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사회중심 교수는 장애학생의 지역사회 생활 기술을 지도하기 위하여 활용되는 효과적인 교수전략이다. 본 연구는 지역사회중심 교수를 중재로 활용한 국내 실험연구를 메타 분석함으...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지역사회중심 교수는 장애학생의 지역사회 생활 기술을 지도하기 위하여 활용되는 효과적인 교수전략이다. 본 연구는 지역사회중심 교수를 중재로 활용한 국내 실험연구를 메타 분석함으...
지역사회중심 교수는 장애학생의 지역사회 생활 기술을 지도하기 위하여 활용되는 효과적인 교수전략이다. 본 연구는 지역사회중심 교수를 중재로 활용한 국내 실험연구를 메타 분석함으로써, 지역사회중심 교수의 중재 효과성을 검증하고 앞으로 효과적인 지역사회 생활 기술 교수프로그램을 개발 및 적용하는 데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지금까지 국내에서 발표된 지역사회중심 교수와 관련된 논문을 조사하고, 분석논문 선정기준에 따라 국내 21편의 실험논문을 최종 분석대상으로 선정하였다. 본 연구의 메타 분석은 3가지 분석영역에 따라 총 7개의 분석변인(연구대상, 실험환경, 실험설계, 중재유형, 목표기술, 중재 효과, 유지 및 일반화 효과)으로 분석하였다. 우선 메타 분석의 결과를 살펴보면 전체적으로 지역사회중심 교수의 중재는 큰 효과로 나타났으며, 유지와 일반화에도 큰 효과가 있었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는 7개의 분석변인에 따라 구체적으로 제시하였으며, 그 결과는 지역사회중심 교수와 증거기반 실제의 관점에서 논의하였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community-based intervention(CBI) is effective intervention strategies for addressing community skills in children with disabilit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meta-analysis the research literature of CBI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and t...
The community-based intervention(CBI) is effective intervention strategies for addressing community skills in children with disabilit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meta-analysis the research literature of CBI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and to provide information and suggestions on CBI for future research and practices at schools.
A systematic search of the literature from 1998 to 2013 revealed 21 experimental studies published in special education within South Korea. This study analyzed the 21 selected studies in terms of 7 analytical variables: participants, research settings, experimental design, target skills, type of intervention, effects of intervention, maintenance and generation.
In particular, results indicated a largely positive effect for CBI (mean ES > .80, median PND = 100%). Maintenance (median PND = 100%) and generalization effects (median PND = 100%) revealed large effects.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described in detail based on the 7 analytic variables. The implications of the findings and recommendations for practice and future research on CBI were presented.
참고문헌 (Reference)
1 최윤진, "형제자매의 지역사회중심교수가 자폐스펙트럼장애아동의 물건사기 기술 수행에 미치는 효과" 한국자폐학회 10 (10): 23-55, 2010
2 나용기, "학습장애학생의 자아개념 프로그램 효과 메타분석"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12 (12): 291-314, 2011
3 전윤희, "학습장애 또는 학습부진 학생들의 수학문장제 문제해결력 중재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한국특수교육학회 47 (47): 139-163, 2013
4 김동일, "특수교육연구의 실제-증거기반 교육실천을 위한 주제와 방법론-" 학지사 2012
5 여승수, "특수교육에서의 증거기반교수를 위한 다층모형 메타분석(Multilevel Meta-Analysis) 활용 방안 탐색" 한국특수교육학회 46 (46): 223-238, 2011
6 신인수, "특수교육 및 관련 분야의 메타분석 논문에 대한 고찰"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54 (54): 157-176, 2011
7 서유진, "지적장애 학생을 위한 교과교육 중재연구 분석: 질적지표와 증거기반 중재 기준을 중심으로" 한국특수아동학회 14 (14): 435-466, 2012
8 김진호, "지역사회훈련이 지적장애학생의 이동 및 직업기초기술 수행에 미치는 효과" 한국특수교육학회 44 (44): 261-285, 2009
9 박상희, "지역사회중심의 전환교육활동이 경도 정신지체학생의 사회적 기술에 미치는 효과"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 8권 (8권): 233-253, 2006
10 김주연, "지역사회중심의 여가활동지도가 지적장애 중학생의 볼링기술과 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효과" 한국장애인재활협회 16 (16): 209-229, 2012
1 최윤진, "형제자매의 지역사회중심교수가 자폐스펙트럼장애아동의 물건사기 기술 수행에 미치는 효과" 한국자폐학회 10 (10): 23-55, 2010
2 나용기, "학습장애학생의 자아개념 프로그램 효과 메타분석"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12 (12): 291-314, 2011
3 전윤희, "학습장애 또는 학습부진 학생들의 수학문장제 문제해결력 중재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한국특수교육학회 47 (47): 139-163, 2013
4 김동일, "특수교육연구의 실제-증거기반 교육실천을 위한 주제와 방법론-" 학지사 2012
5 여승수, "특수교육에서의 증거기반교수를 위한 다층모형 메타분석(Multilevel Meta-Analysis) 활용 방안 탐색" 한국특수교육학회 46 (46): 223-238, 2011
6 신인수, "특수교육 및 관련 분야의 메타분석 논문에 대한 고찰"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54 (54): 157-176, 2011
7 서유진, "지적장애 학생을 위한 교과교육 중재연구 분석: 질적지표와 증거기반 중재 기준을 중심으로" 한국특수아동학회 14 (14): 435-466, 2012
8 김진호, "지역사회훈련이 지적장애학생의 이동 및 직업기초기술 수행에 미치는 효과" 한국특수교육학회 44 (44): 261-285, 2009
9 박상희, "지역사회중심의 전환교육활동이 경도 정신지체학생의 사회적 기술에 미치는 효과"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 8권 (8권): 233-253, 2006
10 김주연, "지역사회중심의 여가활동지도가 지적장애 중학생의 볼링기술과 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효과" 한국장애인재활협회 16 (16): 209-229, 2012
11 이영미, "지역사회중심의 여가기술교수가 정신지체인의 볼링장 이용하기 기술 수행에 미치는 영향" 한국특수교육학회 40 (40): 279-302, 2006
12 장혜성, "지역사회중심교수가 정신지체 중학생의 지하철, 대형매장, 패스트후드점 이용하기 기술에 미치는 효과" 한국장애인재활협회 14 (14): 153-179, 2010
13 김진호, "지역사회중심 직업훈련프로그램이 지적장애학생의 기초사무기술 수행에 미치는 효과"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 12 (12): 119-148, 2010
14 김영준, "지역사회중심 직업훈련프로그램이 지적장애 고등학생의 아파트관리기술 수행에 미치는 효과" 한국특수교육학회 46 (46): 73-101, 2012
15 박현옥, "지역사회중심 직업교육이 성인 지적장애인의 지역사회 활용기술과 문제행동에 미치는 효과" 한국발달장애학회 15 (15): 1-16, 2011
16 박상희, "지역사회중심 전환교육 프로그램 적용이 특수학급 정신지체아의 자기결정능력에 미치는 효과"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 9 (9): 1-21, 2007
17 강경숙, "지역사회중심 봉사활동 훈련이 지적장애학생의 자원봉사기술 수행에 미치는 효과" 한국특수교육학회 47 (47): 91-123, 2012
18 김영준, "지역사회중심 교수프로그램이 지적장애 고등학생의 일상생활기술 수행에 미치는 효과" 한국특수아동학회 12 (12): 491-516, 2010
19 조임성, "지역사회중심 교수가 정신지체학생의 여가활동 기술 습득에 미치는 영향" 국립특수교육원 16 (16): 199-222, 2009
20 양경애, "지역사회중심 교수가 자폐성장애학생의 지역사회 기능 증진에 미치는 효과" 한국정서·행동장애아교육학회 24 (24): 79-96, 2008
21 이예다나, "중재반응모형에서의 증거기반교수를 위한 읽기중재 효과 메타분석" 한국학습장애학회 7 (7): 119-143, 2010
22 장혜성, "중재 패키지를 이용한 지역사회중심교수가 지적장애 고등학생의 지역사회적응기술 습득에 미치는 영향"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 12 (12): 149-173, 2010
23 박은혜, "중도장애아를 위한 지역사회중심의 교수전략" 2 (2): 20-47, 1998
24 장혜성, "중도 정신지체 고등부 학생의 지역사회 기능 증진을 위한 지역사회중심 교수의 효과" 한국정서·행동장애아교육학회 19 (19): 23-52, 2003
25 장혜성, "정신지체 중고등학생의 지역사회중심교수 전략에 대한 문헌고찰"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 9 (9): 59-80, 2007
26 이옥인, "장애학생의 자기결정에 대한 중재프로그램의 효과: 메타분석"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54 (54): 101-121, 2011
27 김진호, "장애학생을 위한 지역사회중심 교수프로그램 적용사례 고찰: 국내 연구를 중심으로" 한국직업재활학회 18 (18): 45-68, 2008
28 김수진, "장애학생을 위한 자기결정 중재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연구" 국립특수교육원 20 (20): 25-46, 2013
29 정소영, "장애인 의사소통 프로그램 효과 메타분석"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55 (55): 141-162, 2012
30 박지연, "장애인 가족지원을 위한 증거기반의 실제" 학지사 2012
31 김미영, "자폐 범주성 장애 아동을 대상으로 한 중심축 반응 훈련 중재의 메타분석- 단일대상 연구를 중심으로 -" 한국특수아동학회 14 (14): 1-23, 2012
32 이성용, "자기교시 중재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한국특수교육학회 46 (46): 163-189, 2011
33 남경욱, "인지적 장애를 지닌 아동을 위한 보완·대체 의사소통 중재에 대한 메타분석 -단일대상연구를 중심으로-" 한국특수교육학회 42 (42): 193-212, 2008
34 박윤하, "시각적 단서와 관찰의 단계적 소거를 적용한 지역사회중심 교수가 자폐 청소년의 지하철 이용하기 수행에 미치는 효과" 한국정서·행동장애아교육학회 20 (20): 217-250, 2004
35 오성삼, "선행 연구 결과의 통합과 재분석을 위한 메타분석의 이론과 실제" 건국대학교출판부 2009
36 이성용, "상황이야기 중재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국립특수교육원 19 (19): 293-319, 2012
37 박지윤, "비디오 자기모델링을 활용한 지역사회중심교수가 자폐아동의 자동판매기 이용 기술 수행에 미치는 효과" 한국정서·행동장애아교육학회 24 (24): 93-120, 2008
38 김해근, "비디오 자기모델링, 시간지연 및 최소촉진법을 연합한 지역사회중심교수가 발달장애 학생의 대형마트 이용기술에 미치는 효과"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 8 (8): 71-96, 2006
39 이성용, "비디오 모델링 기법의 근거기반 실제를 위한 메타분석"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12 (12): 213-237, 2011
40 신현기, "발달장애인에 대한 금전관리 기술교수의 효과에 대한 문헌분석"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 11 (11): 55-77, 2009
41 권용덕, "멀티미디어 자료를 활용한 지역사회중심교수가 지적장애 중학생의 대형마트 이용기술 수행에 미치는 효과"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 14 (14): 225-248, 2012
42 장혜성, "다중요소로 구성된 지역사회중심교수가 일반고등학교 발달장애학생의 지역사회활용기술 수행에 미치는 영향" 한국특수교육학회 40 (40): 219-243, 2005
43 윤희봉, "긍정적 행동지원 관련 단일대상 연구의 메타분석" 한국특수아동학회 13 (13): 605-624, 2011
44 신윤희, "근거 기반의 실제(Evidence-Based Practice)를 구축하기 위한 질적 지표 및 로드맵을 통한 분석 : 국내의 긍정적 행동지원 전략 연구들을 중심으로" 한국정서·행동장애아교육학회 25 (25): 137-165, 2009
45 Steere, D. E, "When you can't get out : strategies for supporting community-based instruction" 45 (45): 60-67, 2012
46 Tankersley, M, "Using single-subject research to establish the evidence base of special education" 44 (44): 83-90, 2008
47 Sitlington, P. L, "Transition education and services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Pearson Education 2010
48 Horner, R. H, "The use of single-subject research to identify evidence-based practice in special education" 71 (71): 165-179, 2005
49 Xin, Y. P, "The effects of purchasing skill instruction for individual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 A meta-analysis" 71 (71): 379-400, 2005
50 Westling, D. L, "Teaching students with severe disabilities" Pearson Education 2009
51 McDonnell, J, "Successful transition programs : Pathways for students with intellectual and developmental disabilities" Sage Publishing 2010
52 Bates, P. E, "Simulated and community-based instruction involving persons with mild and moderate mental retardation" 22 : 95-115, 2001
53 Collins, S., "Scientifically based research and students with severe disabilities: Where do educators find evidence-based practices?" 24 (24): 60-63, 2005
54 Gersten, R, "Quality indicators for group experimental and quasi-experimental research in special education" 71 (71): 149-164, 2005
55 Mechling, L. C, "Multi-media instruction to teach grocery word associations and store location: A study of generalization" 38 (38): 62-76, 2003
56 Collins, B. C, "Moderate and severe disabilities : A foundational approach" Pearson 2007
57 Brolin, D. E, "Life-centered career education : A competency-based approach" Council for Exceptional Children 1997
58 Snell, M. E, "Instruction of students with severe disabilities" Pearson Education 2011
59 Heward, W. L, "Exceptional children: An introduction to special education" Pearson Education 2013
60 Browder, D. M, "Evidence-based practices for students with severe disabilities and the requirement for accountability in “No Child Left Behind”" 37 (37): 157-163, 2003
61 Mechling, L. C, "Effects of multimedia, computer-based instruction on grocery shopping fluency" 19 (19): 23-34, 2004
62 McDonnell, J, "Effects of in vivo versus simulation-plus-in vivo training on the acquisition and generalization of grocery item selection by high school students with severe handicaps" 5 : 323-343, 1985
63 Hayes, B. K, "Development of conceptual knowledge in children with mental retardation" 98 (98): 293-303, 1993
64 Mechling, L. C, "Computer-based video instruction to teach the use of augmentative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devices for ordering at fast-food restaurants" 39 (39): 234-245, 2006
65 Mechling, L. C, "Computer-based video instruction to teach persons with moderate intellectual disabilities to read grocery aisle signs and locate items" 35 (35): 224-240, 2002
66 DiPipi-Hoy, C, "A parent-delivered intervention to teach purchasing skills to young adults with disabilities" 38 (38): 144-157, 2004
67 Browder, D. M, "A meta-analysis on teaching mathematics to students with significant cognitive disabilities" 74 (74): 407-432, 2008
68 Bellini, S, "A meta-analysis of video modeling and video self-modeling interventions for children and adolescents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73 (73): 264-287, 2007
69 Browder, D. M, "A meta-analysis and review of sight word research and its implications for teaching functional reading to individuals with moderate and severe disabilities" 32 (32): 130-153, 1998
70 Test, D. W, "A comprehensive review and meta-analysis of the social stories literature" 26 (26): 49-62, 2011
71 국립특수교육원, "3D기반 체험형 장애학생 가상현실 직업훈련 프로그램"
72 교육부, "2011 특수교육 교육과정"
통합환경에서의 중도장애학생 평가를 위한 국외 대안평가 연구동향 고찰 및 함의
생태학적 중심 장애아동 부모 역량강화 프로그램이 어머니의 자기효능감 및 양육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장애학생과의 난타연주활동이 중학교 여학생의 장애학생 수용태도에 미치는 효과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3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재인증) | ![]() |
2019-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8-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7-12-01 | 평가 |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 ![]() |
2017-03-07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Jouenal of Special Education -> Journal of Special Education | ![]()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9-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8-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2차) | ![]() |
2007-07-02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미등록 -> Jouenal of Special Education | ![]() |
2007-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6-07-07 | 학술지등록 | 한글명 : 특수교육연구외국어명 : 미등록 | ![]() |
2006-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53 | 0.53 | 0.48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58 | 0.69 | 0.715 | 0.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