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활발한 창작과 새로운 시도-영화 및 무대미술 작품들을 중심으로" (2) : 1964
2 이효인, "한국영화역사강의 1" 이론과실천 1992
3 최열, "한국근대미술의 역사: 1800-1945" 열화당 1998
4 "카프 시기 영화들의 주제 사상과 인물형상" (6) : 1962
5 "카프 미술부의 조직과 활동" (5) : 1957
6 "창조적 개성의 다양한 발양-1966년도 영화미술에서" (5) : 1967
7 안영일, "주제의 천명과 연출" (1) : 1966
8 강호, "조선영화운동의 신방침-우리들의 금후활동을 위하야(6)"
9 리재현, "조선력대미술가편람" 문학예술종합출판사 1999
10 강호, "제작상영활동과 조직활동을 위하야"
1 "활발한 창작과 새로운 시도-영화 및 무대미술 작품들을 중심으로" (2) : 1964
2 이효인, "한국영화역사강의 1" 이론과실천 1992
3 최열, "한국근대미술의 역사: 1800-1945" 열화당 1998
4 "카프 시기 영화들의 주제 사상과 인물형상" (6) : 1962
5 "카프 미술부의 조직과 활동" (5) : 1957
6 "창조적 개성의 다양한 발양-1966년도 영화미술에서" (5) : 1967
7 안영일, "주제의 천명과 연출" (1) : 1966
8 강호, "조선영화운동의 신방침-우리들의 금후활동을 위하야(6)"
9 리재현, "조선력대미술가편람" 문학예술종합출판사 1999
10 강호, "제작상영활동과 조직활동을 위하야"
11 "정하보와 그의 무대미술" (8) : 1964
12 이성철, "일제 강점기의 조선영화 - 1920-30년대 경남지역 강호(姜湖) 감독의 활동을 중심으로" 지역사회학회 16 (16): 109-148, 2015
13 "우리나라에서의 사회주의적 사실주의 연극의 발생발전(1)-카프 연극에서의 풍자연극을 중심으로" (5) : 1962
14 "영화 미술에서의 조형적 처리" (5) : 1962
15 이장열, "연극영화인 강호의 삶과 문예정치활동 연구" 경남대학교 극동문제연구소 11 : 141-155, 1992
16 "성과와 부족점-영화미술과 무대미술 부문에서" 5 : 1962
17 "서울에 있는 김형에게 보내는 편지" (12) : 1960
18 "생활적 분위기와 환경 창조" (4) : 1962
19 "새로운 전진-영화 및 무대 미술 작품을 보고" (2) : 1965
20 "분장과 성격창조" (3) : 1966
21 한상언, "북한영화의 탄생과 주인규" 한국영화학회 (37) : 383-410, 2008
22 "배우와 소도구" 5 : 1964
23 송영일, "미술가의 창작-사상적 지향" (5) : 1964
24 "무대미술에서 형상적인 것과 설명적인 것" (2) : 1963
25 "무대 및 영화미술에서 생활문화의 반영-민족적 특성 문제를 두고" (8) : 1966
26 "라운규의 연출 수법과 그의 특성" (8) : 1962
27 "라운규의 연극활동" 6 : 1964
28 "두 가지 의견-무대미술의 형상성 제고" (11/12) : 20-, 1965
29 "당의 품속에서 20년 간" 9 : 1965
30 "그가 제기한 요구성-연출가 라운규의 배우 외의 직업" (6) : 1963
31 "공훈예술가 강진 동무" (12) : 1962
32 리억일, "계급적 항거의 정신-해방 전 사실주의 영화들에 대하여" (7) : 1963
33 소희조, "강호와 그의 창작활동" (3) : 1997
34 "<아리랑>의 준비와 그의 제작" (8) : 1963
35 "<아리랑> 전 시기의 라운규와 그의 동료들" 7 : 1963
36 "<뿔 빠진 황소>와 김태진" (11) : 19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