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4차 산업혁명과 한자의 문화콘텐츠화 : 질주정에 맞선 대항헤게모니의 가능성 탐색을 중심으로 =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nd Cultural Contentization of Hanja : Focusing on Exploring Possibilities of Counterhegemony against Dromocrac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66176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현시대에 이르러 이른바 4차 산업혁명의 담론이 범람하고 있다. 이처럼 엄중한 상황에서 인문학의 사회적 책무는 4차 산업혁명이란 것은 도대체 무엇인지, 그것은 또 어떠한 역사사회적 과정과 맥락에서 등장하게 됐는지를 규명하는 작업을 최우선 과제로 삼는 일일 것이다. 이런 문제의식을 토대로, 이 작업은 현시대, 4차 산업혁명의 시대를 속도혁명 또는 질주정적 혁명의 시대로 상정, 규명하고, 속도-헤게모니에 맞설 수 있는 리듬-대항헤게모니의 가능성, 달리 말해 그 둘 간의 변증법적 관계 설정의 가능성을 한자의 문화콘텐츠화에서 모색한다. 다양한 이론적 작업을 통해 한자의 문화콘텐츠화를 뒷받침하고 한자 자체의 사회적 가치를 증진하는 것이야말로 미래의 시민과 시민사회 형성에 기여하리라는 주장도 아울러 펼친다.
      번역하기

      현시대에 이르러 이른바 4차 산업혁명의 담론이 범람하고 있다. 이처럼 엄중한 상황에서 인문학의 사회적 책무는 4차 산업혁명이란 것은 도대체 무엇인지, 그것은 또 어떠한 역사사회적 과...

      현시대에 이르러 이른바 4차 산업혁명의 담론이 범람하고 있다. 이처럼 엄중한 상황에서 인문학의 사회적 책무는 4차 산업혁명이란 것은 도대체 무엇인지, 그것은 또 어떠한 역사사회적 과정과 맥락에서 등장하게 됐는지를 규명하는 작업을 최우선 과제로 삼는 일일 것이다. 이런 문제의식을 토대로, 이 작업은 현시대, 4차 산업혁명의 시대를 속도혁명 또는 질주정적 혁명의 시대로 상정, 규명하고, 속도-헤게모니에 맞설 수 있는 리듬-대항헤게모니의 가능성, 달리 말해 그 둘 간의 변증법적 관계 설정의 가능성을 한자의 문화콘텐츠화에서 모색한다. 다양한 이론적 작업을 통해 한자의 문화콘텐츠화를 뒷받침하고 한자 자체의 사회적 가치를 증진하는 것이야말로 미래의 시민과 시민사회 형성에 기여하리라는 주장도 아울러 펼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We have, up to the contemporary era, been inundated with discourses of the so-called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Under such a serious situation, the social responsibility of humanities would be to prioritize the need to address the two following questions: one, what is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nd, the other, in what historical-social processes and contexts it has come into play. Based on such problematization, this work, most of all, seeks to postulate and identify the contemporary era as that of the speed revolution or dromocratic revolution, and explores some possibilities of rhythm-counterhegemony against speed-hegemony, which is, in other words, those of establishing a dialectical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within the context of cultural contentization of Hanja. And it is also argued that not merely supporting the cultural contentization of Hanja as such through a variety of theoretical works but promoting the social value of Hanja per se will contribute to the formation of future citizens and future civil society. For, “rhythms - historical, but also everyday, ‘at the heart of the lived [au plus près de vécu]’ - are not, in our opinion, strangers.” as Henri Lefebvre claims.
      번역하기

      We have, up to the contemporary era, been inundated with discourses of the so-called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Under such a serious situation, the social responsibility of humanities would be to prioritize the need to address the two following que...

      We have, up to the contemporary era, been inundated with discourses of the so-called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Under such a serious situation, the social responsibility of humanities would be to prioritize the need to address the two following questions: one, what is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nd, the other, in what historical-social processes and contexts it has come into play. Based on such problematization, this work, most of all, seeks to postulate and identify the contemporary era as that of the speed revolution or dromocratic revolution, and explores some possibilities of rhythm-counterhegemony against speed-hegemony, which is, in other words, those of establishing a dialectical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within the context of cultural contentization of Hanja. And it is also argued that not merely supporting the cultural contentization of Hanja as such through a variety of theoretical works but promoting the social value of Hanja per se will contribute to the formation of future citizens and future civil society. For, “rhythms - historical, but also everyday, ‘at the heart of the lived [au plus près de vécu]’ - are not, in our opinion, strangers.” as Henri Lefebvre claim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1. OFF/FACE → FACE/OFF (1): 4차 산업혁명, 변화, 속도 2. OFF/FACE → FACE/OFF (2): 질주정이 지배하는 현시대의 한 단면 3. 4차 산업혁명: ‘질주정의 역사 + 자본주의 발달사’의 역사사회적 이행 4. 질주정과 한자의 문화콘텐츠화 간 모순적 관계에 대한 진단과 그 극복 - 질주정에 맞선 대항헤게모니의 가능성 5. 서예의 명명 불가능성, 체험, 리듬 6. 한자 자체의 사회적 가치 증진을 위한 이론화 작업의 필요성
      • 1. OFF/FACE → FACE/OFF (1): 4차 산업혁명, 변화, 속도 2. OFF/FACE → FACE/OFF (2): 질주정이 지배하는 현시대의 한 단면 3. 4차 산업혁명: ‘질주정의 역사 + 자본주의 발달사’의 역사사회적 이행 4. 질주정과 한자의 문화콘텐츠화 간 모순적 관계에 대한 진단과 그 극복 - 질주정에 맞선 대항헤게모니의 가능성 5. 서예의 명명 불가능성, 체험, 리듬 6. 한자 자체의 사회적 가치 증진을 위한 이론화 작업의 필요성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냉정과 열정사이, "「영웅: 천하의 시작(Hero, 2002)_액션, 드라마, 전쟁_중국」, 블로그"

      2 이스토리랩, "「2019 부산국제광고제 Grand Prix – FACE/OFF」, 블로그"

      3 정상옥, "해서 유변(楷書流變)과 종류 및 기본 운필법" 대한사립중고등학교장회 (90) : 65-71, 1999

      4 하영삼, "한자의 세계" 신아사 2013

      5 선주선, "학서(學書)의 순서와 영자팔법(永字八法)" 대한사립중고등학교장회 (80) : 107-111, 1997

      6 배영달, "폴 비릴리오" 커뮤니케이션북스 2017

      7 김동하, "중국의 지능정보사회를 위한 교육분야 규범화에 대한 연구" 대한중국학회 (62) : 243-266, 2018

      8 "우리말샘"

      9 전국조, "앙리 르페브르 이해하기: 이론과 가능한 것" 경성대학교 출판부 2018

      10 Armitage, J., "속도와 정치" 그린비 2004

      1 냉정과 열정사이, "「영웅: 천하의 시작(Hero, 2002)_액션, 드라마, 전쟁_중국」, 블로그"

      2 이스토리랩, "「2019 부산국제광고제 Grand Prix – FACE/OFF」, 블로그"

      3 정상옥, "해서 유변(楷書流變)과 종류 및 기본 운필법" 대한사립중고등학교장회 (90) : 65-71, 1999

      4 하영삼, "한자의 세계" 신아사 2013

      5 선주선, "학서(學書)의 순서와 영자팔법(永字八法)" 대한사립중고등학교장회 (80) : 107-111, 1997

      6 배영달, "폴 비릴리오" 커뮤니케이션북스 2017

      7 김동하, "중국의 지능정보사회를 위한 교육분야 규범화에 대한 연구" 대한중국학회 (62) : 243-266, 2018

      8 "우리말샘"

      9 전국조, "앙리 르페브르 이해하기: 이론과 가능한 것" 경성대학교 출판부 2018

      10 Armitage, J., "속도와 정치" 그린비 2004

      11 전국조, "속도와 리듬의 변증법적 관계에 기초한 새로운 도시사회 및 그 주체의 가능성 - 식민적 질주권 부산의 사회적 생산과 탈식민화의 가능성을 중심으로" 경성대학교 2017

      12 로자 하르트무트, "사회학 이론: 시대와 관점으로 본 근현대 이야기" 한울아카데미 2016

      13 앙리 르페브르, "리듬분석: 공간, 시간, 그리고 도시의 일상생활" 갈무리 2013

      14 "국제영어대학원대학교 신어사전"

      15 "urbandictionary"

      16 앙리 르페브르, "[단행본]공간의 생산" 에코리브르 2011

      17 Gramsci, A., "The Gramsci Reader: Selected Writings 1916-1935" New York University Press 2000

      18 Gramsci, A., "Selections from Prison Notebooks" International Publishers 1971

      19 Virilio, P., "Pure War: Twenty-Five Years Later" Semiotext(e) 2008

      20 Cranny-Francis, A., "Multimedia: Texts and Contexts" Sage 2005

      21 Hurtrez, L., "Film Analysis in English" Ophrys 2013

      22 Schlunke, K., "Cultural Theory in Everyday Practice" Oxford University Press 177-186, 2008

      23 "AD STARS 2019 Grand Prix, Face/Off"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28 0.28 0.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29 0.27 0.439 0.1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