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논문은 그동안 일반교육 및 특수교육 분야에서 별 구분 없이 사용되어 오던 직접교수법의 두 가지 유형을 구분하고, 그 중 미국 오레곤 대학교 (University of Oregon)에서 개발된 직접교수법의...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5804807
2004
-
379
KCI등재
학술저널
133-161(29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은 그동안 일반교육 및 특수교육 분야에서 별 구분 없이 사용되어 오던 직접교수법의 두 가지 유형을 구분하고, 그 중 미국 오레곤 대학교 (University of Oregon)에서 개발된 직접교수법의...
본 논문은 그동안 일반교육 및 특수교육 분야에서 별 구분 없이 사용되어 오던 직접교수법의 두 가지 유형을 구분하고, 그 중 미국 오레곤 대학교 (University of Oregon)에서 개발된 직접교수법의 특징과 적용 방안을 소개하는 데 그 주 목적이 있다. 흔히 교사중심 수업 방법의 하나로 널리 알려진 직접교수법(direct instruction)과 달리, Engelmann과 Carnine 등이 개발한 직접교수법 (Direct Instruction)의 핵심은 명료한 의사소통 원리에 근거하여 교재와 교사에 의한 내용 전달 과정 모두를 명쾌하고 명료화하려 했다는 점에 있다. 이들이 주장한 직접교수법의 주요 특징은 최대한의 교수-학습 시간 확보를 위한 수업의 조직, 명료한 의사소통 원리에 근거한 교수-학습 프로그램의 설계, 그리고 학생의 실제 학습시간 최대화를 위한 교사-학생 간 상호작용 측면에서 찾아 볼 수 있다. 수업 조직 측면에서는 교실의 물리적 배치, 수업 집단 형성, 그리고 수업 시간 계획 측면을 다루었다. 교수-학습 프로그램 설계 측면에서는 내용 분석을 통한 큰 개념과 학습 목표 및 전략의 확인, 명료한 의사소통을 위한 내용 조직, 대본화된 교사용 지도서, 기술의 계열화, 그리고 주제별 조직을 다루었다. 그리고, 교사-학생간 상호작용 측면에서는 적극적인 학생 참여, 집단의 합창식 반응, 신호의 사용, 수업의 진행 속도, 완전학습 지향, 오류 교정 철자 중시, 동기화, 지속적인 평가 등을 다루었다. 직접교수법이 특히 특수교육 대상자나 일반학생 중 학습에 문제가 있는 학생들에게 효과적이었다는 다양한 선행 연구 결과와 함께, 우리 교육 현장에서 직접교수법을 적용하는데 관련된 몇 가지 쟁점들이 논의되었다.
학습장애학생의 학습을 향상시키기 위한 교수전략으로서의 그래픽 조직자의 사용
학습장애 학생의 수학 문장제 해결능력 향상에 관한 연구 : 세 가지 학습전략의 효과 비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