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중국 조선족 대학생의 성 태도 및 성 행동에 관한 연구 -연변 1개 대학을 중심으로- = Sexual Attitude and Sexual Behavior of the Chinese-Korean University Student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9966752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결과에서 연변소재 대학생의 성 태도는 5점 만점에 평균 2.53점으로 보수와 개방적 태도의 중간을 나타내고, 성경험은 수차례의 성관계를 경험한 경우를 7점으로 했을 때 본 연구결과...

      본 연구결과에서 연변소재 대학생의 성 태도는 5점 만점에 평균 2.53점으로 보수와 개방적 태도의 중간을 나타내고, 성경험은 수차례의 성관계를 경험한 경우를 7점으로 했을 때 본 연구결과는 평균 5.24점으로서 ‘성기를 중심으로 한 애무’(5점)나 ‘한 번의 성관계를 했던 정도’(6점) 사이의 성 행동을 보여준 것으로 나타났다. 성 태도의 하부영역에서는 미래지향(2.76), 또래압력(2.66), 허용성(2.46), 부모가치 (2.02)의 순으로 나타나, 대상자들이 혼전 성관계에 대해 아직은 보수적인 태도를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연구대상자들의 성태도와 부모가치와는 차이가 있어 대학생들의 성 태도가 부모들의 성에 대한 가치보다 훨씬 개방적인 것으로 나타나고 있었다. 이는 성 태도의 하부영역 중에서 부모가치는 가장 낮아(2.02) 대상자의 생각에 자신의 부모는 자녀가 결혼 전까지는 혼전 순결을 지키기를 원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내고 있다. 성 태도 중 미래지향 영역이 가장 높은 점수를 보이고 있는데 이는 혼전 성관계가 자신의 미래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것을 고려하고 있음을 보이고 있었다. 또래압력은 2순위를 나타내고 있어 결혼을 하지 않은 상태에서 성관계를 갖는 것을 허용하는 것에 대한 본인의 허용성보다 친구들의 압력에 의한 성관계에 대한 허용성이 더 높음을 볼 수 있다. 본 연구에서 성경험의 점수가 평균 5.24점이라는 것은 성행동 척도에서 1점은 ‘손잡기’, 3점은 ‘키스‘, 5점은’성기를 중심으로 한 애무‘, 6점은’한 번의 성관계‘라는 것을 살펴볼 때 대상자는 보수적인 성 태도에 비해 성 행동은 훨씬 개방적인 흥미 있는 결과를 보이고 있다. 성 행동 중 키스의 경험이 있는 학생은 50.9%, 단 한 번의 성관계 경험이 있는학생은 4.4%, 여러 번의 성관계 경험이 있는 학생은 8.1%로 나타났다. 이는 한국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Chang(1995)의 연구에서 키스와 포옹을 79.7%로 보고 하였고, Kang과 Son(1998)의 연구에서는 이성교제 시 경험하는 이성과의 관계 정도는 키스 31.8%, 손잡기 27.9%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Hwang(2002)의 연구에서 성행동의 기준은 진한 애무부터가 성 행동이라고 응답한 학생이 전체 61.1%로 가장 많았으며, 그 다음으로 입맞춤이나 가벼운 포옹이 19.9%, 성관계가 15.8%, 손잡거나 팔짱 또는 어깨동무가 2.8%의 순으로 나타나고 있었다. 이는 중국 조선족 대학생과 한국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결과와 비교할 때 큰 차이를 보이지 않고 있었다. 본 연구에서 대상자의 성 경험은 12.8%로 최근의 중국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선행연구 자료를 찾기 어려워 비교할수 없었으나 미국에 거주하고 있는 중국계 미국대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60% 이상의 대상자들이 혼전 성경험을 한 것으로 볼 때(Huang & Uba, 2005) 문화적 가치에 따른 차이를 감안한다 할지라도 본 연구에 참여한 학생들이 실제 성경험이 있어도 솔직하게 응답하지 않았을 수도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한국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Lee(1994)의 연구에서는 31.2%가 성경험이 있다고 하였고, Yeon 등(1997)은 대학생 2,343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연구에서 27.9%가 성관계를 경험한 것으로 보고하였고, Ahn, Chung과 Lee(1997)는 대학생의 19%, Go(2001)는27.6%(남자 46.8%, 여자 14.5%), Hwang(2002)은50.3%(남자 61.2%, 여자 38.8%), Lee, Kim과 Lee(2003)는 대학생의 30%가 성경험이 있는 것으로 보고하고있다. 이와 같이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 결과들은 대학생들의 성 경험이 19%~50.3%의 다양한 보고를 하고 있는것과 비교할 때, 본 연구결과는 한국의 선행 연구결과들 보다는 성 경험이 낮게 나타나고 있었다. 본 연구 결과에서 대상자들의 성 태도와 성 행동 간에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타내고 있었는데, 성 태도의 하위영역 중허용성과 성 행동 간의 정적인 상관관계가 가장 유의한 것은성 태도가 허용적일수록 성 행동을 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Son(2003)은 한국 여고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허용적인 성 태도를 지닐수록 성 행동이나 성경험을 많이 하는 것으로 보고하고 있으며, 대학생의 성의식과 성행동에 관한 연구(Park, 2002)에서도 혼전 성 행동은 성 태도에 따라서 가장 많이 좌우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심리학의 이론에 의하면 한 개인이 특정행동에 대해 갖게 되는 태도에 따라 행동이 결정된다고 하는데 행동은 곧 태도를 반영한다는 점에서 개방적인 성 태도를 가진다는 것은 성 행동도 개방적일 수 있음을 의미한다고 볼 수 있다. 또래압력과 성행동 간의 정적 상관관계는 함께 어울리는 또래의 성 태도가 대상자의 성 행동과도 관계가 있음을 시사 하고 있다. 미국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결과에서 또래집단의 성 활동이 적극적인 대상자들은 더 많은 성경험을 하는 것으로 나타나 본 연구결과와 일치된 연구결과를 보이고 있으나(Page, Hammermeister, & Scanian, 2000), 남녀대학생들의 성 행동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을 조사한 Yoon(1995)의 연구에서는 또래친구의 성 행동은 유의한 영향을 주지 않았다고 보고하고 있다. 반면에 여자고등학생들과 여자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는 또래집단의 혼전 성경험이 응답자들의 혼전 성관계를 예측하는 중요한 변수로 보고하면서 친한 친구의 성 태도와 성 행동이 청소년들의 성 행동에 어떻게 관련되어 있는가 하는 것은 일관적이지는 않으나 나이가 들수록 친구의 영향력이 줄어드는 것으로 나타났다고하였다(Herold & Goodwin, 1981). 본 연구에서 부모가치와 대상자의 성 행동 간의 상관관계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흥미로운 결과를 보여주고 있다. 부모의 성 태도가 보수적일수록(허용성이 낮을수록) 대상자의 성 행동이 낮게 나타난 것은 자신의 허용적인 성 태도와 관계없이 부모의 성 태도가 자녀들의 성 행동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선행연구에서도 부모의 감독은 청소년 자녀들의 성 행동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Small & Luster, 1994). 대상자들의 성 태도가 허용적일수록 성 행동을 많이 하고, 성 허용성이 낮음에도 성행동이 개방적인 것은 전인교육 측면의 성교육이 필요함을 반영하고 있는 것이라고 본다. 성 태도 점수는 남학생(3.29)이 여학생 (2.20) 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할 정도로 높게 차이가 있었는데 이는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훨씬 개방적인 성 태도를 가졌음을 보여준 것이다. 이는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남학생의 74.8%, 여학생의 46.5%가 혼전 성관계를 허용할 수 있다는 입장을 보인 연구결과(Cho & Kim, 2001)와 일치한다고 볼 수 있다. 종교가 있는 학생과 없는 학생의 성 태도는 두 집단 간에 차이가 있어 종교가 없는 학생들의 성 태도 점수가 종교가 있는 학생들의 점수보다 높은 결과를 보이고 있어 종교가 이들의 성 태도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최근에 한국에서 발표된 ‘2006년 전국대학생 의식조사 비교분석 자료집’(Lee, 2006, godpeople.com)에 의하면 혼전 성관계에 대해 비기독대학생들은 15%만 부정적인 응답을 한데 비해, 기독대학생들은 59.6%가 ‘무조건 반대한다’고 응답해 성 태도에서 분명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본 연구의 대상자가 중국의 사회주의 국가의 일원이나 기독교 학교의 재학생이며, 같은 기숙사에서 살고 있는 남녀 대학생들이므로 혼전 성태도와 성행동이 개방적인 결과를 보여준 것은 이들 대학생들 특히 신입생을 대상으로 한성교육이 절실히 필요함을 시사하고 있다. 특히 한 번의 성 경험자(4.4%)보다 여러 번의 성 경험자(8.1%)가 많았던 것은 첫 경험이 어렵고 두렵지만 다음부터는 두려운 것이 덜해지는 것을 보여주고 있음이다. Gruber와 Grube(2000)는 성교육을 통하여 올바른 성지식을 습득하였을 때 성에 대해 올바른 태도를 가질 수 있고, 성에 관한 부정적인 정보의 영향을 적게 받으며, 직접적인 성행동이 감소될 수 있다고 하였다. 그러므로 대학생들의 교양과목에 청소년기의 성적 발달, 성과 사랑, 결혼학 개론 등을 개설하고 시청각 교육이나 토론학습 등을 통해 성에 대한 올바른 가치관을 심어 주는 것이 중요하다고 본다. 본 연구는 근래의 중국 대학생의 성 태도, 성 행동에 관한 선행연구가 부족하여 본 연구결과와 직접적으로 비교하지 못한 아쉬움이 있으나 중국내 연변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성 태도와 성 행동을 처음으로 조사하였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고보며, 본 연구결과를 추후 연변 대학생들의 성교육 프로그램의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plore sexual attitude, sexual behavior and the related factors in chinese-Korean university students. Method: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with cross-sectional design was used. Participants were 271 Chinese ...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plore sexual attitude, sexual behavior and the related factors in chinese-Korean university students. Method: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with cross-sectional design was used. Participants were 271 Chinese undergraduate students in one university in Jilin, China. Correlation coefficiency and t-test were used to find the relationships and to compare sexual attitude and sexual behavior and related factors. Result: Although sexual attitude of participants was moderate, they were more likely to be engaged in sexual behavior. The strong relationship between sexual attitude and sexual behavior suggested that those who have a permissive sexual attitude were more likely to have engaged in sexual behavior. The participants who responded that their parents have a less permissive attitude about sexual activity were less likely to be engaged in sexual behavior. There were significant relationships between sexual behavior and other variables, such as dating, experience of sexual activity, smoking and grades. Conclusion: Students who have a higher score of sexual attitude and had an experience of sexual activity were more likely to be at higher risk of being sexually.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