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자료는 단어와 어형의 적합도 및 선호도를 측정한 결과가 수록된 자료이며, 이에 대한 결과를 바탕으로 수의적 음운현상의 빈도, 적합도, 복잡도 등을 다각도로 비교분석하고자 하였다.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G3726169
2002년
Korean
한국연구재단(NRF)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이 자료는 단어와 어형의 적합도 및 선호도를 측정한 결과가 수록된 자료이며, 이에 대한 결과를 바탕으로 수의적 음운현상의 빈도, 적합도, 복잡도 등을 다각도로 비교분석하고자 하였다.
이 자료는 단어와 어형의 적합도 및 선호도를 측정한 결과가 수록된 자료이며, 이에 대한 결과를 바탕으로 수의적 음운현상의 빈도, 적합도, 복잡도 등을 다각도로 비교분석하고자 하였다.
국문 초록 (Abstract)
목차 머리말 = 1 1. 개괄 = 1 2. 전체 화자의 발음 경향 = 5 2.1 경음화 = 5 2.2 ㄴ-첨가 = 22 2.3 장단음의 발음 = 33 2.4 ㄴ-ㄹ 연쇄의 발음 = 37 2.5 받침의 발음 = 41 2.6 /의/, /위/의 발음 = 45 2.7 경계 뒤 'ㅎ...
목차 머리말 = 1 1. 개괄 = 1 2. 전체 화자의 발음 경향 = 5 2.1 경음화 = 5 2.2 ㄴ-첨가 = 22 2.3 장단음의 발음 = 33 2.4 ㄴ-ㄹ 연쇄의 발음 = 37 2.5 받침의 발음 = 41 2.6 /의/, /위/의 발음 = 45 2.7 경계 뒤 'ㅎ'의 발음 = 48 2.8 용언 활용에서의 이중모음화 = 49 2.9 '수-'의 형태 = 50 2.10 '삐치다'의 행태 = 52 3. 사회 언어학적 요인에 따른 발음 경향 = 53 3.1 경음화 = 55 3.2 ㄴ-첨가 = 65 3.3 장단음의 발음 = 69 3.4 ㄴ-ㄹ 연쇄의 발음: '신선로'의 경우 = 87 3.5 기타 = 89 3.6 정리 = 91 <부록 1-1> 성별 발음 분포 = 93 <부록 1-2> 학력별 발음 분포 = 114 <부록 1-3> 연령별 발음 분포 = 135 <부록 2> 질문지 = 156 <부록 3> 제보자 정보표 = 166
(http://www.riss.kr/search/detail/DetailView.do?p_mat_type=d7345961987b50bf&control_no=7409dea4aba23723#redire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