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통합환경에서의 중도장애학생 평가를 위한 국외 대안평가 연구동향 고찰 및 함의 = A Review on Research Trend of Overseas Alternate Assessment for Assessment of Students with Severe Disabilities in Inclusive Setting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03926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통합환경에서의 중도장애학생 평가를 위한 국외 대안평가 연구동향을 고찰하고 그 함의를 제시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분석대상논문은 2003년부터 2013년까지 10년간 학술지에 게재된 국외 논문 19편이고, 국외 대안평가의 연구동향은 전반적인 경향(연도별, 연구방법별, 연구 주제별)과 주요 특성(대안평가 지침 및 교육과정, 대안평가 적용 현황, 기술적 적합성, 대안평가의 영향)으로 나누어 분석되었고,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국외 대안평가 연구의 전반적인 경향으로 첫째, 연도별 연구동향은 대안평가와 관련된 법이 개정되거나 대안평가의 유형이 새롭게 제시되었던 해에 연구가 집중되고 있었다. 둘째, 연구방법별 연구동향은 조사연구가 문헌연구보다 약 세 배 많이 이루어졌다. 셋째, 연구주제별 연구동향은 대안평가 도구의 기술적 적합성(타당도, 신뢰도)에 대한 연구가 가장 많이 이루어졌다. 국외 대안평가 연구들의 주요 특성으로 첫째, 대안평가의 지침 및 교육과정과 관련하여 초기에는 대안평가를 소개하는 연구가 이루어졌으나 점차 대안평가 적용의 주요 쟁점(대안평가 참여의 적격성 결정, 기술적 적합성)에 관한 연구가 이루어졌다. 둘째, 대안평가의 적용 현황은 전반적인 적용 현황과 대안평가를 통한 장애학생의 학업성취도에 대한 현황에 대하여 주로 조사되었다. 셋째, 기술적 적합성과 관련하여 대안평가의 타당도에 대한 연구가 주를 이루었던 반면에 신뢰도에 대한 연구는 미흡한 것으로 밝혀졌다. 넷째, 대안평가는 장애학생의 수업뿐만 아니라 대안 평가 관계자(교사, 학부모)의 인식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결론 및 논의에서는 국외 대안평가 연구동향과 국내 대안평가 연구동향을 비교하여 국내 대안평가의 연구 동향을 진단하고 향후 국내 대안평가의 연구방향을 제시하였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통합환경에서의 중도장애학생 평가를 위한 국외 대안평가 연구동향을 고찰하고 그 함의를 제시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분석대상논문은 2003년부터 2013년까지 10년간 학술지에 게재...

      본 연구는 통합환경에서의 중도장애학생 평가를 위한 국외 대안평가 연구동향을 고찰하고 그 함의를 제시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분석대상논문은 2003년부터 2013년까지 10년간 학술지에 게재된 국외 논문 19편이고, 국외 대안평가의 연구동향은 전반적인 경향(연도별, 연구방법별, 연구 주제별)과 주요 특성(대안평가 지침 및 교육과정, 대안평가 적용 현황, 기술적 적합성, 대안평가의 영향)으로 나누어 분석되었고,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국외 대안평가 연구의 전반적인 경향으로 첫째, 연도별 연구동향은 대안평가와 관련된 법이 개정되거나 대안평가의 유형이 새롭게 제시되었던 해에 연구가 집중되고 있었다. 둘째, 연구방법별 연구동향은 조사연구가 문헌연구보다 약 세 배 많이 이루어졌다. 셋째, 연구주제별 연구동향은 대안평가 도구의 기술적 적합성(타당도, 신뢰도)에 대한 연구가 가장 많이 이루어졌다. 국외 대안평가 연구들의 주요 특성으로 첫째, 대안평가의 지침 및 교육과정과 관련하여 초기에는 대안평가를 소개하는 연구가 이루어졌으나 점차 대안평가 적용의 주요 쟁점(대안평가 참여의 적격성 결정, 기술적 적합성)에 관한 연구가 이루어졌다. 둘째, 대안평가의 적용 현황은 전반적인 적용 현황과 대안평가를 통한 장애학생의 학업성취도에 대한 현황에 대하여 주로 조사되었다. 셋째, 기술적 적합성과 관련하여 대안평가의 타당도에 대한 연구가 주를 이루었던 반면에 신뢰도에 대한 연구는 미흡한 것으로 밝혀졌다. 넷째, 대안평가는 장애학생의 수업뿐만 아니라 대안 평가 관계자(교사, 학부모)의 인식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결론 및 논의에서는 국외 대안평가 연구동향과 국내 대안평가 연구동향을 비교하여 국내 대안평가의 연구 동향을 진단하고 향후 국내 대안평가의 연구방향을 제시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analysis was to review on research trend of overseas alternate assessment for assessment of students with severe disabilities in inclusive settings. The purpose of this analysis was to review studies concerning alternate assessment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journals published from 2003 to 2013. Total 19 studies were identified based on the analysis criteria.
      The results are as follows: In general trend of alternate assessment, the number of studies was the most frequently in 2007. Survey was the most frequently in research methodology. And the number of studies on technical adequacy of alternate assessment was the most frequently. In specific trend of alternate assessment, the number of the theme on alternate assessment regulations were decreased because of being concentrated on main issues on application of alternate assessment. Surveys on application of alternate assessment were conducted in large-scale survey. Studies on technical adequacy of alternate assessment were more concentrated on validity than on reliability. And alternate assessment influenced on the perception of persons concerned in alternate assessment. Comments on current research and relevant issues for future research are discussed.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analysis was to review on research trend of overseas alternate assessment for assessment of students with severe disabilities in inclusive settings. The purpose of this analysis was to review studies concerning alternate assessment...

      The purpose of this analysis was to review on research trend of overseas alternate assessment for assessment of students with severe disabilities in inclusive settings. The purpose of this analysis was to review studies concerning alternate assessment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journals published from 2003 to 2013. Total 19 studies were identified based on the analysis criteria.
      The results are as follows: In general trend of alternate assessment, the number of studies was the most frequently in 2007. Survey was the most frequently in research methodology. And the number of studies on technical adequacy of alternate assessment was the most frequently. In specific trend of alternate assessment, the number of the theme on alternate assessment regulations were decreased because of being concentrated on main issues on application of alternate assessment. Surveys on application of alternate assessment were conducted in large-scale survey. Studies on technical adequacy of alternate assessment were more concentrated on validity than on reliability. And alternate assessment influenced on the perception of persons concerned in alternate assessment. Comments on current research and relevant issues for future research are discussed.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은주, "한국 장애학생의 학업성취도 분석 연구" 국립특수교육원 2002

      2 정소영, "포트폴리오 프로그램의 대안평가 활용에 대한 특수교육 교사의 인식" 한국특수아동학회 13 (13): 437-456, 2011

      3 정동영, "특수교육의 재개념화와 그 특수성 해명" 국립특수교육원 14 (14): 89-122, 2007

      4 정은주, "특수교육대상학생을 위한 대안평가 개발의 필요성과 인지 복잡성(Cognitive Complexity) 개념이 주는 시사점" 한국특수아동학회 11 (11): 237-254, 2009

      5 이은정, "통합된 중도장애학생을 위한 기준중심 진단-책무성 체계의 실행 : 대체 진단(Alternate Assessment)을 중심으로" 한국정서·행동장애아교육학회 20 (20): 69-95, 2004

      6 이은정, "통합교육 현장의 장애 학생을 위한 기준-중심 수행평가 방안 : 루브릭(rubric)의 고안 및 실행을 중심으로" 한국특수교육학회 40 (40): 153-178, 2005

      7 교육부, "제4차 특수교육발전 5개년 계획(2013-2017)" 교육부 2013

      8 교육과학기술부, "제3차 특수교육발전 5개년 계획(2008-2012)" 교육과학기술부 2008

      9 김은주, "장애학생의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참여 방안 연구 : 시각장애・청각장애・지체부자유학생을 중심으로" 국립특수교육원 2003

      10 정현우, "장애학생을 위한 평가 수정의 쟁점 해소방안 탐색" 한국특수교육교과교육학회 5 (5): 1-18, 2012

      1 김은주, "한국 장애학생의 학업성취도 분석 연구" 국립특수교육원 2002

      2 정소영, "포트폴리오 프로그램의 대안평가 활용에 대한 특수교육 교사의 인식" 한국특수아동학회 13 (13): 437-456, 2011

      3 정동영, "특수교육의 재개념화와 그 특수성 해명" 국립특수교육원 14 (14): 89-122, 2007

      4 정은주, "특수교육대상학생을 위한 대안평가 개발의 필요성과 인지 복잡성(Cognitive Complexity) 개념이 주는 시사점" 한국특수아동학회 11 (11): 237-254, 2009

      5 이은정, "통합된 중도장애학생을 위한 기준중심 진단-책무성 체계의 실행 : 대체 진단(Alternate Assessment)을 중심으로" 한국정서·행동장애아교육학회 20 (20): 69-95, 2004

      6 이은정, "통합교육 현장의 장애 학생을 위한 기준-중심 수행평가 방안 : 루브릭(rubric)의 고안 및 실행을 중심으로" 한국특수교육학회 40 (40): 153-178, 2005

      7 교육부, "제4차 특수교육발전 5개년 계획(2013-2017)" 교육부 2013

      8 교육과학기술부, "제3차 특수교육발전 5개년 계획(2008-2012)" 교육과학기술부 2008

      9 김은주, "장애학생의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참여 방안 연구 : 시각장애・청각장애・지체부자유학생을 중심으로" 국립특수교육원 2003

      10 정현우, "장애학생을 위한 평가 수정의 쟁점 해소방안 탐색" 한국특수교육교과교육학회 5 (5): 1-18, 2012

      11 최종근, "장애학생에 대한 학업성취도 검사 조정의 타당화를 위한 문항 편파성 연구" 한국교육평가학회 19 (19): 199-222, 2006

      12 김영석, "장애학생 대안평가 도구로서 활동표본평가에 대한 특수교사의 적합성 인식 분석" 국립특수교육원 20 (20): 161-179, 2013

      13 정동영, "장애학생 교육성과 제고를 위한 평가전략"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 9 (9): 135-159, 2007

      14 이은정, "장애 학생의 대규모 일반교육과정 중심 학업성취도 평가 참여의 현황 및 과제" 한국특수교육학회 44 (44): 45-67, 2009

      15 박성우, "발달장애학생의 학업성취도 평가에 대한 인식 및 학업성취 실태조사" 국립특수교육원 2004

      16 박성우, "발달장애학생의 수학과 학업성취도 평가 프로그램 개발 및 검사조정 효과에 관한 연구" 국립특수교육원 2005

      17 강종구, "대안평가의 특성 및 효용성에 대한 탐구" 한국시각장애교육&재활학회 25 (25): 127-146, 2009

      18 이승희, "국가수준학업성취도평가를 위한 장애학생의 대체사정에 대한 고찰: 미국의 관련 연방법을 중심으로" 한국특수교육학회 45 (45): 189-210, 2010

      19 최종근, "국가 수준 학업 성취도 평가에서 시각장애 학생을 위한 검사시간 연장의 효과 분석" 한국교육평가학회 18 (18): 153-176, 2005

      20 Towles-Reeves, E, "Validation of large-Scale alternate assessment systems and their influence on instruction : what are the consequences?" 31 (31): 45-57, 2006

      21 U. S. Department of Education, "Title I-Improving the academic achievement of the disadvantaged;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Education Act; final regulations" 72 (72): 17748-17781, 2007

      22 Roach, A. T, "The influence of access to general education curriculum on alternate assessment performance of students with significant cognitive disabilities" 28 (28): 181-194, 2006

      23 Browder, D, "The alignment of alternate assessment content with academic and functional Curricula" 37 (37): 211-223, 2004

      24 Roach, A T, "Teacher perceptions and the consequential validity of an alternate assessment for students with significant cognitive disabilities" 18 (18): 168-175, 2007

      25 Yovanoff, P, "Scaling early reading alternate assessments with statewide measures" 73 (73): 184-201, 2007

      26 Karvonen, M, "Relationship between IEP characteristics and test scores on an alternate assessment for students with significant cognitive disabilities" 20 (20): 273-300, 2007

      27 Roach, A. T, "Influences on parent perceptions of an alternate assessment for students with severe cognitive disabilities" 31 (31): 267-274, 2006

      28 Lowrey, K. A, "Impact of alternate assessment on curricula for students with severe disabilities" 32 (32): 244-253, 2007

      29 Browder, D., "How states implement alternate assessments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 national policy" 15 (15): 209-220, 2005

      30 Wyne, A. E, "Considerations for equating alternate assessments: two case studies of alternate assessments based on alternate achievement standards" 26 (26): 50-72, 2013

      31 Cho, H. J, "Capturing implicit policy from NCLB test type assignments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78 (78): 58-72, 2011

      32 Elliott, S. N, "Building validity evidence for scores on a state-wide alternate assessment: a contrasting groups, multimethod approach" 26 (26): 30-43, 2007

      33 Salvia, J, "Assessment in special and inclusive education" Houghton & Mifflin Co 2007

      34 Salvia, J, "Assessment in special and inclusive education" Houghton & Mifflin Co 2013

      35 Elliott, S. N., "Alternate assessments of students with significant disabilities: alternative approaches, common technical challenges" 20 (20): 301-333, 2007

      36 Tindal, G, "Alternate assessments in reading and math : development and validation for students with significant disabilities" 69 (69): 481-494, 2003

      37 Roach, A. T, "Alternate assessment as the "ultimate accommodation" : four challenges for policy and practice" 31 (31): 73-78, 2005

      38 Byrnes, M. A, "Alternate assessment FAQs (and answers)" 36 (36): 58-63, 2004

      39 U. S. Department of Education, "Alternate achievement standards for students with the most significant cognitive disabilities: Non-regulatory guidance" U. S. Department of Education 2005

      40 Kohl, F. L, "Alternate achievement standards and assessments : a description investigation of 16 states" 73 (73): 107-123, 2006

      41 Roach, A. T, "Alignment of an alternate assessment with state academic standards: evidence for the content validity of the wisconsin alternate assessment" 38 (38): 218-231, 2005

      42 Marion, S. F, "A validity framework for evaluating the technical quality of alternate assessments" 25 (25): 47-57, 2006

      43 노선옥, "2011 특수교육실태조사" 국립특수교육원 2011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7-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7-03-07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ouenal of Special Education -> Journal of Special Education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7-07-02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Jouenal of Special Education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7-07 학술지등록 한글명 : 특수교육연구
      외국어명 : 미등록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3 0.53 0.4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8 0.69 0.715 0.1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