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편양언기(鞭羊彦機)의 선사상과 그 시적 형상화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55189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논문의 목적은 편양 언기(1581∼1644)의 선사상 특징과 그것이 구도와 깨달음을 얻어가는 과정, 깨달음을 증득한 후의 보림(保任), 자연교감과 방외(方外)의 생활과 대중교화에 있어 어떻게 투영, 시적 형상화되고 있는가를 살펴보는 데 있다.
      언기는 교와 선을 별문(別門)으로 보지 않는 서산 휴정(西山休靜)의 사상을 계승하고 있다. 언기의 선사상의 핵심은, 선은 교외별전의 경절문이며, 선교일치의 사상을 보이면서 선을 교보다 우위에 둔 점, 깨달음에 이르는 문을 경절문, 원돈문, 염불문 등의 삼문으로 구분한 점, 그리고 그 삼문은 방법의 차이가 있을 뿐 모두 자성을 밝히기 위한 것으로 궁극적인 경지는 같다는 것이다.
      언기는 서산의 ‘4대 문파’ 가운데 최대 계파로 조선 후기 불교교단의 대중화에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그는 자신의 득도와 참선 수행에만 전념하지 않고, 10여 년간 평양성 근처에서 양을 치고 걸인들을 보살피는 등 중생의 아픔을 함께 나눈 철저한 보살행을 실천했다. 그의 「편양당집」에 수록된 시들은 구도의 과정과 깨달음을 노래한 시, 산승으로 살아가며 느끼는 자연과의 감회를 읊은 시, 찾아오는 속인들을 향해 읊은 시, 도반의 선승들에게 준시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의 이러한 시문은 치열한 구도와 깨달음을 향 한 수행과 대중교화에 진력한 모습을 잘 보여준다. 여기에는 선심(禪心)의 시심화(詩心化)가 잘 담겨져 있음을 알 수 있다.
      번역하기

      이 논문의 목적은 편양 언기(1581∼1644)의 선사상 특징과 그것이 구도와 깨달음을 얻어가는 과정, 깨달음을 증득한 후의 보림(保任), 자연교감과 방외(方外)의 생활과 대중교화에 있어 어떻게 ...

      이 논문의 목적은 편양 언기(1581∼1644)의 선사상 특징과 그것이 구도와 깨달음을 얻어가는 과정, 깨달음을 증득한 후의 보림(保任), 자연교감과 방외(方外)의 생활과 대중교화에 있어 어떻게 투영, 시적 형상화되고 있는가를 살펴보는 데 있다.
      언기는 교와 선을 별문(別門)으로 보지 않는 서산 휴정(西山休靜)의 사상을 계승하고 있다. 언기의 선사상의 핵심은, 선은 교외별전의 경절문이며, 선교일치의 사상을 보이면서 선을 교보다 우위에 둔 점, 깨달음에 이르는 문을 경절문, 원돈문, 염불문 등의 삼문으로 구분한 점, 그리고 그 삼문은 방법의 차이가 있을 뿐 모두 자성을 밝히기 위한 것으로 궁극적인 경지는 같다는 것이다.
      언기는 서산의 ‘4대 문파’ 가운데 최대 계파로 조선 후기 불교교단의 대중화에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그는 자신의 득도와 참선 수행에만 전념하지 않고, 10여 년간 평양성 근처에서 양을 치고 걸인들을 보살피는 등 중생의 아픔을 함께 나눈 철저한 보살행을 실천했다. 그의 「편양당집」에 수록된 시들은 구도의 과정과 깨달음을 노래한 시, 산승으로 살아가며 느끼는 자연과의 감회를 읊은 시, 찾아오는 속인들을 향해 읊은 시, 도반의 선승들에게 준시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의 이러한 시문은 치열한 구도와 깨달음을 향 한 수행과 대중교화에 진력한 모습을 잘 보여준다. 여기에는 선심(禪心)의 시심화(詩心化)가 잘 담겨져 있음을 알 수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trace the characteristic of Seon thought of Seon master Pyeongyang Eon-ki(1581∼1644), and to examine his poetic aesthetics formed in the course of seeking after the truth and enlightenment, of communing with nature and outside the secular world, and of guiding his disciples and lay people. Succeeding Seon thought of Seon master Seosan Hyujeong's 'Seon and doctrine is the same one,' Eon-ki stressed that mind is the basis of all things. Among Seosan’s four factions, the faction of Eon-ki flourished in later times. He thought that three gates to enlightenment such as Gyeongjeolmun, Wondonmun, and Yeombulmun are ultimately the same one in enlightening the original face, Buddha nature. He lived Bodhisattvas's life saving sentient beings in Pyeonyang castle: rearing sheep or taking care of 300 beggars for about ten years.
      He attempted to find the original nature through Samathavipassana, and expressed his Seon mind in more simple and condensed poetic images and dictions. His poetic world, created in the course of his severe practice and enlightenment, is more lyrically depicted well. Consequently, the characteristic of Eon-ki's poetic expression is the very good combination of Seon intuition and poetic imagination.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trace the characteristic of Seon thought of Seon master Pyeongyang Eon-ki(1581∼1644), and to examine his poetic aesthetics formed in the course of seeking after the truth and enlightenment, of communing with nature an...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trace the characteristic of Seon thought of Seon master Pyeongyang Eon-ki(1581∼1644), and to examine his poetic aesthetics formed in the course of seeking after the truth and enlightenment, of communing with nature and outside the secular world, and of guiding his disciples and lay people. Succeeding Seon thought of Seon master Seosan Hyujeong's 'Seon and doctrine is the same one,' Eon-ki stressed that mind is the basis of all things. Among Seosan’s four factions, the faction of Eon-ki flourished in later times. He thought that three gates to enlightenment such as Gyeongjeolmun, Wondonmun, and Yeombulmun are ultimately the same one in enlightening the original face, Buddha nature. He lived Bodhisattvas's life saving sentient beings in Pyeonyang castle: rearing sheep or taking care of 300 beggars for about ten years.
      He attempted to find the original nature through Samathavipassana, and expressed his Seon mind in more simple and condensed poetic images and dictions. His poetic world, created in the course of his severe practice and enlightenment, is more lyrically depicted well. Consequently, the characteristic of Eon-ki's poetic expression is the very good combination of Seon intuition and poetic imagination.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Ⅰ. 들어가는 말
      • Ⅱ. 언기의 선사상의 특징
      • Ⅲ. 구도와 깨달음의 과정을 노래한 시세계
      • Ⅳ. 자연교감과 방외(方外)의 시세계
      • 국문초록
      • Ⅰ. 들어가는 말
      • Ⅱ. 언기의 선사상의 특징
      • Ⅲ. 구도와 깨달음의 과정을 노래한 시세계
      • Ⅳ. 자연교감과 방외(方外)의 시세계
      • Ⅴ. 대중교화의 시세계
      • Ⅵ. 나오는 말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한국불교전서 8"

      2 송백운, "한국불교인물사상사" 민족사 1990

      3 이종찬, "한국불가시문학사론" 불광출판부 1993

      4 편양언기, "편양당집 권3"

      5 편양언기, "편양당집 권2"

      6 편양언기, "편양당집 권1"

      7 편양언기, "편양당집"

      8 이종수, "조선후기 불교의 수행체계 연구 : 삼문수학을 중심으로" 동국대학교 대학원 2010

      9 이덕진, "자비의 선사, 편양대사" 6 : 2011

      10 백원기, "선시의 이해와 마음치유" 도서출판 동인 2014

      1 "한국불교전서 8"

      2 송백운, "한국불교인물사상사" 민족사 1990

      3 이종찬, "한국불가시문학사론" 불광출판부 1993

      4 편양언기, "편양당집 권3"

      5 편양언기, "편양당집 권2"

      6 편양언기, "편양당집 권1"

      7 편양언기, "편양당집"

      8 이종수, "조선후기 불교의 수행체계 연구 : 삼문수학을 중심으로" 동국대학교 대학원 2010

      9 이덕진, "자비의 선사, 편양대사" 6 : 2011

      10 백원기, "선시의 이해와 마음치유" 도서출판 동인 2014

      11 배규범, "보살행의 실천과 탈속 지향의 문학: 편양언기론" 경희대학교 민속학연구소 2 : 1988

      12 원오극근, "벽암록" 장경각 1993

      13 邊東彬, "鞭羊堂 彦機의 詩世界 : 僧俗無碍를 中心으로" 東國大學校 敎育大學院 1991

      14 조태성, "大興寺의 詩風과 詩壇의 摸索을 위한 시론-편양당과 소요당의 문학을 중심으로-" 호남학연구원 1 (1): 273-296, 2007

      15 고경식, "壬亂期불가문학 연구-정관일선, 사명유정, 소요태능, 편양언기를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1998

      16 裵奎範, "任亂期 佛家文學 硏究 : 靜觀一禪·四溟惟政·逍遙太能·鞭羊彦機를 중심으로" 慶熙大學校 大學院 1998

      17 김항배, "(숭산박길진박사화갑기념) 한국불교사상사" 원광대학교 원불교사상연구원 1975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4-11 학회명변경 영문명 : 미등록 -> Buddhist Culture and Art Laboratory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 0 0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 0 0 0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