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법화경」'불난 집의 비유’에 관한 정신분석학적 고찰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55189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법화경」 불난 집의 비유에서는 탐ㆍ진ㆍ치로 인해 삼계에서 고통의 나날을 보내고 있는 모습을 묘사하고 있다. 이 고통은 현실의 상황을 도피하고싶은 심리적 방어 기제가 쾌락이나 유희로 나타난 것이다. 중생들은 상황을 극복할 수 있는 진리를 알 수 없기에 불안을 지니고 괴롭게 사는 것이다. 이러한 중생들의 고통은 아동이 부모와의 애착관계에서 동일시하고 싶어 하는 심리작용과 상통하는 것이다. 그래서 중생을 아동으로 보고 부처님을 훌 륭한 부모와 동일하게 이해할 수 있는 아동의 심리작용으로 파악한 것이다.
      아동은 부모와의 동일시를 통해 안정된 정서를 형성해 독립적이고 자율적인 자아로 성장하게 된다. 부모와 동일체에서 분리되어 가는 과정 중에 환경적 요인인 부모의 반응에 따라 아동의 성장은 다른 양상으로 드러난다. 즉, 부모의 관심과 애정은 불안을 극복하고 독립된 자아로 성장시킬 수도 있지만, 분리 과정에서 부모의 무반응은 아동을 퇴행시킴으로 내적 성장이 어렵게 됨을 알 수 있다.
      부모의 반응정도에 따라 만들어진 불안은 외부의 대상을 상징화시켜 원시적인 심리투사를 통해 일정한 대상에 집착하게 한다. 이 투사가 미분화되면 부정적인 면을 갖게 되고, 분화를 이루지 못했지만 의식을 통해 창조적이고 긍정적인 면을 이룬다. 창조적이고 긍정적인 것은 무의식과 의식의 대극 합일을 이루는 자기실현이다. 자기실현은 아동이 불안을 통해 정신적 경험을 함으로 두려움이라는 괴로움을 이겨내는 과정이자 결과이다. 아동이 불안을 이겨낼 수 있는 조건은 부모의 안정된 애착 형성을 만들어 주는 조건들이라고 하겠다. 부모의 안정된 애착형성은 아동의 정신적 육체적 안녕을 지켜줌으로써 자기 스스로가 불안을 극복하는 기회를 만들어 주어 자기의 이상과 자기실현을 도와준다는 것이다. 아동의 자기실현은 부모와 아동의 상호 작용에 의해서 이루어지며, 이 작용에는 기질의 유전이나 경험에 의해 결정되고 환경적 요인에 따라 달라진다는 점에서 불난 집의 비유와 상통점이 있다.
      번역하기

      「법화경」 불난 집의 비유에서는 탐ㆍ진ㆍ치로 인해 삼계에서 고통의 나날을 보내고 있는 모습을 묘사하고 있다. 이 고통은 현실의 상황을 도피하고싶은 심리적 방어 기제가 쾌락이나 유...

      「법화경」 불난 집의 비유에서는 탐ㆍ진ㆍ치로 인해 삼계에서 고통의 나날을 보내고 있는 모습을 묘사하고 있다. 이 고통은 현실의 상황을 도피하고싶은 심리적 방어 기제가 쾌락이나 유희로 나타난 것이다. 중생들은 상황을 극복할 수 있는 진리를 알 수 없기에 불안을 지니고 괴롭게 사는 것이다. 이러한 중생들의 고통은 아동이 부모와의 애착관계에서 동일시하고 싶어 하는 심리작용과 상통하는 것이다. 그래서 중생을 아동으로 보고 부처님을 훌 륭한 부모와 동일하게 이해할 수 있는 아동의 심리작용으로 파악한 것이다.
      아동은 부모와의 동일시를 통해 안정된 정서를 형성해 독립적이고 자율적인 자아로 성장하게 된다. 부모와 동일체에서 분리되어 가는 과정 중에 환경적 요인인 부모의 반응에 따라 아동의 성장은 다른 양상으로 드러난다. 즉, 부모의 관심과 애정은 불안을 극복하고 독립된 자아로 성장시킬 수도 있지만, 분리 과정에서 부모의 무반응은 아동을 퇴행시킴으로 내적 성장이 어렵게 됨을 알 수 있다.
      부모의 반응정도에 따라 만들어진 불안은 외부의 대상을 상징화시켜 원시적인 심리투사를 통해 일정한 대상에 집착하게 한다. 이 투사가 미분화되면 부정적인 면을 갖게 되고, 분화를 이루지 못했지만 의식을 통해 창조적이고 긍정적인 면을 이룬다. 창조적이고 긍정적인 것은 무의식과 의식의 대극 합일을 이루는 자기실현이다. 자기실현은 아동이 불안을 통해 정신적 경험을 함으로 두려움이라는 괴로움을 이겨내는 과정이자 결과이다. 아동이 불안을 이겨낼 수 있는 조건은 부모의 안정된 애착 형성을 만들어 주는 조건들이라고 하겠다. 부모의 안정된 애착형성은 아동의 정신적 육체적 안녕을 지켜줌으로써 자기 스스로가 불안을 극복하는 기회를 만들어 주어 자기의 이상과 자기실현을 도와준다는 것이다. 아동의 자기실현은 부모와 아동의 상호 작용에 의해서 이루어지며, 이 작용에는 기질의 유전이나 경험에 의해 결정되고 환경적 요인에 따라 달라진다는 점에서 불난 집의 비유와 상통점이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Regarding the metaphor of the house on fire in 'The Sutra of the Lotus', it portrays the appearance of spending the days in pain in the three worlds due to the Three Fires. Regarding this pain, the psychological defense mechanism of wanting to escape from the situation of the reality appears as a pleasure or a play. Because they cannot know the truths for overcoming the situations, the people live agonizingly while possessing the insecurity. Such a pain of the people has the psychological action of the children wanting to identify in the attachment relationships with the parents in common. So, the people had been seen as the children and the Buddha had been understood as the psychological actions of the children for understanding in the same way as the excellent parents.
      Through the identifications with the parents, by forming the stable emotions, the children get around to growing into the independent and autonomous ego. During the process of being separated from the same body with the parents, according to the reactions of the parents, which are the environmental factors, the growths of the children get revealed as the other aspects. Or, in other words, although the interest and the affection of the parents can make the children overcome the insecurity and make them grow into the independent egos, the non-reaction by the parents in the process of the separation can make the internal growth difficult by regressing the children.
      By symbolizing the objects outside, the insecurity that has been made according to the extent of the reactions by the parents make the children become obsessed with a certain object through the primeval,
      번역하기

      Regarding the metaphor of the house on fire in 'The Sutra of the Lotus', it portrays the appearance of spending the days in pain in the three worlds due to the Three Fires. Regarding this pain, the psychological defense mechanism of wanting to escape ...

      Regarding the metaphor of the house on fire in 'The Sutra of the Lotus', it portrays the appearance of spending the days in pain in the three worlds due to the Three Fires. Regarding this pain, the psychological defense mechanism of wanting to escape from the situation of the reality appears as a pleasure or a play. Because they cannot know the truths for overcoming the situations, the people live agonizingly while possessing the insecurity. Such a pain of the people has the psychological action of the children wanting to identify in the attachment relationships with the parents in common. So, the people had been seen as the children and the Buddha had been understood as the psychological actions of the children for understanding in the same way as the excellent parents.
      Through the identifications with the parents, by forming the stable emotions, the children get around to growing into the independent and autonomous ego. During the process of being separated from the same body with the parents, according to the reactions of the parents, which are the environmental factors, the growths of the children get revealed as the other aspects. Or, in other words, although the interest and the affection of the parents can make the children overcome the insecurity and make them grow into the independent egos, the non-reaction by the parents in the process of the separation can make the internal growth difficult by regressing the children.
      By symbolizing the objects outside, the insecurity that has been made according to the extent of the reactions by the parents make the children become obsessed with a certain object through the primeval,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Ⅰ. 들어가는 말
      • Ⅱ. 불난 집의 비유와 정신분석학적 이론의 연관성
      • Ⅲ. 정신분석 및 대상관계 이론으로 해석한불난 집의 비유
      • Ⅳ. 맺는 말
      • 국문초록
      • Ⅰ. 들어가는 말
      • Ⅱ. 불난 집의 비유와 정신분석학적 이론의 연관성
      • Ⅲ. 정신분석 및 대상관계 이론으로 해석한불난 집의 비유
      • Ⅳ. 맺는 말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권석만, "현대이상심리학" 학지사 2013

      2 각묵, "초기불교이해" 초기불전연구원 2015

      3 아브라함 H, "존재의 심리학" 문예출판사 2017

      4 임홍빈, "정신분석 강의" 열린책들 2013

      5 하인즈 코헛, "자기의 분석" 한국심리치료연구소 2013

      6 사이구사 미쓰요시(三枝充悳), "인간론ㆍ심리학" 불교시대사 1996

      7 한국융연구원, "상징과 리비도" 솔출판사 2005

      8 가스통 바슐라르, "불의 정신분석" 이학사 2016

      9 루네 E.A. 요한슨, "불교심리학" 시공사 1996

      10 호길장, "법화론소" 법화원 2011

      1 권석만, "현대이상심리학" 학지사 2013

      2 각묵, "초기불교이해" 초기불전연구원 2015

      3 아브라함 H, "존재의 심리학" 문예출판사 2017

      4 임홍빈, "정신분석 강의" 열린책들 2013

      5 하인즈 코헛, "자기의 분석" 한국심리치료연구소 2013

      6 사이구사 미쓰요시(三枝充悳), "인간론ㆍ심리학" 불교시대사 1996

      7 한국융연구원, "상징과 리비도" 솔출판사 2005

      8 가스통 바슐라르, "불의 정신분석" 이학사 2016

      9 루네 E.A. 요한슨, "불교심리학" 시공사 1996

      10 호길장, "법화론소" 법화원 2011

      11 이치가와 지코오(市川智康), "법화경 이야기" 도서출판 세연 2017

      12 정승석, "번뇌 업 고통" 민족사 2004

      13 이운허, "묘법연화경" 동국역경원 2015

      14 박선영, "멜라니 클라인의 아동정신분석 : 이론 및 임상 체계의 비판적 재구성"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4

      15 홍준기, "라캉, 클라인, 자아심리학" 새물결출판사 2017

      16 차차석, "다시 읽는 법화경" 조계종출판사 201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4-11 학회명변경 영문명 : 미등록 -> Buddhist Culture and Art Laboratory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 0 0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 0 0 0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