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허희선, "학급차원의 또래도우미 활동 프로그램이 비장애학생의 장애학생과의 친구관계와 장애학생의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특수교육연구소 10 (10): 155-186, 2011
2 문정옥, "학급 적응활동 시간을 이용한 장애이해 프로그램이 일반 고등학생의 장애 학생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 특수교육연구소 5 (5): 51-72, 2006
3 김정환, "프로젝트학습을 통한 장애이해교육이 장애학생에 대한 비장애학생의 태도변화에 미치는 효과" 한국통합교육학회 1 (1): 95-115, 2006
4 국립특수교육원, "특수교육의 효율적인 운영방안"
5 남경욱, "통합학급 내 일반학생들의 지적장애학생에 대한 교우기대감(Friendship Expectation) 연구"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 14 (14): 47-74, 2012
6 소은진, "통합학급 고등학생의 장애수용태도 향상을 위한 공감중심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2 (12): 205-232, 2012
7 전상완, "통합체육 수업에 대한 비발달장애 학생의 수용태도와 인식 및 사회성 발달의 관계" 한국체육과학회 20 (20): 209-219, 2011
8 이원석, "탐구공동체 활동이 장애학생에 대한 비장애학생의 태도변화에 미치는 효과" 한국통합교육학회 1 (1): 139-155, 2006
9 강영심, "중학생의 공감능력이 장애학생 수용태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수산해양교육학회 25 (25): 1429-1439, 2013
10 권오정, "중학생 교우관계의 유형, 형성요인 및 학교생활 적응도 분석" 15 (15): 231-259, 2000
1 허희선, "학급차원의 또래도우미 활동 프로그램이 비장애학생의 장애학생과의 친구관계와 장애학생의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특수교육연구소 10 (10): 155-186, 2011
2 문정옥, "학급 적응활동 시간을 이용한 장애이해 프로그램이 일반 고등학생의 장애 학생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 특수교육연구소 5 (5): 51-72, 2006
3 김정환, "프로젝트학습을 통한 장애이해교육이 장애학생에 대한 비장애학생의 태도변화에 미치는 효과" 한국통합교육학회 1 (1): 95-115, 2006
4 국립특수교육원, "특수교육의 효율적인 운영방안"
5 남경욱, "통합학급 내 일반학생들의 지적장애학생에 대한 교우기대감(Friendship Expectation) 연구"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 14 (14): 47-74, 2012
6 소은진, "통합학급 고등학생의 장애수용태도 향상을 위한 공감중심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2 (12): 205-232, 2012
7 전상완, "통합체육 수업에 대한 비발달장애 학생의 수용태도와 인식 및 사회성 발달의 관계" 한국체육과학회 20 (20): 209-219, 2011
8 이원석, "탐구공동체 활동이 장애학생에 대한 비장애학생의 태도변화에 미치는 효과" 한국통합교육학회 1 (1): 139-155, 2006
9 강영심, "중학생의 공감능력이 장애학생 수용태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수산해양교육학회 25 (25): 1429-1439, 2013
10 권오정, "중학생 교우관계의 유형, 형성요인 및 학교생활 적응도 분석" 15 (15): 231-259, 2000
11 서화자, "장애체험 교육형태가 고등학교학생의 장애수용태도변화에 미치는 효과" 25 (25): 17-41, 2009
12 류경숙, "장애이해 프로그램이 일반 중학생의 장애학생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효과" 한국특수교육학회 40 (40): 321-337, 2005
13 이정란, "장애이해 프로그램이 일반 중학생의 장애학생에 대한 태도 및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 한국특수아동학회 7 (7): 149-166, 2005
14 옥혜숙, "장애관련 창작연극활동을 통한 중학교 여학생의 장애학생에 대한 인식 변화"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14 (14): 285-303, 2013
15 한경임, "장애관련 창작소설 이어쓰기 활동이 여고생의 장애 수용태도에 미치는 효과" 한국통합교육학회 7 (7): 29-51, 2012
16 하만두, "장애 이해 프로그램 적용이 고등학생의 장애인에 대한 태도 변화 - 영상자료 활용과 봉사활동 -" 한국특수아동학회 14 (14): 203-220, 2012
17 전병운, "우리나라 통합교육 관련 장애이해활동 프로그램 연구의 내용과 방법에 관한 경향 분석"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7 (7): 153-174, 2006
18 김순자, "신문활용 탐구공동체 교육활동을 통한 일반 중학생의 장애인에 대한 태도 변화 연구" 한국특수아동학회 9 (9): 309-331, 2007
19 이영숙, "신문토론 학습을 통한 장애이해프로그램이 중학생의 장애수용태도에 미치는 영향" 경원대학교 2011
20 염상석, "난타활동이 청소년의 자기효능감 증진과 스트레스 해소에 미치는 효과" (사)한국청소년문화연구소 31 (31): 31-59, 2012
21 임지연, "난타공연을 통한 사물놀이 리듬지도 : 중학교 2학년을 대상으로" 경희대학교 2005
22 임재우, "난타 활동을 위한 프로그램 및 지도방안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2007
23 McGrail, E, "Increasing Disability Awareness through Comics Literature" 3 : 1-21, 2013
24 Gottlieb, J, "Improving attitudes toward retarded children by using group discussion" 47 (47): 106-111, 1980
25 Bigelow, B. J, "Assessing children`s friendship expectations : Supplementing the semistructured interview with picture sequences tasks" 36 : 285-308, 1983
26 교육과학기술부, "2009 개정 교육과정"
27 노성인, "'난타'를 활용한 활동중심의 음악수업 지도연구 : 중학교 3학년을 중심으로" 단국대학교 2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