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한국 드라마에 나타난 시각정보인 몸짓언어를 시각장애인 이용자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제공되는 음성해설(audio description: AD) 텍스트 번역 시 나타 난 양상과 번역전략을 살펴보고 AD...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7797784
2021
Korean
학술저널
119-137(19쪽)
학회 요청에 의해 무료로 제공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한국 드라마에 나타난 시각정보인 몸짓언어를 시각장애인 이용자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제공되는 음성해설(audio description: AD) 텍스트 번역 시 나타 난 양상과 번역전략을 살펴보고 AD...
본 연구는 한국 드라마에 나타난 시각정보인 몸짓언어를 시각장애인 이용자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제공되는 음성해설(audio description: AD) 텍스트 번역 시 나타 난 양상과 번역전략을 살펴보고 AD 교육자료로 사용될 가능성을 알아본다. 청각 정보와 시각정보로 구성된 드라마에서 등장인물의 몸짓언어는 주로 시각정보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시각장애인 이용자의 이해는 현저히 떨어진다. 본 연구자는 이를 주목하고 한국 드라마에 나타난 몸짓언어를 아가일(Argyle)의 몸짓언어 분 류인 상징(emblems), 일러스트레이터(illustrators), 감정 몸짓(emotional gestures)을 바탕으로 분류한 후, 젠코스카(Jankowska)와 자브로카(Zabrocka)의 AD 번역전략인 직역, 명시화, 일반화, 생략, 통합전략을 이용하여 분류하였다. 드라마에 나타난 몸짓언어는 ‘오케이 사인’, ‘건배’ 등으로 대표되는 상징이 60%로 가장 많았고, AD 번역전략으로는 ‘엄지와 검지 끝을 둥글게 말아 붙인다’ 등과 같은 직접묘사 인 직역과 두 개 이상의 전략을 사용한 통합전략이 비교적 많이 사용되었다. 음 성(화면)해설 방송의 질적 제고 목소리가 높아지는 현재, 본 연구의 AD 몸짓 언 어 분류와 AD 번역전략은 음성해설사 양성을 위한 교육자료로 충분히 활용가치 가 높아 보인다.
목차 (Table of Contents)
한-노 문학번역에서 나타나는 한국어 고유명의 번역전략 고찰
한국문학의 번역 주체와 행위자 네트워크 이론(ANT) 적용가능성 연구
2021년 한국외대 통번역연구소(HUFS ITRI) 국내학술대회 - 아웃바운드 문학번역
한국문학 아웃바운드 번역_ 1527. 한국문학번역원 해외출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