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강호(姜湖 1908~1984)의 문예비평 = Art Criticism of Kang Ho(姜湖 1908~1984)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196249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Kang Ho had been the member of KAPF, the proletarian art movement that started from the late 1920``s and closed in the early 1930``s.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era, He has actively participated in proletarian art movement as a film director, stage artist as well as art critics. He defected to North Korea in 1946. In North Korea, He has led the practice and discourse of North Korean Art(especially in stage art of film and theater). Among others, The critical text which he has presented in 1960``s has a special significance in that it provides clues for the apprehending the relation between the proletarian art of Japanese colonial era and North Korean art. Moreover, In this texts we can identify the process for the North Korean artist to accept socialist realism. For Kang Ho, the proletarian art movement of KAPF in 1920``s~1930``s was the lead of socialist realism of Korea. According to him, the KAPF artist has created the ``typical character and situation`` as well as ``revolutionary optimism`` for that socialist realism demand for the first time in Korea. Another issue was the relation between parts and the whole in art. Kang suggested that artists should make the whole by connecting the parts having autonomy and integrity in itself. He called this situation noble collectivity However, Most of Kang``s Suggestions was rejected by the North Korean artist of 1970``s. They adopted the anti-japanese art of 1930``s as their foundation instead of KAPF. Besides they adopted not the noble collectivity but the continuous flow`` as the purpose for the artist to pursue.
      번역하기

      Kang Ho had been the member of KAPF, the proletarian art movement that started from the late 1920``s and closed in the early 1930``s.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era, He has actively participated in proletarian art movement as a film director, stage ...

      Kang Ho had been the member of KAPF, the proletarian art movement that started from the late 1920``s and closed in the early 1930``s.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era, He has actively participated in proletarian art movement as a film director, stage artist as well as art critics. He defected to North Korea in 1946. In North Korea, He has led the practice and discourse of North Korean Art(especially in stage art of film and theater). Among others, The critical text which he has presented in 1960``s has a special significance in that it provides clues for the apprehending the relation between the proletarian art of Japanese colonial era and North Korean art. Moreover, In this texts we can identify the process for the North Korean artist to accept socialist realism. For Kang Ho, the proletarian art movement of KAPF in 1920``s~1930``s was the lead of socialist realism of Korea. According to him, the KAPF artist has created the ``typical character and situation`` as well as ``revolutionary optimism`` for that socialist realism demand for the first time in Korea. Another issue was the relation between parts and the whole in art. Kang suggested that artists should make the whole by connecting the parts having autonomy and integrity in itself. He called this situation noble collectivity However, Most of Kang``s Suggestions was rejected by the North Korean artist of 1970``s. They adopted the anti-japanese art of 1930``s as their foundation instead of KAPF. Besides they adopted not the noble collectivity but the continuous flow`` as the purpose for the artist to pursue.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활발한 창작과 새로운 시도-영화 및 무대미술 작품들을 중심으로" (2) : 1964

      2 이효인, "한국영화역사강의 1" 이론과실천 1992

      3 최열, "한국근대미술의 역사: 1800-1945" 열화당 1998

      4 "카프 시기 영화들의 주제 사상과 인물형상" (6) : 1962

      5 "카프 미술부의 조직과 활동" (5) : 1957

      6 "창조적 개성의 다양한 발양-1966년도 영화미술에서" (5) : 1967

      7 안영일, "주제의 천명과 연출" (1) : 1966

      8 강호, "조선영화운동의 신방침-우리들의 금후활동을 위하야(6)"

      9 리재현, "조선력대미술가편람" 문학예술종합출판사 1999

      10 강호, "제작상영활동과 조직활동을 위하야"

      1 "활발한 창작과 새로운 시도-영화 및 무대미술 작품들을 중심으로" (2) : 1964

      2 이효인, "한국영화역사강의 1" 이론과실천 1992

      3 최열, "한국근대미술의 역사: 1800-1945" 열화당 1998

      4 "카프 시기 영화들의 주제 사상과 인물형상" (6) : 1962

      5 "카프 미술부의 조직과 활동" (5) : 1957

      6 "창조적 개성의 다양한 발양-1966년도 영화미술에서" (5) : 1967

      7 안영일, "주제의 천명과 연출" (1) : 1966

      8 강호, "조선영화운동의 신방침-우리들의 금후활동을 위하야(6)"

      9 리재현, "조선력대미술가편람" 문학예술종합출판사 1999

      10 강호, "제작상영활동과 조직활동을 위하야"

      11 "정하보와 그의 무대미술" (8) : 1964

      12 이성철, "일제 강점기의 조선영화 - 1920-30년대 경남지역 강호(姜湖) 감독의 활동을 중심으로" 지역사회학회 16 (16): 109-148, 2015

      13 "우리나라에서의 사회주의적 사실주의 연극의 발생발전(1)-카프 연극에서의 풍자연극을 중심으로" (5) : 1962

      14 "영화 미술에서의 조형적 처리" (5) : 1962

      15 이장열, "연극영화인 강호의 삶과 문예정치활동 연구" 경남대학교 극동문제연구소 11 : 141-155, 1992

      16 "성과와 부족점-영화미술과 무대미술 부문에서" 5 : 1962

      17 "서울에 있는 김형에게 보내는 편지" (12) : 1960

      18 "생활적 분위기와 환경 창조" (4) : 1962

      19 "새로운 전진-영화 및 무대 미술 작품을 보고" (2) : 1965

      20 "분장과 성격창조" (3) : 1966

      21 한상언, "북한영화의 탄생과 주인규" 한국영화학회 (37) : 383-410, 2008

      22 "배우와 소도구" 5 : 1964

      23 송영일, "미술가의 창작-사상적 지향" (5) : 1964

      24 "무대미술에서 형상적인 것과 설명적인 것" (2) : 1963

      25 "무대 및 영화미술에서 생활문화의 반영-민족적 특성 문제를 두고" (8) : 1966

      26 "라운규의 연출 수법과 그의 특성" (8) : 1962

      27 "라운규의 연극활동" 6 : 1964

      28 "두 가지 의견-무대미술의 형상성 제고" (11/12) : 20-, 1965

      29 "당의 품속에서 20년 간" 9 : 1965

      30 "그가 제기한 요구성-연출가 라운규의 배우 외의 직업" (6) : 1963

      31 "공훈예술가 강진 동무" (12) : 1962

      32 리억일, "계급적 항거의 정신-해방 전 사실주의 영화들에 대하여" (7) : 1963

      33 소희조, "강호와 그의 창작활동" (3) : 1997

      34 "<아리랑>의 준비와 그의 제작" (8) : 1963

      35 "<아리랑> 전 시기의 라운규와 그의 동료들" 7 : 1963

      36 "<뿔 빠진 황소>와 김태진" (11) : 1963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2-11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Learned Society of the Korean Culture -> The Association for Korean Cultural Studies KCI등재
      2010-02-11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THE Korean Culture Journal -> The Review of Korean Cultural Studies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7-02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A study of Han Min Jok's culture -> THE Korean Culture Journal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6-16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Learned Society Of Han-Min-Jok'S Culture -> The Learned Society of the Korean Culture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 0.6 0.5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9 0.59 1.042 0.1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