다.
      3) Hb의 검사건수의 변화는 43%를 설명할 수 있었으며 민간병원에서 허가병상수가 많을수록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검사건수가 증가하였고 내과계 외래환자비율이 높을수록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검사건수가 감소하였다.
      4) Hct의 검사건수의 변화는 39.8%를 설명할 수 있었으며 민간병원에서 허가병상수가 많을수록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검사건수가 증가하였고 내과계 외래환자비율이 높을수록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5) PLT의 검사건수의 변화는 73.7%를 설명할 수 있었으며 민간병원에서 허가병상수가 많을수록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검사건수가 증가하였고 내과계 외래환자 비율이 높을수록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6) PT의 검사건수의 변화는 52.0%를 설명할 수 있었으며 개설연도가 5년 이하인 병원에서, 하거병상수가 많을수록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검사건수가 증가하였고 내과계 외래환자비율이 높을수록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7) PTT의 검사건수의 변화는 37.5%를 설명할 수 있었으며 허가병상수가 증가할수록 검사건수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8) AST의 검사건수의 변화는 39.1%를 설명할 수 있었으며 허가병상수가 증가할수록 검사건수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내과계 외래환자비율이 높을수록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9) ALT의 검사건수의 변화는 41.0%를 설명할 수 있었으며 허가병상수가 증가할수록 검사건수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내과계 외래환자비율이 높을수록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10) GLU의 검사건수의 변화는 25.8%를 설명할 수 있었으며 민간병원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검사건수가 높았고 내과계 외래환자비율이 높을수록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결론 :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검사종류에 따라 차이가 있으나 설립구분, 개설연도, 허가병상수, 내과계 외래환자비율에 따라서 검사건수에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고 볼 수 있다. 공공병원에 비하여 민간병원에서, 설립한 지 5년이 지난 병원에 비해 5년 이내인 병원에서 검사건수가 많고 허가병상수가 많을수록 검사건수가 증가하며 내과계 외래환자비율이 높을수록 검사건수는 감소한다.
      이 연구결과에서 의료기관의 특성이 진단으학과 검사건수에 영향을 미치는것을 알 수 있었다. 검사비용은 진료비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므로 검사비용의 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밝히는 것은 진료비 관리 방안 개발에 중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향후에는 보다 다양한 의료기관에 대해서 풍부한 자료를 바탕으로 진단검사 의학과 검사건수에 영향을 미치는 여러 요인들에 대한 분석이 이루어져 의료 서비스와 진료비 관리방안 개발에 기여할 수 있기를 바란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Abstract
      • 서론
      • 연구대상 및 방법
      • 1. 연구대상 및 자료수집
      • 2. 분석변수 및 분석방법
      • Abstract
      • 서론
      • 연구대상 및 방법
      • 1. 연구대상 및 자료수집
      • 2. 분석변수 및 분석방법
      • 3. 분석 방법
      • 연구결과
      • 고찰
      • 1. 연구방법 및 자료에 대한 고찰
      • 2. 연구결과에 대한 고찰
      • 요약
      • References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