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수도권 지역의 선거적 책임성과 당파성의 사회화: 제21대 국회의원 선거 설문조사 분석 = Electoral Accountability and Partisan Socialization in the Metropolitan Areas in South Korea: The Survey Analysis of the 21st National Assembly Election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07000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수도권 지역은 그 정치적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 선거 연구에서 많은 주목을 받지 못했다. 본 논문은 이번 21대 총선에서 나타난 수도권 유권자들의 투표행동을, 선거적 책임성과 당파성의 사회화를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설문조사 분석 결과, 수도권 지역 유권자들이 비수도권에 비해 선거를 책임성의 도구로 사용하는 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차이를 가져온 원인으로 당파성의 사회화를 살펴본 결과, 수도권 거주자 중 영호남 출신에서 부모와 같은 당파성을 갖는 비중이 높게 나타났고, 출신지가 당파성 형성에 미치는 영향력은 수도권에 오래 거주했다 하여 약화되지 않았다. 이를 통해 우리나라에서도 유년 시절의 환경과 부모 사회화를 통해 당파성이 형성되고 있고, 수도권의 높은 선거적 책임성은 이렇게 사회화가 강하게 일어나는 지역 출신의 유권자가 상대적으로 적은 인구 특성에 기인한 것임을 알 수 있다.
      번역하기

      수도권 지역은 그 정치적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 선거 연구에서 많은 주목을 받지 못했다. 본 논문은 이번 21대 총선에서 나타난 수도권 유권자들의 투표행동을, 선거적 책임성과 당...

      수도권 지역은 그 정치적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 선거 연구에서 많은 주목을 받지 못했다. 본 논문은 이번 21대 총선에서 나타난 수도권 유권자들의 투표행동을, 선거적 책임성과 당파성의 사회화를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설문조사 분석 결과, 수도권 지역 유권자들이 비수도권에 비해 선거를 책임성의 도구로 사용하는 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차이를 가져온 원인으로 당파성의 사회화를 살펴본 결과, 수도권 거주자 중 영호남 출신에서 부모와 같은 당파성을 갖는 비중이 높게 나타났고, 출신지가 당파성 형성에 미치는 영향력은 수도권에 오래 거주했다 하여 약화되지 않았다. 이를 통해 우리나라에서도 유년 시절의 환경과 부모 사회화를 통해 당파성이 형성되고 있고, 수도권의 높은 선거적 책임성은 이렇게 사회화가 강하게 일어나는 지역 출신의 유권자가 상대적으로 적은 인구 특성에 기인한 것임을 알 수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영태, "한국의 선거와 출신지역: 15~17대 대통령선거 수도권지역 결과를 중심으로" 2 (2): 61-85, 2009

      2 장승진, "한국 지방선거의 다층적 회고적 투표: 2018년 광역단체장 선거를 중심으로" 한국정당학회 18 (18): 5-28, 2019

      3 장승진, "한국 선거에서의 회고적 투표: 이론과 현실" 미래정치연구소 7 (7): 35-59, 2017

      4 김성연, "한국 선거에서 경제 투표의 영향 : 제18대 대통령 선거 패널 데이터 분석 결과" 한국정치학회 50 (50): 109-130, 2016

      5 박성호, "한국 국회의원 선거에서의 혼성효과 : 19대 국회의원 선거 수도권 선거결과 분석" 사회과학연구소 48 (48): 1-16, 2017

      6 장승진, "제20대 총선의 투표선택 : 회고적 투표와 세 가지 심판론" 한국정치학회 50 (50): 151-169, 2016

      7 장승진, "제19대 총선의 투표 선택: 정권심판론, 이념 투표, 정서적 태도" 한국정치학회 46 (46): 99-120, 2012

      8 이준한, "제19대 총선과 수도권의 선택" (2) : 33-50, 2012

      9 이내영, "제18대 대통령선거와 회고적 투표: 왜 제18대 대통령선거에서 집권정부에 대한 회고적 평가가 중요한 영향을 미치지 못했나?" 한국정당학회 12 (12): 5-36, 2013

      10 강우진, "제18대 대선과 경제투표: 경제성장에 대한 정책선호의 일치의 영향력을 중심으로" 한국정치학회 47 (47): 213-233, 2013

      1 김영태, "한국의 선거와 출신지역: 15~17대 대통령선거 수도권지역 결과를 중심으로" 2 (2): 61-85, 2009

      2 장승진, "한국 지방선거의 다층적 회고적 투표: 2018년 광역단체장 선거를 중심으로" 한국정당학회 18 (18): 5-28, 2019

      3 장승진, "한국 선거에서의 회고적 투표: 이론과 현실" 미래정치연구소 7 (7): 35-59, 2017

      4 김성연, "한국 선거에서 경제 투표의 영향 : 제18대 대통령 선거 패널 데이터 분석 결과" 한국정치학회 50 (50): 109-130, 2016

      5 박성호, "한국 국회의원 선거에서의 혼성효과 : 19대 국회의원 선거 수도권 선거결과 분석" 사회과학연구소 48 (48): 1-16, 2017

      6 장승진, "제20대 총선의 투표선택 : 회고적 투표와 세 가지 심판론" 한국정치학회 50 (50): 151-169, 2016

      7 장승진, "제19대 총선의 투표 선택: 정권심판론, 이념 투표, 정서적 태도" 한국정치학회 46 (46): 99-120, 2012

      8 이준한, "제19대 총선과 수도권의 선택" (2) : 33-50, 2012

      9 이내영, "제18대 대통령선거와 회고적 투표: 왜 제18대 대통령선거에서 집권정부에 대한 회고적 평가가 중요한 영향을 미치지 못했나?" 한국정당학회 12 (12): 5-36, 2013

      10 강우진, "제18대 대선과 경제투표: 경제성장에 대한 정책선호의 일치의 영향력을 중심으로" 한국정치학회 47 (47): 213-233, 2013

      11 조진만, "수도권 선거는 어떠한 특성을 보이는가? 2018년 6.13 지방선거 분석" 사회과학기초자료연구소 4 (4): 1-30, 2019

      12 이현직, "대학생의 정치사회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청소년학회 24 (24): 247-272, 2017

      13 가상준, "노무현 대통령에 대한 평가가 2007년 대통령선거에 미친 영향력 분석" 1 (1): 33-57, 2008

      14 박명호, "국회의원선거의 선거구별 정당경쟁유형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2004년 총선을 중심으로" 25 (25): 35-52, 2007

      15 정동준, "경제평가가 통일의식에 미치는 영향: 2007-2017년 통일의식조사 설문결과 분석" 한국사회역사학회 20 (20): 157-195, 2017

      16 송원숙, "가족 의사소통 유형에 따른 청소년의 정치사회화 차이 연구"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9 (29): 69-96, 2018

      17 김도경, "가족 내에서의 정치사회화에 관한 연구: 자녀에 대한 어머니의 영향력을 중심으로" 28 (28): 37-57, 2011

      18 김도경, "가족 내에서의 정치사회화에 관한 연구 : 386세대 가족을 중심으로" 21세기정치학회 23 (23): 75-98, 2013

      19 홍재우, "“아버지와 나는 다르다?” 세대정치와 정치사회화 :19대 국회의원 선거에 나타난 대학생의 가족 내 정치사회화의 영향력" 21세기정치학회 22 (22): 183-211, 2012

      20 Rudolph, Thomas J, "Who's Responsible for the Economy? The Formation and Consequences of Responsibility Attributions" 47 (47): 698-713, 2003

      21 Key, V. O, "The Responsible Electorate" Vintage 1966

      22 Evans, Geoffrey, "The Political Conditioning of Economic Perceptions" 68 (68): 194-207, 2006

      23 Lyons, Jeffrey, "The Family and Partisan Socialization in Red and Blue America" 38 (38): 297-312, 2017

      24 Anderson, Christopher J, "The End of Economic Voting? Contingency Dilemmas and the Limits of Democratic Accountability" 10 : 271-296, 2007

      25 Franklin, Charles H., "The Dynamics of Party Identification" 77 (77): 957-973, 1983

      26 Hess, Robert, "The Development of Political Attitudes in Children" Aldine 1967

      27 Jennings, M. Kent, "The Character of Political Adolescence" Princeton Universtiy Press 1973

      28 Campbell, Angus, "The American Voter.University of Michigan, Survey Research Center" Wiley 1960

      29 Greene, Steven, "Social identity theory and party identification" 85 (85): 136-153, 2004

      30 Achen, Christopher H, "Social Psychology, Demographic Variables, and Linear Regression : Breaking the Iron Triangle In Voting Research" 14 (14): 195-211, 1992

      31 Evans, Geoffrey, "Reversing the Causal Arrow: The Political Conditioning of Economic Perceptions in the 2000-2004 U.S. Presidential Election Cycle" 72 (72): 1236-1251, 2010

      32 Fiorina, Morris P, "Retrospective Voting in American National Elections" Yale University Press 1981

      33 Tucker, Joshua A, "Regional Economic Voting : Russia, Poland, Hungary, Slovakia and the Czech Republic, 1990-1999"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6

      34 Shugart, Matthew Soberg, "Presidentialism and Democracy in Latin America" Cambridge University Press 12-54, 1997

      35 Jennings, M. Kent, "Politics across Generations : Family Transmission Reexamined" 71 (71): 782-799, 2009

      36 Kayser, Mark Andreas, "Performance pressure: Patterns of partisanship and the economic vote" 50 : 365-394, 2011

      37 Lipset, Seymour Martin, "Party Systems and Voter Alignments: Cross-National Perspectives" Free Press 1967

      38 Mair, Peter, "Party Systems and Voter Alignments Revisited" Routledge 27-44, 2001

      39 Rosema, Martin, "Partisanship, Candidate Evaluations, and Prospective Voting" 25 : 533-546, 2006

      40 Green, Donald P, "Partisan Hearts and Minds: Political Parties and the Social Identities of Voters" Yale University Press 2002

      41 Murray, Gregg R., "Parenting Styles, Socialization, and the Transmission of Political Ideology and Partisanship" 40 (40): 1106-1130, 2012

      42 Converse, Philip. E, "Of time and partisan stability" 2 (2): 139-171, 1969

      43 Przeworski, Adam, "Manin, Democracy, Accountability, and Representati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9

      44 Boonen, Joris, "Learning who not to vote for : The role of parental socialization in the development of negative partisanship" 59 : 109-119, 2019

      45 Kroh, Martin, "Inheritance and the Dynamics of Party Identification" 31 (31): 559-574, 2009

      46 Ferejohn, John, "Incumbent performance and electoral control" 50 : 5-25,

      47 Braumoeller, Bear F, "Hypothesis Testing and Multiplicative Interaction Terms" 58 (58): 807-820, 2004

      48 Fitzgerald, Jennifer, "Family Dynamics and Swiss Parties on the Rise : Exploring Party Support in a Changing Electoral Context" 73 (73): 783-796, 2011

      49 Anderson, Christopher, "Endogenous economic voting: Evidence from the 1997 British election" 23 (23): 683-708, 2004

      50 Powell, G. Bingham, "Elections as Instruments of Democracy: Majoritarian and Proportional Visions" Yale University Press 2000

      51 Tillman, Erik R, "Economic Judgments, Party Choice, and Voter Abstention in Cross-National Perspective" 41 (41): 1290-1309, 2008

      52 Robinson, "Ecological Correlation and the Behavior of Individuals" 351-357, 1950

      53 Jung, Dong-Joon, "Does Partisanship Hurt Electoral Accountability? Individual-Level and Aggregate-Level Comparisons of Western and Postcommunist Democracies" 32 (32): 168-201, 2018

      54 Lewis-Beck, Michael S, "Does Economics Still Matter? Econometrics and the Vote" 68 (68): 208-212, 2006

      55 Dalton, Russell J, "Citizen Politics: Public Opinion and Political Parties in Advanced Industrial Democracies" CQ Press 2008

      56 정동준, "2018년 지방선거 이후 유권자들의 정치 양극화: 당파적 배열과 부정적 당파성을 중심으로" 인류사회재건연구원 33 (33): 143-180, 2018

      57 정동준, "2016년 국회의원 선거 이후 시민들의 통일의식 변화 : 이념적 양극화인가, 당파적 편향인가?" 한국정치학회 50 (50): 131-161, 2016

      58 윤종빈, "2007대선과 수도권 투표성향: 지역, 이념, 그리고 인물" 한국정당학회 6 (6): 65-96, 2007

      59 강원택, "2007년 대통령선거와 이슈 :회고적 평가 혹은 전망적 기대?" 한국의회발전연구회 14 (14): 31-58, 2008

      60 이재철, "17대 대통령 선거에서의 경제투표: 유권자의 경제인식과 투표결정" 1 (1): 111-136, 2008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5-10-17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21st centry Political Science Review KCI등재
      2005-05-30 학술지등록 한글명 : 21세기정치학회보
      외국어명 : 미등록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 0.3 0.3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7 0.38 0.572 0.1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