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신채호의 무정부주의 = A Study of Shin Chae-ho's Anarchism under the Japanese Rul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7615358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글은 단재(丹齋) 신채호(申采浩: 1880-1936)를 통하여 식민지 시대의 이 땅에 파종된 무정부주의의 모습을 천착(穿鑿)하고자 한다. 그가 기초한 『조선혁명선언』과 그 주체인 조선의열단의 노선, 그리고 1927년을 전후하여 그가 마지막 의지처로 생각했던 동방아나키스트연맹에서의 언행과 저작을 통하여 일제 치하에서의 한국 무정부주의의 현실과 이상을 살펴보고자 하는 것이 이 글의 의도이다.
      신채호의 무정부주의에는 당시 식민지지배 아래서의 지식인들이 공유하고 있는 사상적 습합(習合)의 양상이 나타나고 있다. 이를테면 그의 사상은 당시 한국에 유입된 양계초(梁啓超)의 영웅주의, 크로포트킨(Count Kropotkin)의 민중주의적 연민과 상호부조론, 고도쿠 슈스이(幸德秋水)의 폭력혁명론, 이석증(李石曾)의 생물학적 진화론 등을 융합한 것이었다. 그런 점에서 볼 때 식민지 시대의 무정부주의가 매우 정치(精緻)하고 논리적으로 완성된 것이라고 보기는 어렵다.
      학통으로 보면 고토쿠 슈스이를 잇는 것으로 볼 수 있는 신채호의 폭력혁명론은 그의 사상을 평가하는 과정에서 업장(業障)처럼 따라 다니고 있다. 식민지 시대에 독립을 쟁취할 수 있는 여러 가지 방법이 좌절된 후 최후의 방법으로 폭력 또는 테러리즘의 길을 걷게 된 것은 잘못된 일도 아니고 비난 받을 것도 아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폭력 투쟁에 대하여는 곱지 않은 시선을 보내는 것이 한국인의 보편적 정서이다.
      신채호의 무정부주의가 사회주의 또는 공산주의와 어떻게 연계되어 있고 어떻게 다른가에 대하여는 당사자인 신채호도 혼동하고 있고 후세의 평가도 각기 다르다. 신채호도 계급 투쟁이나 평등과 같은 사회주의적 입장을 밝힌 바 있고, 당시 무정부주의자들은 사유 재산을 부정하고 계급 철폐를 주창하는 등 사회주의적 요소를 표방하는 일이 흔히 있었다. 이러한 현상은 당시의 무정부주의가 사회주의와 혼재ㆍ혼용되고 있음을 의미한다.
      위와 같은 여러 가지 상황을 고려할 때 식민지시대의 한국의 무정부주의는 일본제국주의에 대한 거부와 혐오감이 그 본질을 이루고 있는 것이지 정확히 권력이나 또는 정치(정부ㆍ국가)에 대한 거부나 혐오가 아니다. 그런 점에서 신채호를 비롯한 한국의 무정부주의는 정통 논리로부터 다소 빗겨 서 있었다.
      번역하기

      이 글은 단재(丹齋) 신채호(申采浩: 1880-1936)를 통하여 식민지 시대의 이 땅에 파종된 무정부주의의 모습을 천착(穿鑿)하고자 한다. 그가 기초한 『조선혁명선언』과 그 주체인 조선의열단의 ...

      이 글은 단재(丹齋) 신채호(申采浩: 1880-1936)를 통하여 식민지 시대의 이 땅에 파종된 무정부주의의 모습을 천착(穿鑿)하고자 한다. 그가 기초한 『조선혁명선언』과 그 주체인 조선의열단의 노선, 그리고 1927년을 전후하여 그가 마지막 의지처로 생각했던 동방아나키스트연맹에서의 언행과 저작을 통하여 일제 치하에서의 한국 무정부주의의 현실과 이상을 살펴보고자 하는 것이 이 글의 의도이다.
      신채호의 무정부주의에는 당시 식민지지배 아래서의 지식인들이 공유하고 있는 사상적 습합(習合)의 양상이 나타나고 있다. 이를테면 그의 사상은 당시 한국에 유입된 양계초(梁啓超)의 영웅주의, 크로포트킨(Count Kropotkin)의 민중주의적 연민과 상호부조론, 고도쿠 슈스이(幸德秋水)의 폭력혁명론, 이석증(李石曾)의 생물학적 진화론 등을 융합한 것이었다. 그런 점에서 볼 때 식민지 시대의 무정부주의가 매우 정치(精緻)하고 논리적으로 완성된 것이라고 보기는 어렵다.
      학통으로 보면 고토쿠 슈스이를 잇는 것으로 볼 수 있는 신채호의 폭력혁명론은 그의 사상을 평가하는 과정에서 업장(業障)처럼 따라 다니고 있다. 식민지 시대에 독립을 쟁취할 수 있는 여러 가지 방법이 좌절된 후 최후의 방법으로 폭력 또는 테러리즘의 길을 걷게 된 것은 잘못된 일도 아니고 비난 받을 것도 아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폭력 투쟁에 대하여는 곱지 않은 시선을 보내는 것이 한국인의 보편적 정서이다.
      신채호의 무정부주의가 사회주의 또는 공산주의와 어떻게 연계되어 있고 어떻게 다른가에 대하여는 당사자인 신채호도 혼동하고 있고 후세의 평가도 각기 다르다. 신채호도 계급 투쟁이나 평등과 같은 사회주의적 입장을 밝힌 바 있고, 당시 무정부주의자들은 사유 재산을 부정하고 계급 철폐를 주창하는 등 사회주의적 요소를 표방하는 일이 흔히 있었다. 이러한 현상은 당시의 무정부주의가 사회주의와 혼재ㆍ혼용되고 있음을 의미한다.
      위와 같은 여러 가지 상황을 고려할 때 식민지시대의 한국의 무정부주의는 일본제국주의에 대한 거부와 혐오감이 그 본질을 이루고 있는 것이지 정확히 권력이나 또는 정치(정부ㆍ국가)에 대한 거부나 혐오가 아니다. 그런 점에서 신채호를 비롯한 한국의 무정부주의는 정통 논리로부터 다소 빗겨 서 있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was written to depict the reality and idea of Korean anarchism under the Japanese rule through Shin Chae-ho's writings such as the Declaration of Korean Revolution, his political line presented at the Korean Gallant Party(Chosun Uiyuldan), and his dialogues and activities at the East Anarchist Union.
      Shin Chae-ho's anarchism shows the ideological fusion as a means of independence movement. So as to say, he accepted and reconstructed the heroism of Liang Chi-chao, populist sympathy and mutual assistance theory of Count Kropotkin, theory of violent revolution of Kotoku Shushui and biological evolutionism of Lee si-zheng. In this respect, anarchism under the colonial rule, especially in case of Shin Chae-ho, was neither accurate nor logical.
      While evaluating Shin Chae-ho's theory of violent revolution, which was connected with Kotoku Shusui, it was a karma given to him. When all kinds of ways to win their independence under the colonial rule were frustrated, violence or terrorism as a last resort was not immoral. In spite of that, Korean historiography was not favorable to his theory of violent struggle.
      How was Shin Chae-ho's anarchism connected with socialism or communism? Not only Shin himself but also scholars of his ideology were confused in understanding them. Shin had urged such a socialist concept as class struggle and equality, and anarchists at that time often refused private property system and class discrimination. It means that anarchism of the time was mingled with and misused as socialism.
      Considering the above facts, Korean anarchism under the Japanese colonial seizure was essentially not composed of reluctance to the power such as government or state but to the Japanese imperialism. In this respect, anarchism of Shin Chae-ho was slightly deviated from the orthodox anarchism.
      번역하기

      This paper was written to depict the reality and idea of Korean anarchism under the Japanese rule through Shin Chae-ho's writings such as the Declaration of Korean Revolution, his political line presented at the Korean Gallant Party(Chosun Uiyuldan), ...

      This paper was written to depict the reality and idea of Korean anarchism under the Japanese rule through Shin Chae-ho's writings such as the Declaration of Korean Revolution, his political line presented at the Korean Gallant Party(Chosun Uiyuldan), and his dialogues and activities at the East Anarchist Union.
      Shin Chae-ho's anarchism shows the ideological fusion as a means of independence movement. So as to say, he accepted and reconstructed the heroism of Liang Chi-chao, populist sympathy and mutual assistance theory of Count Kropotkin, theory of violent revolution of Kotoku Shushui and biological evolutionism of Lee si-zheng. In this respect, anarchism under the colonial rule, especially in case of Shin Chae-ho, was neither accurate nor logical.
      While evaluating Shin Chae-ho's theory of violent revolution, which was connected with Kotoku Shusui, it was a karma given to him. When all kinds of ways to win their independence under the colonial rule were frustrated, violence or terrorism as a last resort was not immoral. In spite of that, Korean historiography was not favorable to his theory of violent struggle.
      How was Shin Chae-ho's anarchism connected with socialism or communism? Not only Shin himself but also scholars of his ideology were confused in understanding them. Shin had urged such a socialist concept as class struggle and equality, and anarchists at that time often refused private property system and class discrimination. It means that anarchism of the time was mingled with and misused as socialism.
      Considering the above facts, Korean anarchism under the Japanese colonial seizure was essentially not composed of reluctance to the power such as government or state but to the Japanese imperialism. In this respect, anarchism of Shin Chae-ho was slightly deviated from the orthodox anarchism.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논문요약
      • Ⅰ. 서론
      • Ⅱ. 만남 : 무정부주의의 사상적 계기
      • Ⅲ. 무정부주의자로서의 신채호의 행적
      • Ⅳ. 신채호의 무정부주의의 전개
      • 논문요약
      • Ⅰ. 서론
      • Ⅱ. 만남 : 무정부주의의 사상적 계기
      • Ⅲ. 무정부주의자로서의 신채호의 행적
      • Ⅳ. 신채호의 무정부주의의 전개
      • Ⅳ. 결론
      •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황성신문. 광무 3년(1899) 1월 13일자"

      2 이호룡, "한국의 아나키즘 : 사상편" 지식산업사 2001

      3 오장환, "한국 아나키즘운동사 연구" 국학자료원 1998

      4 유자명, "한 혁명자의 회억록"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1999

      5 촘스키, "촘스키의 아나키즘" 해토 2007

      6 크로포트킨(지음)?성정심(옮김), "청년에게”.『 자유평론』(6)"

      7 한국민족운동사학회, "일제하 아나키즘운동의 전개" 국학자료원 2003

      8 국사편찬위원회, "일제 침략하 한국 36년사 (4)" 탐구당 1969

      9 신채호, "이순신전" 독립운동사연구소 1989

      10 정화암, "이 조국 어디로 갈 것인가:나의 회고록" 자유문고 1982

      1 "황성신문. 광무 3년(1899) 1월 13일자"

      2 이호룡, "한국의 아나키즘 : 사상편" 지식산업사 2001

      3 오장환, "한국 아나키즘운동사 연구" 국학자료원 1998

      4 유자명, "한 혁명자의 회억록"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1999

      5 촘스키, "촘스키의 아나키즘" 해토 2007

      6 크로포트킨(지음)?성정심(옮김), "청년에게”.『 자유평론』(6)"

      7 한국민족운동사학회, "일제하 아나키즘운동의 전개" 국학자료원 2003

      8 국사편찬위원회, "일제 침략하 한국 36년사 (4)" 탐구당 1969

      9 신채호, "이순신전" 독립운동사연구소 1989

      10 정화암, "이 조국 어디로 갈 것인가:나의 회고록" 자유문고 1982

      11 신채호, "을지문덕" 독립운동사연구소 1989

      12 신채호, "을지문덕" 독립운동사연구소 1989

      13 葉乾坤, "양계초와 구한말문학" 법전출판사 1980

      14 프레포지에, "아나키즘의 역사" 이룸 2003

      15 신일철, "신채호의 역사사상 연구:양계초를 통한 서구사상 수용을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75

      16 박환, "식민지시대 한인아나키즘 운동사" 선인 2005

      17 독립운동사 편찬위원회, "소화 8년 형공 제146호?147호?148호 이홍근(??宖根) 판결문" 1984

      18 크로포트킨, P. A, "만물은 서로 돕는다 : 상호부조론" 르네상스

      19 조세현, "동아시아 아나키즘 : 그 반역의 역사" 책세상 2001

      20 "독립운동사 자료집(11): 의열투쟁사자료집" 고려서림

      21 韓武熙, "단재와 任公의 문학과 사상. 우리 문학 연구" 예그린출판사 1977

      22 "단재신채호전집 (상?중?하?別)" 형설출판사 1987

      23 "顧炎武. 『日知錄』"

      24 朴泰遠, "若山과 의열단" 백양당 1947

      25 梁啓超, "義大利建國三傑傳, 飮氷室合集(6) 專集(11)" 中華書局 1989

      26 丁文江, "梁任公年譜長編初稿" 世界書局 1972

      27 "新民叢報(11)" 1902

      28 "幸德秋水全集" 筑摩書房 1975

      29 ??光洙, "島山安昌浩" 대성문화사 1949

      30 신채호, "伊太利建國三傑傳" 廣學書鋪 1906

      31 Lasswell, Harold D, "Power and Society: A Framework for Political Inquiry" Routledge and Kegan Paul LTD 1952

      32 Merriam, Charles E, "Political Power" Collier Books 1984

      33 Baradat, Leon P, "Political Ideologies: Their Origins and Impact" Prentice-Hall 1994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4-03-25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동양정치사상사학회 -> 한국동양정치사상사학회 KCI등재후보
      2014-03-24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동양정치사상사 -> 한국동양정치사상사연구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1-09-09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동양정치사상사학회 -> 한국/동양정치사상사학회
      영문명 : The Association For Korean And Asian Political Thoughts -> The Association For Korean And Asian Political Thoughts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9 0.59 0.5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6 0.41 1.834 0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