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장애학생과의 난타연주활동이 중학교 여학생의 장애학생 수용태도에 미치는 효과 = Improving the Attitude of Acceptance toward Students with Disabilities by Cooperating Nanta Performance of Middle School Students with and without Disabiliti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03926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cooperating Nanta performance of middle school students with and without disabilities on the attitude of acceptance to students with disabilities. This study was conducted by the pretest-posttest control group experimental design. The subjects were 50 students in the girls' middle school in K city. 25 students in an experimental group attended Nanta performance activity with students with disabilities and 25 students in controlled group were not applied any special intervention except general school education. According to paired sample t-tests, there was a difference between groups in acceptance attitude as a whole and the sub-areas such as personal life, school life, and learning life. The result of this study was that cooperating Nanta performance of students with and without disabilities gave a positive effect on acceptance-attitude toward students with disabilities. This study finds that cooperating activity students with and without disabilities has a great potential as instructional method to improve general middle school girls' perception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cooperating Nanta performance of middle school students with and without disabilities on the attitude of acceptance to students with disabilities. This study was conducted by the pretest-posttest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cooperating Nanta performance of middle school students with and without disabilities on the attitude of acceptance to students with disabilities. This study was conducted by the pretest-posttest control group experimental design. The subjects were 50 students in the girls' middle school in K city. 25 students in an experimental group attended Nanta performance activity with students with disabilities and 25 students in controlled group were not applied any special intervention except general school education. According to paired sample t-tests, there was a difference between groups in acceptance attitude as a whole and the sub-areas such as personal life, school life, and learning life. The result of this study was that cooperating Nanta performance of students with and without disabilities gave a positive effect on acceptance-attitude toward students with disabilities. This study finds that cooperating activity students with and without disabilities has a great potential as instructional method to improve general middle school girls' perception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장애학생과의 난타활동을 통하여 중학교 여학생의 장애학생에 대한 수용태도가 어떻게 변화되는지 살펴보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K시 소재 일반 여자중학교 3학년 2개반 학생 50명이다. 연구는 이질 통제집단 전후 검사 실험설계로 수행되었다. 실험집단의 여학생을 대상으로 20회기에 걸쳐 장애학생과의 난타연주활동을 통한 활동중심 중재전략을 실시하고, 통제집단은 아무런 처치를 가하지 않았다. 장애학생과의 난타연주활동 전과 후에 장애수용태도 검사를 실시하여 응답결과에 대한 집단 간 t-검증을 실시하여 효과를 밝혔다. 연구 결과, 장애학생과의 난타연주활동이 장애학생에 대한 중학교 여학생의 전반적인 수용태도는 물론 개인생활, 학교생활, 학습생활 등의 구성요소별 수용태도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는 장애학생을 배제한 장애이해프로그램의 한계를 보완하는 방안을 모색하는 데 중요한 정보를 제공한다. 장애학생과 함께하는 활동을 통하여 일반학생이 장애학생의 특성과 잠재능력을 정확하게 이해하게 되고 그에 따라 장애학생 수용태도가 개선될 수 있음을 보여주는 결과이다. 앞으로 장애학생의 직접적인 참여를 포함하는 장애이해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한다면 통합교육의 성공적인 실행을 위한 여건이 조성될 것으로 기대된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장애학생과의 난타활동을 통하여 중학교 여학생의 장애학생에 대한 수용태도가 어떻게 변화되는지 살펴보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K시 소재 일반 여자중학교 3학년 2개반 ...

      본 연구는 장애학생과의 난타활동을 통하여 중학교 여학생의 장애학생에 대한 수용태도가 어떻게 변화되는지 살펴보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K시 소재 일반 여자중학교 3학년 2개반 학생 50명이다. 연구는 이질 통제집단 전후 검사 실험설계로 수행되었다. 실험집단의 여학생을 대상으로 20회기에 걸쳐 장애학생과의 난타연주활동을 통한 활동중심 중재전략을 실시하고, 통제집단은 아무런 처치를 가하지 않았다. 장애학생과의 난타연주활동 전과 후에 장애수용태도 검사를 실시하여 응답결과에 대한 집단 간 t-검증을 실시하여 효과를 밝혔다. 연구 결과, 장애학생과의 난타연주활동이 장애학생에 대한 중학교 여학생의 전반적인 수용태도는 물론 개인생활, 학교생활, 학습생활 등의 구성요소별 수용태도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는 장애학생을 배제한 장애이해프로그램의 한계를 보완하는 방안을 모색하는 데 중요한 정보를 제공한다. 장애학생과 함께하는 활동을 통하여 일반학생이 장애학생의 특성과 잠재능력을 정확하게 이해하게 되고 그에 따라 장애학생 수용태도가 개선될 수 있음을 보여주는 결과이다. 앞으로 장애학생의 직접적인 참여를 포함하는 장애이해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한다면 통합교육의 성공적인 실행을 위한 여건이 조성될 것으로 기대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허희선, "학급차원의 또래도우미 활동 프로그램이 비장애학생의 장애학생과의 친구관계와 장애학생의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특수교육연구소 10 (10): 155-186, 2011

      2 문정옥, "학급 적응활동 시간을 이용한 장애이해 프로그램이 일반 고등학생의 장애 학생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 특수교육연구소 5 (5): 51-72, 2006

      3 김정환, "프로젝트학습을 통한 장애이해교육이 장애학생에 대한 비장애학생의 태도변화에 미치는 효과" 한국통합교육학회 1 (1): 95-115, 2006

      4 국립특수교육원, "특수교육의 효율적인 운영방안"

      5 남경욱, "통합학급 내 일반학생들의 지적장애학생에 대한 교우기대감(Friendship Expectation) 연구"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 14 (14): 47-74, 2012

      6 소은진, "통합학급 고등학생의 장애수용태도 향상을 위한 공감중심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2 (12): 205-232, 2012

      7 전상완, "통합체육 수업에 대한 비발달장애 학생의 수용태도와 인식 및 사회성 발달의 관계" 한국체육과학회 20 (20): 209-219, 2011

      8 이원석, "탐구공동체 활동이 장애학생에 대한 비장애학생의 태도변화에 미치는 효과" 한국통합교육학회 1 (1): 139-155, 2006

      9 강영심, "중학생의 공감능력이 장애학생 수용태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수산해양교육학회 25 (25): 1429-1439, 2013

      10 권오정, "중학생 교우관계의 유형, 형성요인 및 학교생활 적응도 분석" 15 (15): 231-259, 2000

      1 허희선, "학급차원의 또래도우미 활동 프로그램이 비장애학생의 장애학생과의 친구관계와 장애학생의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특수교육연구소 10 (10): 155-186, 2011

      2 문정옥, "학급 적응활동 시간을 이용한 장애이해 프로그램이 일반 고등학생의 장애 학생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 특수교육연구소 5 (5): 51-72, 2006

      3 김정환, "프로젝트학습을 통한 장애이해교육이 장애학생에 대한 비장애학생의 태도변화에 미치는 효과" 한국통합교육학회 1 (1): 95-115, 2006

      4 국립특수교육원, "특수교육의 효율적인 운영방안"

      5 남경욱, "통합학급 내 일반학생들의 지적장애학생에 대한 교우기대감(Friendship Expectation) 연구"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 14 (14): 47-74, 2012

      6 소은진, "통합학급 고등학생의 장애수용태도 향상을 위한 공감중심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2 (12): 205-232, 2012

      7 전상완, "통합체육 수업에 대한 비발달장애 학생의 수용태도와 인식 및 사회성 발달의 관계" 한국체육과학회 20 (20): 209-219, 2011

      8 이원석, "탐구공동체 활동이 장애학생에 대한 비장애학생의 태도변화에 미치는 효과" 한국통합교육학회 1 (1): 139-155, 2006

      9 강영심, "중학생의 공감능력이 장애학생 수용태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수산해양교육학회 25 (25): 1429-1439, 2013

      10 권오정, "중학생 교우관계의 유형, 형성요인 및 학교생활 적응도 분석" 15 (15): 231-259, 2000

      11 서화자, "장애체험 교육형태가 고등학교학생의 장애수용태도변화에 미치는 효과" 25 (25): 17-41, 2009

      12 류경숙, "장애이해 프로그램이 일반 중학생의 장애학생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효과" 한국특수교육학회 40 (40): 321-337, 2005

      13 이정란, "장애이해 프로그램이 일반 중학생의 장애학생에 대한 태도 및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 한국특수아동학회 7 (7): 149-166, 2005

      14 옥혜숙, "장애관련 창작연극활동을 통한 중학교 여학생의 장애학생에 대한 인식 변화"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14 (14): 285-303, 2013

      15 한경임, "장애관련 창작소설 이어쓰기 활동이 여고생의 장애 수용태도에 미치는 효과" 한국통합교육학회 7 (7): 29-51, 2012

      16 하만두, "장애 이해 프로그램 적용이 고등학생의 장애인에 대한 태도 변화 - 영상자료 활용과 봉사활동 -" 한국특수아동학회 14 (14): 203-220, 2012

      17 전병운, "우리나라 통합교육 관련 장애이해활동 프로그램 연구의 내용과 방법에 관한 경향 분석"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7 (7): 153-174, 2006

      18 김순자, "신문활용 탐구공동체 교육활동을 통한 일반 중학생의 장애인에 대한 태도 변화 연구" 한국특수아동학회 9 (9): 309-331, 2007

      19 이영숙, "신문토론 학습을 통한 장애이해프로그램이 중학생의 장애수용태도에 미치는 영향" 경원대학교 2011

      20 염상석, "난타활동이 청소년의 자기효능감 증진과 스트레스 해소에 미치는 효과" (사)한국청소년문화연구소 31 (31): 31-59, 2012

      21 임지연, "난타공연을 통한 사물놀이 리듬지도 : 중학교 2학년을 대상으로" 경희대학교 2005

      22 임재우, "난타 활동을 위한 프로그램 및 지도방안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2007

      23 McGrail, E, "Increasing Disability Awareness through Comics Literature" 3 : 1-21, 2013

      24 Gottlieb, J, "Improving attitudes toward retarded children by using group discussion" 47 (47): 106-111, 1980

      25 Bigelow, B. J, "Assessing children`s friendship expectations : Supplementing the semistructured interview with picture sequences tasks" 36 : 285-308, 1983

      26 교육과학기술부, "2009 개정 교육과정"

      27 노성인, "'난타'를 활용한 활동중심의 음악수업 지도연구 : 중학교 3학년을 중심으로" 단국대학교 2005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7-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7-03-07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ouenal of Special Education -> Journal of Special Education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7-07-02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Jouenal of Special Education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7-07 학술지등록 한글명 : 특수교육연구
      외국어명 : 미등록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3 0.53 0.4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8 0.69 0.715 0.1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