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년 동북아역사재단은 충주 고구려비 발견 40주년을 맞아 ‘충주 고구려비의 金石學的 연구’를 진행하였다. 그 과정에서 비면의 3D 스캐닝 데이터와 RTI 촬영 자료를 확보하였고, 고해상...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6926037
2020
Korean
충주 고구려비 ; 디지털 사진촬영 ; 탁본 ; 3D ; RTI ; 판독 ; Choongju Koguryo Stele ; Digital Photograph ; Rubbing ; 3D Scanning ; Intensive Observation
KCI등재
학술저널
47-95(49쪽)
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2019년 동북아역사재단은 충주 고구려비 발견 40주년을 맞아 ‘충주 고구려비의 金石學的 연구’를 진행하였다. 그 과정에서 비면의 3D 스캐닝 데이터와 RTI 촬영 자료를 확보하였고, 고해상...
2019년 동북아역사재단은 충주 고구려비 발견 40주년을 맞아 ‘충주 고구려비의 金石學的 연구’를 진행하였다.
그 과정에서 비면의 3D 스캐닝 데이터와 RTI 촬영 자료를 확보하였고, 고해상 디지털 사진을 촬영하였다. 문화재청의 협조로 최신 탁본의 제작 과정을 참관하였으며, 여러 기관 및 개인들이 소장한 탁본 등 관련 자료들을 수집할 수 있었다. 충주 고구려비 전시관의 휴관일에 맞추어 현장에서 직접 관련 작업을 진행하면서 비면을 집중적으로 관찰할 수 있었던 것은 글자의 판독에 많은 도움이 되었다.
본 논문은 이러한 연구를 통해 그동안 학계에서 논란이 된 前面 上端의 이른바 ‘題額’이라고 한 부분과 干支에 해당하는 글자를 중심으로 살펴본 것이다. 그 결과 전면 상단에서 ‘永樂七年歲在丁酉’를 읽었고, 본문에서 ‘十二月廿三(五)日甲寅’으로 판독되던 것을 ‘十二月廿七日庚寅’으로 수정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좌측면에서 ‘辛酉年’으로 판독하여 연대 추정의 단서로 삼았던 부분은 ‘功二百六十(四)’일 가능성이 크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Northeast Asian History Foundation conducted an epigraphic study of ‘Chongju Koguryo Stele’ in 2019 to co㎜emorate the 40th year of discovering Choongju Koguryo Stele. In this process, it secured 3D scanning data and RTI photographic data of s...
Northeast Asian History Foundation conducted an epigraphic study of ‘Chongju Koguryo Stele’ in 2019 to co㎜emorate the 40th year of discovering Choongju Koguryo Stele.
In this process, it secured 3D scanning data and RTI photographic data of stele side, observed the process of making rubbings with high-resolution digital photograph and cooperation of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and collected rubbings of good quality owned by several organizations and individuals. In addition, intensive observation of the stele side was very helpful to decipher letters while it progressed the work related in the field on the day when the exhibition all of Choongju Goguryeo Stele was closed.
This study mainly examined letters of ‘stele head’ and ganji on the front top which has been controversial in the academia. As a result of the study, ‘永樂七年歲在丁酉 (yoengnakchilnyeonsejaejeongyu)’ was deciphered on the front top and ‘十二月廿三(五)日甲寅 (sibyiwolyisibsam(oh)ilgabin)’ deciphered in the text could be revised to ‘十二月廿七日庚寅 (sibyiwolyisibchililgyeongin)’. Moreover, what was made a clue of dating as ‘辛酉年 (sinyunyeon)’ on the left side is likely to be ‘功二百六十(四) (gongyibaekryuksip(sa))’.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조영훈, "충주 고구려비 판독을 위한 과학적 조사 방법" 동북아역사재단·한국고대사학회 2019
2 고구려연구회, "중원고구려비 연구" 학연문화사 2000
3 예술의전당, "옛탁본의 아름다움, 그리고 우리 역사" 우일출판사 1998
4 서울대학교박물관, "서울대학교박물관 기획특별전: 불후의 기록"
5 권인한, "문자와 고대 한국 1" 주류성 2019
6 국립중앙박물관, "금석문자료1 삼국시대" 예맥 2010
7 黃壽永, "高句麗延嘉七年銘金銅如來立像" 8 : 1963
8 韓國古代社會硏究所, "譯註 韓國古代金石文 제1권" 駕洛國史蹟開發硏究院 1992
9 국립중앙박물관 역사부, "簡札二 선인들의 편지 모음집" 통천문화사 2007
10 국립중앙박물관 역사부, "簡札一" 국립중앙박물관 2006
1 조영훈, "충주 고구려비 판독을 위한 과학적 조사 방법" 동북아역사재단·한국고대사학회 2019
2 고구려연구회, "중원고구려비 연구" 학연문화사 2000
3 예술의전당, "옛탁본의 아름다움, 그리고 우리 역사" 우일출판사 1998
4 서울대학교박물관, "서울대학교박물관 기획특별전: 불후의 기록"
5 권인한, "문자와 고대 한국 1" 주류성 2019
6 국립중앙박물관, "금석문자료1 삼국시대" 예맥 2010
7 黃壽永, "高句麗延嘉七年銘金銅如來立像" 8 : 1963
8 韓國古代社會硏究所, "譯註 韓國古代金石文 제1권" 駕洛國史蹟開發硏究院 1992
9 국립중앙박물관 역사부, "簡札二 선인들의 편지 모음집" 통천문화사 2007
10 국립중앙박물관 역사부, "簡札一" 국립중앙박물관 2006
11 田中東竹, "木簡·竹簡·帛書-戰國·秦·漢·晋" 二玄社 1990
12 伏見冲敬, "書道大字典" 凡中堂 1976
13 "拓本文字データベース"
14 檀國大學校 史學會, "史學志 13집"
15 金貞培, "中原高句麗碑의 몇 가지 問題點" 13 : 1979
16 李丙燾, "中原高句麗碑에 대하여" 13 : 22-, 1979
17 李昊榮, "中原高句麗碑 題額의 新讀" 13 : 1979
18 任昌淳, "中原高句麗碑 小考" 13 : 1979
19 檀國大學校 史學會, "中原高句麗碑 學術座談會議錄" 13 : 1979
20 신소연, "RTI 촬영을 통한 감산사 미륵보살상과 아미타불상 명문 검토" 국립중앙박물관 (84) : 75-99, 2013
충주 고구려비 공동 판독안 (동북아역사재단, 한국고대사학회)
충주 고구려비 판독을 위한 3차원 스캐닝 기술의 적용 및 고찰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8-07-07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The Korean Ancient Historical Association -> The Society for Ancient Korean History | ![]()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2-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69 | 1.69 | 1.84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64 | 1.57 | 3.463 | 0.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