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사회에는 사회가치의 급속한 변화로 중고령 연령집단에서도 가족해체에 이르는 이혼건수가 늘어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중고령자의 부부관계에 초점을 맞추어 결혼유지 및 파탄...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99965263
2013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63-83(21쪽)
7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우리사회에는 사회가치의 급속한 변화로 중고령 연령집단에서도 가족해체에 이르는 이혼건수가 늘어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중고령자의 부부관계에 초점을 맞추어 결혼유지 및 파탄...
우리사회에는 사회가치의 급속한 변화로 중고령 연령집단에서도 가족해체에 이르는 이혼건수가 늘어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중고령자의 부부관계에 초점을 맞추어 결혼유지 및 파탄에 관련된 요인을 검토하고, 결혼한 중고령자 남녀를 대상으로 한 분석을 통해 부부 만족도에 관련된 요인을 분석함으로써 중고령자의 건강한 부부 관계에 필요한 요인을 검토하고자 하였다. 분석한 자료는 2006년에 조사한 고령화연구패널 제1차 기본조사 자료이다. 분석내용은 남성과 여성으로 나누어 결혼 유지 그룹과 결혼 파탄 그룹의 특성비교를 위해 사회경제적 요인, 노동?가족요인, 사회관계 요인, 건강요인이 어떻게 관련되는지를 검토하였다. 또한 결혼한 중고령 남녀를 분석하여 부부 만족도에 관련된 요인을 결혼 유지 및 파탄 그룹 비교에 사용한 사회경제적 요인, 노동?가족요인, 사회관계 요인, 건강요인별로 관련성을 검토하였다.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결혼 유지 및 파탄의 관련요인은 남성은 연령, 자가 유무, 주관적 경제상태, 자녀의 수, 친목모임 참여 여부, 주관적 건강평가, 우울 증상의 유무로 나타났다. 반면 여성의 경우, 자가 유무, 주관적 경제상태, 일의 유무, 자녀의 수, 친목모임 참여 여부, 우울 증상이 결혼 유지 및 파탄과 유의한 관련을 보였다. 둘째, 부부 만족도의 관련 요인은 남성의 경우 학력, 주관적 경제상태, 친한 사람과 만나는 횟수였으며, 여성은 주관적 경제상태, 친한 사람과 만나는 횟수 및 우울 증상의 유무였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Since the Korean society have experienced rapid change in the social values, the rate of divorce is increasing even in the middle and old age group. This paper illustrate the correlates of unbroken families compared with broken and marital satisfactio...
Since the Korean society have experienced rapid change in the social values, the rate of divorce is increasing even in the middle and old age group. This paper illustrate the correlates of unbroken families compared with broken and marital satisfactions focusing on the spousal relationship to suggest healthy relationship with spouse in the later life. I analyzed the wave one data set of KLoSA(Korean Longitudinal Study of Aging) conducted in 2006. Dependent variables are unbroken(married) or broken family(divorced or separated with spouse) variable and marital satisfaction among marred couples. Independent variables are socioeconomic, labor/family, social relations, and health factors. Data analysis was conducted by male and female, respectively.
The main results are follows. 1) Correlates of broken family compared with unbroken were age, householdership, subjective financial status, number of chid, participation of social association, self reported health and depression in male. On the other hand, householdership, subjective financial status, job, number of chid, participation of social association and depression were correlated to the broken/unbroken family in female. 2) Correlates of marital satisfaction were educational level, subjective financial status and social contact in male. On the other hand, subjective financial status, social contact and depression were related to the marital satisfaction in female.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소진, "황혼이혼 여성노인들에 대한 생애사 연구" 한국노년학회 29 (29): 1087-1105, 2009
2 우해봉, "한국인의 성별 및 교육수준별 이혼 패턴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38 (38): 139-163, 2011
3 김상희, "한국의 이혼실태와 이혼여성 지원정책" 사단법인 한국민족연구원 (45) : 61-90, 2011
4 김미숙, "한국의 이혼실태와 이혼가족 지원정책 연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05
5 김민희, "중년기 부부의 애착과 결혼만족: 애착유형과 결혼만족의 매개요인을 중심으로" 한국노년학회 27 (27): 213-233, 2007
6 김혜선, "중년 후기 남녀 유배우자의 부부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성생활을 중심으로 -" 한국노년학회 28 (28): 49-67, 2008
7 최장근, "일본의 이혼 구조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의 이혼구조와 비교의 관점에서-" 한국일어일문학회 66 (66): 329-347, 2008
8 노혜련, "실직자가족 중 해체된 가족과 해체되지 않은 가족간의 사회심리적 특성과 욕구에 관한 비교 연구" 5 : 155-183, 2000
9 윤현숙, "성공적 노화여부에 따른 중요 생애사건 비교분석" 한국노년학회 27 (27): 807-827, 2007
10 권중돈, "사회복지개론" 학지사 264-, 2011
1 김소진, "황혼이혼 여성노인들에 대한 생애사 연구" 한국노년학회 29 (29): 1087-1105, 2009
2 우해봉, "한국인의 성별 및 교육수준별 이혼 패턴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38 (38): 139-163, 2011
3 김상희, "한국의 이혼실태와 이혼여성 지원정책" 사단법인 한국민족연구원 (45) : 61-90, 2011
4 김미숙, "한국의 이혼실태와 이혼가족 지원정책 연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05
5 김민희, "중년기 부부의 애착과 결혼만족: 애착유형과 결혼만족의 매개요인을 중심으로" 한국노년학회 27 (27): 213-233, 2007
6 김혜선, "중년 후기 남녀 유배우자의 부부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성생활을 중심으로 -" 한국노년학회 28 (28): 49-67, 2008
7 최장근, "일본의 이혼 구조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의 이혼구조와 비교의 관점에서-" 한국일어일문학회 66 (66): 329-347, 2008
8 노혜련, "실직자가족 중 해체된 가족과 해체되지 않은 가족간의 사회심리적 특성과 욕구에 관한 비교 연구" 5 : 155-183, 2000
9 윤현숙, "성공적 노화여부에 따른 중요 생애사건 비교분석" 한국노년학회 27 (27): 807-827, 2007
10 권중돈, "사회복지개론" 학지사 264-, 2011
11 박병선, "부부관계 만족도의 종단적 변화양상과 예측요인 - 성별 간 차이를 중심으로 -" 한국가족사회복지학회 (34) : 41-76, 2011
12 정윤경, "부모의 부부관계의 질과 자녀세대의 부부적응 및 결혼에 대한 가치관과의 관계" 한국여성심리학회 15 (15): 331-353, 2010
13 정여진, "노인의 부부친밀감과 성공적 노화간의 관계에 대한 자녀애착의 매개효과" 한국노년학회 32 (32): 185-206, 2012
14 권오균, "노년기 부부의 결혼만족도에 관한 연구" 한국노인복지학회 (47) : 7-30, 2010
15 서병숙, "노년기 부부의 결혼만족도 연구" 20 (20): 55-67, 2000
16 김희경, "남성노인과 여성노인의 성공적 노화 영향요인" 한국노년학회 32 (32): 819-834, 2012
17 신현구, "고령화연구패녈 제1차 기본조사 실사과정 및 결과보고" 30 : 66-82, 2007
18 조혜선, "결혼만족도의 결정요인 경제적 자원, 성 역할관, 관계성 모델의 비교" 한국사회학회 37 (37): 5-115, 2003
19 박재규, "가족해체가 남녀의 건강과 삶의 질에 미치는 차별적 영향" 한국보건사회연구원 30 (30): 142-169, 2010
20 袖井孝子, "定年後の夫婦像" 岩波書店 101-112, 1999
21 Rowe, J. W., "Successful Aging" Pantheon Books 1998
22 통계청, "2012 혼인․이혼통계"
귀농인의 결혼만족도와 마을 공동체의식이 심리적 복지감에 미치는 영향
사례관리자의 일 가치와 사례관리 효능감이 사례관리 동기에 미치는 영향
사회복지사들의 다문화가족 정신건강문제 실천경험에 관한 연구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
2016-12-01 | 평가 |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 ![]() |
2012-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8-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6-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29 | 1.29 | 1.37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35 | 1.33 | 1.68 | 0.3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