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중남미 한인사회에서의 한국어 상실과 보존-미국 한인사회와의 비교연구 결과보고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G359029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I.연구목적 및 방법 II.중남미 한인사회와 미국 한인사회에 대한 사회언어학적 분석 III.중남미 한인사회와 미국 한인사회에 대한 사회심리학적 분석 IV.맺는 말

      I.연구목적 및 방법

      II.중남미 한인사회와 미국 한인사회에 대한 사회언어학적 분석

      III.중남미 한인사회와 미국 한인사회에 대한 사회심리학적 분석

      IV.맺는 말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ntes de la independencia de Corea en 1945 unos cuatro millones de coreanos emigraron a los países extranjeros como China, Rusia y Japón. Pero durante este período muchos coreanos emigraron a los extranjeros involutariamente debido a la situación política y económica de Corea. Las grandes masas de emigración oluntaria se organizaron por el dictador militar Park Jung-Hee en el año 1962 para resolver los problemas del desempleo y el exceso de población. La emigración para la mejor calidad de vida, después de iniciar este período, se concentró principalmente en los lugares de Estados Unidos y Latinoamérica hasta la mitad de los años 80. La mayoría de los coreanos que emigraron a Estados Unidos durante este período fueron estudiantes, ingenieros, músicos, enfermeras y hombres de negocios, etc. que poseían una característica llamada "la emigración élite". Pues su motivo de la emigración no fue sólo por lo económico sino también por el deseo de vivir en un país que siempre admiraban los coreanos. Al contrario, durante el mismo período, los coreanos emigraron a los países latinoamericanos más por el motivo económico. Y también los coreanos que emigraron a Estados Unidos ya habían estudiado inglés en las escuelas en Corea mientras que la mayoría de los coreanos llegaron a los países latinoamericanos sin tener ningún dominio del español. Con lo cual los coreanos que emigraron a Sudamérica no tiene otro remedio que tener una comunidad coreana diferente a la de Estados Unidos. También la mayoría de los inmigrantes coreanos en Latinoamérica se dedican en los negocios textiles como empresa principal de la familia mientras que los inmigrantes coreanos en Estados Unidos se dedican en varios negocios. Pues la característica de la comunidad coreana en Latinoamérica se diferencia mucho a la de la coreana en Estados Unidos y estas diferencias causan la diferente manera de mantener o perder la lengua coreana. Por lo tanto, el presente trabajo investiga en cómo se diferencia el uso del coreano en ambas comunidades. Para hacer esto, analiza las variables sociales que hayan influido en el mantenimiento y la pérdida del coreano a través de los cuestionarios. Una vez tomados los resultados de la estadística de la población y los del análisis sociolingüístico dentro de la comunidad coreana en los países latinoamericanos, el presente trabajo los comparara con los de EEUU, y a través de éstos, averigua en cómo se diferencia el uso del coreano en las dos respectivas comunidades. Finalmente el presente trabajo concluye que la lengua coreana se mantiene mejor en la comunidad coreana en Latinoamérica que en la coreana en Estados Unidos.
      번역하기

      Antes de la independencia de Corea en 1945 unos cuatro millones de coreanos emigraron a los países extranjeros como China, Rusia y Japón. Pero durante este período muchos coreanos emigraron a los extranjeros involutariamente debido a la situación ...

      Antes de la independencia de Corea en 1945 unos cuatro millones de coreanos emigraron a los países extranjeros como China, Rusia y Japón. Pero durante este período muchos coreanos emigraron a los extranjeros involutariamente debido a la situación política y económica de Corea. Las grandes masas de emigración oluntaria se organizaron por el dictador militar Park Jung-Hee en el año 1962 para resolver los problemas del desempleo y el exceso de población. La emigración para la mejor calidad de vida, después de iniciar este período, se concentró principalmente en los lugares de Estados Unidos y Latinoamérica hasta la mitad de los años 80. La mayoría de los coreanos que emigraron a Estados Unidos durante este período fueron estudiantes, ingenieros, músicos, enfermeras y hombres de negocios, etc. que poseían una característica llamada "la emigración élite". Pues su motivo de la emigración no fue sólo por lo económico sino también por el deseo de vivir en un país que siempre admiraban los coreanos. Al contrario, durante el mismo período, los coreanos emigraron a los países latinoamericanos más por el motivo económico. Y también los coreanos que emigraron a Estados Unidos ya habían estudiado inglés en las escuelas en Corea mientras que la mayoría de los coreanos llegaron a los países latinoamericanos sin tener ningún dominio del español. Con lo cual los coreanos que emigraron a Sudamérica no tiene otro remedio que tener una comunidad coreana diferente a la de Estados Unidos. También la mayoría de los inmigrantes coreanos en Latinoamérica se dedican en los negocios textiles como empresa principal de la familia mientras que los inmigrantes coreanos en Estados Unidos se dedican en varios negocios. Pues la característica de la comunidad coreana en Latinoamérica se diferencia mucho a la de la coreana en Estados Unidos y estas diferencias causan la diferente manera de mantener o perder la lengua coreana. Por lo tanto, el presente trabajo investiga en cómo se diferencia el uso del coreano en ambas comunidades. Para hacer esto, analiza las variables sociales que hayan influido en el mantenimiento y la pérdida del coreano a través de los cuestionarios. Una vez tomados los resultados de la estadística de la población y los del análisis sociolingüístico dentro de la comunidad coreana en los países latinoamericanos, el presente trabajo los comparara con los de EEUU, y a través de éstos, averigua en cómo se diferencia el uso del coreano en las dos respectivas comunidades. Finalmente el presente trabajo concluye que la lengua coreana se mantiene mejor en la comunidad coreana en Latinoamérica que en la coreana en Estados Unido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좀더 나은 환경과 조건을 위해 자의적으로 시작된 1962년 이민법 제정 이후의 이민은 80년대까지 주로 북미와 중남미 지역에 집중되었다. 그 중에서도 가장 많은 한인들이 선호한 미국이민은 80년대 중반까지 유학생의 현지 체류를 비롯하여 의사, 간호사, 사업가, 엔지니어 등 고급학력을 가진 사람들이 이민의 주류를 이루는 ‘엘리트 이민’의 성격을 띄었으며 이민의 목적도 경제적 이유만이 아닌 정치적으로 안정된 나라에 살고 싶은 욕망과 신학문 탐구열 등의 낭만적 요소를 내포하고 있었다. 반면 같은 시기에 이루어진 중남미 이민은 어느 정도 ‘낭만적’ 성격을 띄었던 미국이민에 비해 주로 경제적 이유에서 이루어졌다. 또한 미국에 이주한 한인들이 한국의 중ㆍ고등 교육과정에서 영어를 학습한 반면 중남미에 이주한 한인들의 대부분은 스페인어 또는 포르투갈어(브라질의 경우)에 대한 사전학습이 미흡한 상태에서 현지에 도착하였다.
      이와 같이 중남미에 이주한 한인들의 성격은 미국에 존재하는 한인공동체와는 다를 수밖에 없으며 이들의 현지언어 습득과정 역시 미국에 거주하는 한인들의 영어습득과정과는 구분되어 질 수밖에 없다. 또한 미국 이민자들이 다양한 업종에 종사하는 반면에 중남미 이민자들의 상당수가 섬유업에 종사하며 가족중심의 사업체를 운영하고 있다. 중남미 이민 1세대들 중에서 경제적으로 성공한 사람들은 그들 자녀를 영어로 수업을 진행하는 외국인 학교에 보내는 경우가 많으며 이민 1.5세대나 2세대들의 한국으로의 대학진학 비율 또한 재미한인들보다 높다. 따라서 이민 2, 3세대의 주류사회 편입에 따른 한인공동체 이탈비율이 중남미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재미 한인들과 중남미 한인들간의 언어사용실태는 서로 다를 수밖에 없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재미한인들의 영어-스페인어 사용에 관해서는 많은 논의와 연구가 진행되었으나 중남미 한인들의 스페인어-한국어 사용에 관한 연구는 전무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중남미 한인사회에서 이민세대간에 한국어 사용실태가 어떻게 다른지를 파악하기 위하여 설문조사를 통한 사회언어학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중남미 한인사회에서 얻어진 인구통계학 및 사회언어학적 분석결과는 재미 한인들을 대상으로 한 분석결과와 비교하였으며 이를 통하여 두 지역간의 한국어 사용실태가 서로 어떻게 다른지를 분석하였다. 이와 더불어 미국과 중남미 현지교민들을 대상으로 현지어(영어 또는 스페인어)와 한국어간의 부호전환 현상이 지역별로 어떻게 다른지를 고찰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하여 이중언어사용과 한국어의 보존이 현지교민들의 민족정체성자각과 어떠한 상관관계가 있는지를 사회심리학적 분석을 고찰하였다.
      이민 1세대에서 2, 3세대로 넘어가면서 이민 1세대의 모국어는 점차 상실되는 것이 일반적인 현상이다. 그러나 자신이 속한 민족 집단에 대한 문화적 우월감과 민족적 자긍심이 강한 경우이거나 이민 세대가 흐르더라도 사회경제적 지위를 상승시키지 못하여 주류사회에 동화되지 못한 채 자신이 속한 민족 집단의 생활권을 벗어나지 못하는 경우는 예외적으로 이민 1세대의 언어를 보존하게 된다. 반면 이민 세대가 흐르면서 주류사회에서 인정하는 고등교육을 받고 이로 인한 사회경제적 지위상승이라는 혜택을 받을 수 있게 되는 경우는 자신이 속한 이민 집단의 거주 지역을 이탈하여 주류사회 구성원들이 밀집되어 있는 곳으로 이주하게 된다. 이 경우 자신이 속한 민족 집단 보다는 주류사회 구성원과의 접촉이 훨씬 빈번하게 이루어지며 이러한 환경 속에서 자라난 이들의 자녀세대는 필연적으로 선대의 언어를 상실하게 된다.
      본 논문에서는 중남미 한인들의 경우 이민 세대가 흐르면서 주류사회에 동화하려는 욕망보다는 오히려 주류사회로부터 이탈하려는 욕망이 강해지는 반면 미국거주 한인들의 경우 이민 2, 3세대로 넘어가면서 점차 미국 주류사회에 동화되어 간다는 사실을 밝히었다. 따라서 미국 한인 2, 3세대의 사회경제적 지위가 상승할수록 주류사회로의 동화는 가속화 될 수밖에 없고 이는 역설적으로 한국어 상실이라는 결과를 낳게 될 것이다. 반면 주류사회로의 동화욕구가 낮은 중남미 한인들의 경우 미국거주 한인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한국어를 잘 보존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미국 한인사회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중남미 한인사회에서의 한국어 보존율은 이들의 슬픈 이민현실을 반영하는 결과이기도 하다. 하지만, 중남미 국가들의 정치, 경제상황이 안정되고 중남미 한인들의 주류사회로의 동화욕구가 높아진다면 사회경제적 지위 상승과 더불어 주류사회에 편입되는 이민 2, 3세대들을 중심으로 급격히 한국어는 상실되게 될 것이다.
      번역하기

      좀더 나은 환경과 조건을 위해 자의적으로 시작된 1962년 이민법 제정 이후의 이민은 80년대까지 주로 북미와 중남미 지역에 집중되었다. 그 중에서도 가장 많은 한인들이 선호한 미국이민은 ...

      좀더 나은 환경과 조건을 위해 자의적으로 시작된 1962년 이민법 제정 이후의 이민은 80년대까지 주로 북미와 중남미 지역에 집중되었다. 그 중에서도 가장 많은 한인들이 선호한 미국이민은 80년대 중반까지 유학생의 현지 체류를 비롯하여 의사, 간호사, 사업가, 엔지니어 등 고급학력을 가진 사람들이 이민의 주류를 이루는 ‘엘리트 이민’의 성격을 띄었으며 이민의 목적도 경제적 이유만이 아닌 정치적으로 안정된 나라에 살고 싶은 욕망과 신학문 탐구열 등의 낭만적 요소를 내포하고 있었다. 반면 같은 시기에 이루어진 중남미 이민은 어느 정도 ‘낭만적’ 성격을 띄었던 미국이민에 비해 주로 경제적 이유에서 이루어졌다. 또한 미국에 이주한 한인들이 한국의 중ㆍ고등 교육과정에서 영어를 학습한 반면 중남미에 이주한 한인들의 대부분은 스페인어 또는 포르투갈어(브라질의 경우)에 대한 사전학습이 미흡한 상태에서 현지에 도착하였다.
      이와 같이 중남미에 이주한 한인들의 성격은 미국에 존재하는 한인공동체와는 다를 수밖에 없으며 이들의 현지언어 습득과정 역시 미국에 거주하는 한인들의 영어습득과정과는 구분되어 질 수밖에 없다. 또한 미국 이민자들이 다양한 업종에 종사하는 반면에 중남미 이민자들의 상당수가 섬유업에 종사하며 가족중심의 사업체를 운영하고 있다. 중남미 이민 1세대들 중에서 경제적으로 성공한 사람들은 그들 자녀를 영어로 수업을 진행하는 외국인 학교에 보내는 경우가 많으며 이민 1.5세대나 2세대들의 한국으로의 대학진학 비율 또한 재미한인들보다 높다. 따라서 이민 2, 3세대의 주류사회 편입에 따른 한인공동체 이탈비율이 중남미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재미 한인들과 중남미 한인들간의 언어사용실태는 서로 다를 수밖에 없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재미한인들의 영어-스페인어 사용에 관해서는 많은 논의와 연구가 진행되었으나 중남미 한인들의 스페인어-한국어 사용에 관한 연구는 전무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중남미 한인사회에서 이민세대간에 한국어 사용실태가 어떻게 다른지를 파악하기 위하여 설문조사를 통한 사회언어학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중남미 한인사회에서 얻어진 인구통계학 및 사회언어학적 분석결과는 재미 한인들을 대상으로 한 분석결과와 비교하였으며 이를 통하여 두 지역간의 한국어 사용실태가 서로 어떻게 다른지를 분석하였다. 이와 더불어 미국과 중남미 현지교민들을 대상으로 현지어(영어 또는 스페인어)와 한국어간의 부호전환 현상이 지역별로 어떻게 다른지를 고찰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하여 이중언어사용과 한국어의 보존이 현지교민들의 민족정체성자각과 어떠한 상관관계가 있는지를 사회심리학적 분석을 고찰하였다.
      이민 1세대에서 2, 3세대로 넘어가면서 이민 1세대의 모국어는 점차 상실되는 것이 일반적인 현상이다. 그러나 자신이 속한 민족 집단에 대한 문화적 우월감과 민족적 자긍심이 강한 경우이거나 이민 세대가 흐르더라도 사회경제적 지위를 상승시키지 못하여 주류사회에 동화되지 못한 채 자신이 속한 민족 집단의 생활권을 벗어나지 못하는 경우는 예외적으로 이민 1세대의 언어를 보존하게 된다. 반면 이민 세대가 흐르면서 주류사회에서 인정하는 고등교육을 받고 이로 인한 사회경제적 지위상승이라는 혜택을 받을 수 있게 되는 경우는 자신이 속한 이민 집단의 거주 지역을 이탈하여 주류사회 구성원들이 밀집되어 있는 곳으로 이주하게 된다. 이 경우 자신이 속한 민족 집단 보다는 주류사회 구성원과의 접촉이 훨씬 빈번하게 이루어지며 이러한 환경 속에서 자라난 이들의 자녀세대는 필연적으로 선대의 언어를 상실하게 된다.
      본 논문에서는 중남미 한인들의 경우 이민 세대가 흐르면서 주류사회에 동화하려는 욕망보다는 오히려 주류사회로부터 이탈하려는 욕망이 강해지는 반면 미국거주 한인들의 경우 이민 2, 3세대로 넘어가면서 점차 미국 주류사회에 동화되어 간다는 사실을 밝히었다. 따라서 미국 한인 2, 3세대의 사회경제적 지위가 상승할수록 주류사회로의 동화는 가속화 될 수밖에 없고 이는 역설적으로 한국어 상실이라는 결과를 낳게 될 것이다. 반면 주류사회로의 동화욕구가 낮은 중남미 한인들의 경우 미국거주 한인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한국어를 잘 보존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미국 한인사회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중남미 한인사회에서의 한국어 보존율은 이들의 슬픈 이민현실을 반영하는 결과이기도 하다. 하지만, 중남미 국가들의 정치, 경제상황이 안정되고 중남미 한인들의 주류사회로의 동화욕구가 높아진다면 사회경제적 지위 상승과 더불어 주류사회에 편입되는 이민 2, 3세대들을 중심으로 급격히 한국어는 상실되게 될 것이다.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