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아동문학 분야 고전물 발간 특징과 대중화 방향 = A Study on the Publication Trends and Popularization Directions of Classical Literature in Children’s Literary Work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952418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고는 아동문학 분야에서 고전물 발간 특징을 검토하고 고전을 아동서로 쓸 때 고민했던 지점들을 살펴 고전의 아동문학 대중화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 것이다. 고전 아동문학의 서술 방식을 크게 축약․부연형과 각색․창작형으로 나누었다. 축약․부연형은 원전의 내용과 형식을 최대한 유지하면서 현대어로 옮기는 방식으로, 축약․삭제와 부연․첨가의 원칙이 적용된다. 특히 한자어와 고사가 많은 부분에서 각주 사용을 최소화하고 쉬운 표현으로 바꾸는 전략이 요구된다. 이는 아동 독자의 가독성을 높이기 위한 것으로, 원전의 의미를 훼손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이루어져야 한다. 원전을 임의로 삭제하거나 부연․첨가하는 경우, 원전을 왜곡한다는 비판이 따른다. 그러나 원전을 그대로 번역해서 어린이 독자가 이해하지 못하도록 하는 것보다는 원전의 취지를 잘 살리면서 어린이 눈높이에 맞게 바꾸는 것이 더 낫다. 각색․창작형은 원전의 핵심을 유지하되 새로운 캐릭터 창조, 구조 변형, 시점 전환 등 다양한 전략을 활용한다. 원전에 없는 캐릭터를 만들거나 기존 캐릭터에 개성을 부여하고, 원전의 구조를 변형하거나 새로운 사건을 만들며, 시점을 전환하여 사건을 새로운 시각으로 재구성한다. 이러한 시도들은 아동 독자의 흥미와 이해를 높이기 위한 것이다.
      고전의 아동문학 대중화를 위해서는 아동 독자층으로의 관심 확대, 지속적인 제도적 지원, 내용 선택의 기준 마련, 미발굴 원전의 활용 등이 필요하다. 특히 야담과 야사 등 새로운 원전 발굴과 활용에 주목해야 하며, 이는 단순한 언어적 전환을 넘어 현대 아동의 인지적․정서적 특성을 고려한 종합적인 접근이 필요하다. 아동문학계와 고전문학계의 협력을 통해 원전의 가치를 보존하면서도 아동의 수용 가능성을 고려하는 기준이 마련되어야 한다. 이러한 노력은 우리의 문화유산을 후속 세대에 전승하고 문화적 정체성을 형성하는 중요한 토대가 된다.
      번역하기

      본고는 아동문학 분야에서 고전물 발간 특징을 검토하고 고전을 아동서로 쓸 때 고민했던 지점들을 살펴 고전의 아동문학 대중화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 것이다. 고전 아동문학의 서술 방식...

      본고는 아동문학 분야에서 고전물 발간 특징을 검토하고 고전을 아동서로 쓸 때 고민했던 지점들을 살펴 고전의 아동문학 대중화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 것이다. 고전 아동문학의 서술 방식을 크게 축약․부연형과 각색․창작형으로 나누었다. 축약․부연형은 원전의 내용과 형식을 최대한 유지하면서 현대어로 옮기는 방식으로, 축약․삭제와 부연․첨가의 원칙이 적용된다. 특히 한자어와 고사가 많은 부분에서 각주 사용을 최소화하고 쉬운 표현으로 바꾸는 전략이 요구된다. 이는 아동 독자의 가독성을 높이기 위한 것으로, 원전의 의미를 훼손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이루어져야 한다. 원전을 임의로 삭제하거나 부연․첨가하는 경우, 원전을 왜곡한다는 비판이 따른다. 그러나 원전을 그대로 번역해서 어린이 독자가 이해하지 못하도록 하는 것보다는 원전의 취지를 잘 살리면서 어린이 눈높이에 맞게 바꾸는 것이 더 낫다. 각색․창작형은 원전의 핵심을 유지하되 새로운 캐릭터 창조, 구조 변형, 시점 전환 등 다양한 전략을 활용한다. 원전에 없는 캐릭터를 만들거나 기존 캐릭터에 개성을 부여하고, 원전의 구조를 변형하거나 새로운 사건을 만들며, 시점을 전환하여 사건을 새로운 시각으로 재구성한다. 이러한 시도들은 아동 독자의 흥미와 이해를 높이기 위한 것이다.
      고전의 아동문학 대중화를 위해서는 아동 독자층으로의 관심 확대, 지속적인 제도적 지원, 내용 선택의 기준 마련, 미발굴 원전의 활용 등이 필요하다. 특히 야담과 야사 등 새로운 원전 발굴과 활용에 주목해야 하며, 이는 단순한 언어적 전환을 넘어 현대 아동의 인지적․정서적 특성을 고려한 종합적인 접근이 필요하다. 아동문학계와 고전문학계의 협력을 통해 원전의 가치를 보존하면서도 아동의 수용 가능성을 고려하는 기준이 마련되어야 한다. 이러한 노력은 우리의 문화유산을 후속 세대에 전승하고 문화적 정체성을 형성하는 중요한 토대가 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current status of children's literature publications in classical literature and suggest directions for popularization. The narrative methods of classical children's literature can be largely divided into direct/free translation type and adaptation/creation type. The direct/free translation type maintains the content and form of the original text while translating it into modern language, applying principles of reduction, deletion, and additional explanation. Particularly in sections with many Chinese characters and historical references, strategies are required to minimize footnotes and replace them with simple expressions. This is intended to enhance readability for child readers while preserving the original meaning.
      The adaptation/creation type maintains the core of the original work while utilizing various strategies such as creating new characters, transforming structures, and changing perspectives. It involves creating characters not present in the original text, giving personality to existing characters, modifying the original structure, creating new events, and reconstructing events from new perspectives. These attempts are designed to increase child readers' interest and understanding.
      To popularize classical literature as children's literature, several elements are necessary: expanding interest to child readers, continuous institutional support, establishing criteria for content selection, and utilizing undiscovered original texts. Particular attention should be paid to discovering and utilizing new original texts such as unofficial histories and folk tales, requiring a comprehensive approach that considers modern children's cognitive and emotional characteristics beyond simple linguistic conversion. Standards should be established through cooperation between children's literature and classical literature fields to preserve the value of original texts while considering children's receptivity. These efforts will serve as an important foundation for passing our cultural heritage to future generations and forming cultural identity.
      번역하기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current status of children's literature publications in classical literature and suggest directions for popularization. The narrative methods of classical children's literature can be largely divided into direct/free tra...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current status of children's literature publications in classical literature and suggest directions for popularization. The narrative methods of classical children's literature can be largely divided into direct/free translation type and adaptation/creation type. The direct/free translation type maintains the content and form of the original text while translating it into modern language, applying principles of reduction, deletion, and additional explanation. Particularly in sections with many Chinese characters and historical references, strategies are required to minimize footnotes and replace them with simple expressions. This is intended to enhance readability for child readers while preserving the original meaning.
      The adaptation/creation type maintains the core of the original work while utilizing various strategies such as creating new characters, transforming structures, and changing perspectives. It involves creating characters not present in the original text, giving personality to existing characters, modifying the original structure, creating new events, and reconstructing events from new perspectives. These attempts are designed to increase child readers' interest and understanding.
      To popularize classical literature as children's literature, several elements are necessary: expanding interest to child readers, continuous institutional support, establishing criteria for content selection, and utilizing undiscovered original texts. Particular attention should be paid to discovering and utilizing new original texts such as unofficial histories and folk tales, requiring a comprehensive approach that considers modern children's cognitive and emotional characteristics beyond simple linguistic conversion. Standards should be established through cooperation between children's literature and classical literature fields to preserve the value of original texts while considering children's receptivity. These efforts will serve as an important foundation for passing our cultural heritage to future generations and forming cultural identity.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