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1961-1987년 기간의 권위주의적 군사정부 하에서, 경제발전을 국가목표로 추진하였던 한국의 발전국가가 어떠한 방식으로 노동을 통제하였는지를 분석하려는 것이다. 이를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1196986
2015
Korean
발전국가 ; 노동통제 ; 제재 ; 유인 ; 저항 노동세력 ; developmental state ; labor control ; constraints ; inducement ; resistant labor
KCI등재
학술저널
23-50(28쪽)
1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1961-1987년 기간의 권위주의적 군사정부 하에서, 경제발전을 국가목표로 추진하였던 한국의 발전국가가 어떠한 방식으로 노동을 통제하였는지를 분석하려는 것이다. 이를 ...
본 연구의 목적은 1961-1987년 기간의 권위주의적 군사정부 하에서, 경제발전을 국가목표로 추진하였던 한국의 발전국가가 어떠한 방식으로 노동을 통제하였는지를 분석하려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발전국가의 개념 및 발전국가의 노동통제의 필요성을 이론적으로 고찰하였으며, 발전국가가 구사하는 이원적 노동통제정책을 중심으로 분석틀을 구성하였다. 실증적 분석과 관련해서는 우선 발전국가의 법제적 노동통제 기반 구축과 관련하여 통제 지향적 노동관계법과 질서유지 입법을 중심으로 고찰하였다. 다음에는 한국 발전국가의 노동통제정책을 제도권 노동세력에 대한 통제와 저항 노동세력에 대한 통제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분석의 결과, 제도권 노동세력에 대해서는 다양한 방식의 제재와 유인을 결합하여 구사함으로써 순응을 확보하였다. 그러나 저항 노동세력에 대해서는 주로 제재의 방식에 의존하되, 탈법적 억압의 방식을 많이 동원하였다. 그리고 권력행사의 방식을 가시적 측면과 불가시적 측면으로 구분하여 볼 경우에는, 가시적인 측면에서의 권력행사는 물론, 불가시적인 측면에서의 권력행사도 많이 동원하였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xamine the labour control of the Korean developmental state, which set up economic development as a national goal, under the authoritarian military rule between 1961 and 1987. To the end, this article first discussed...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xamine the labour control of the Korean developmental state, which set up economic development as a national goal, under the authoritarian military rule between 1961 and 1987. To the end, this article first discussed what the developmental state is and why it needed labour control, and then formulated the analytical framework on the basis of the dualistic labor dirigisme of the developmental state. The following chapter analyzed the contents of labor-related laws and order maintenance legislation, in order to illuminate the legal foundation of labor control under the developmental state. Subsequently, the article anatomized the labor control policies of the developmental state over the two different types of labor forces. According to the result of analysis, the Korean developmental state secured compliance from labor forces by skillfully combining constraints and inducement. In particular, the developmental state mainly depended on illegal suppression in handling resistant labor forces. When classifying the exercise of power into visible and invisible aspects, the Korean developmental state mobilized both aspects of power to secure compliance from labor forces.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종수, "행정학사전" 대영문화사 2009
2 김영명, "한국현대정치사" 을유문화사 2003
3 최한수, "한국정치의 이해" 건국대학교출판부 2004
4 김영래, "한국의 이익집단: 국가조합주의적 시각을 중심으로" 대왕사 1987
5 문병주, "한국의 산업화 시기 노사관계와 복지체제의 성격: 생산레짐론적 시각에서의 재조명" 한국정치학회 39 (39): 153-177, 2005
6 최장집, "한국의 노동운동과 국가" 열음사 1988
7 한국노동조합총연맹, "한국노동조합의 정치활동" 1990
8 이종오, "한국노동운동의 이념" 정암사 1988
9 이원보, "한국노동운동사 100년의 기록" 한국노동사회연구소 2013
10 안재성, "한국노동운동사 1" 삶이 보이는 창 2008
1 이종수, "행정학사전" 대영문화사 2009
2 김영명, "한국현대정치사" 을유문화사 2003
3 최한수, "한국정치의 이해" 건국대학교출판부 2004
4 김영래, "한국의 이익집단: 국가조합주의적 시각을 중심으로" 대왕사 1987
5 문병주, "한국의 산업화 시기 노사관계와 복지체제의 성격: 생산레짐론적 시각에서의 재조명" 한국정치학회 39 (39): 153-177, 2005
6 최장집, "한국의 노동운동과 국가" 열음사 1988
7 한국노동조합총연맹, "한국노동조합의 정치활동" 1990
8 이종오, "한국노동운동의 이념" 정암사 1988
9 이원보, "한국노동운동사 100년의 기록" 한국노동사회연구소 2013
10 안재성, "한국노동운동사 1" 삶이 보이는 창 2008
11 한국노동조합총연맹(한국노총)., "한국노동운동사" 1979
12 김인동, "한국노동운동론 1" 미래사 1985
13 장명국, "한국노동운동론 1" 미래사 1985
14 조승혁, "한국공업화와 노동운동" 풀빛 1984
15 심지연, "한국 정당정치사" 백산서당 2004
16 박진근, "한국 역대정권의 주요 경제정책" 한국경제연구원 2009
17 정대용, "한국 노동운동의 이념" 정암사 1988
18 통계청, "통계로 본 대한민국 50년의 경제사회상 변화" 통계청 1998
19 유훈, "정책수단에 대한 고찰" 30 (30): 1992
20 신순애, "열세 살 여공의 삶" 한겨레출판 2014
21 최동규, "성장시대의 정부: 한강의 기적 이끈 관료조직의 역할" 한국경제신문사 1992
22 김순양, "사회복지부처 장차관의 충원기준 추이분석" 30 (30): 1996
23 조선일보사, "사료 해방40년"
24 신동면, "박정희의 맨얼굴 제 8장 복지없는 성장" 시사IN 북 2011
25 설봉식, "박정희와 한국경제" 중앙대학교 출판부 2006
26 오원철, "박정희는 어떻게 경제강국 만들었나" 동서문화사 2006
27 동아일보사, "동아연감 별책: 한국・외국인명록"
28 김성수, "노사관계론" 법경사 1997
29 노동부, "노동행정사" 2006
30 김순양, "노동자단체에 대한 정부개입 방식의 비교 분석" 31 (31): 1997
31 한국경영자총협회(한국경총)., "노동경제 40년사" 1989
32 김순양, "고도경제성장기의 사회정책 형성체계 및 형성과정 분석- 1970년대 연금보험과 의료보험의 제도화과정 비교 -" 한국정책학회 23 (23): 199-240, 2014
33 김삼수, "개발독재와 박정희시대" 창비 2004
34 이종석, "개발독재와 박정희시대" 창비 2004
35 金淳陽, "社會政策過程에서의 利益代表體係의 變化에 관한 硏究 : 利益代表體係의 構造, 活動, 反應의 측면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1994
36 Hudson, J., "Understanding the Policy Process. Bristol" The Policy Press 2004
37 Pirie, I., "The Korean Development State: From Dirigisme to Neo-Liberalism" Routledge 2008
38 Woo-Cumings., "The Developmental State. Ithaca" Cornell University Press 1999
39 Johnson, C., "The Developmental State" Cornell University Press 1999
40 Ross, E. A., "Social Control" Johnson Reprint Corporation
41 Keeler, J. T., "Situating France on the Pluralism-Corporatism Continuum" 17 (17): 1985
42 Schaaf, K. A., "Private Forest Policy Tools: A National Survey Exploring the American Public's Perceptions and Support" 9 (9): 2006
43 Bachrach, P., "Power and Poverty: Theory and Practice" Oxford University Press 1970
44 Gamson, W. A., "Power and Discontent" Homewood, Ill 1969
45 Zeigler, H, "Pluralism, Corporatism, and Confucianism" Temple University Press 1988
46 Johnson, C., "MITI and Japanese Miracle: The Growth of Industrial Policy 1925-1975" Stanford University Press 1982
47 Collier, R., "Inducements vs Constraints: Disaggregating Corporatism" 73 (73): 1979
48 정주연, "How a Powerful Bureaucracy Fell: The Abolition of the Economic Planning Board in South Korea" 한국학술연구원 42 (42): 551-581, 2011
49 Heimer, K., "Gender, Interaction, and Delinquency: Testing a Theory of differential Social Control" 59 (59): 1996
50 Crouch, C., "Corporatism and Accountability" Clarendon Press 1990
51 Ho, Ming-sho., "Challenging State Corporatism: The Politics of Taiwan's Labor Federation Movement" 07-127 : 2006
52 O'Donnell, G. A., "Bureaucratic Authoritarianism: Argentina, 1966-1973, in Comparative Perspective" Univ of California Press 1988
53 Kim, Eun Mee., "Big Business, Strong State: Collusion and Conflict in South Korean Development, 1960-1990"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1997
54 Schneider, A., "Behavioral Assumptions of Policy Tools" 52 (52): 1990
55 김장한, "80년대의 한국노동운동사" 조국 1989
56 조현연 외, "1980년대 노동운동" 한국노동이론정책연구소 1990
中國의 保障性 住宅政策에 있어서 중앙정부와 지방정부의 대립에 관한 연구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3-01-01 | 평가 |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 ![]()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2-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0-07-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27 | 1.27 | 1.23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34 | 1.4 | 1.372 | 0.5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