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주 고구려비의 판독은 지금까지 주로 탁본을 이용하여 진행되었다. 현재 시점에서 선행 판독 결과의 가치를 높이고, 미판독 글자를 객관적으로 재검토하기 위해서는 3차원 스캐닝 기반의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6926036
2020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9-45(37쪽)
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충주 고구려비의 판독은 지금까지 주로 탁본을 이용하여 진행되었다. 현재 시점에서 선행 판독 결과의 가치를 높이고, 미판독 글자를 객관적으로 재검토하기 위해서는 3차원 스캐닝 기반의 ...
충주 고구려비의 판독은 지금까지 주로 탁본을 이용하여 진행되었다. 현재 시점에서 선행 판독 결과의 가치를 높이고, 미판독 글자를 객관적으로 재검토하기 위해서는 3차원 스캐닝 기반의 디지털 영상분석이 필요하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충주 고구려비 비문의 글자와 형상학적 특징을 가시화할 수 있는 다양한 디지털 영상분석 방법론을 제시하였다. 고구려비의 디지털기록화에 적용된 3차원 스캐닝 기술은 총 5종류이다. 특히 비문 판독에 활용된 고정밀스캐닝 결과는 평균 0.05∼0.12㎜의 고해상도 점간격을 나타냈다. 이러한 스캐닝 모델을 기반으로 개별 글자의 디지털 판독을 위해 비사실적 가시화 렌더링과 기하정보 매핑기술을 적용하였다. 이 결과, 글자의 음각 깊이, 경계 및 필획이 드러났고, 비문의 배열특징 등 제작기법을 이해할 수 있었다. 이 연구는 전통적 판독방법과 선행 결과를 개선하는데 큰 기여를 하였고, 디지털 판독의 필요성을 인식시키는데 중요한 전환점이 되었다. 충주 고구려비 비문 판독에 대한 최종 합의는 다학제간 융합연구를 통해 실현할 수 있기 때문에 인문학자와 과학자들의 지속적인 공동연구와 공론화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Previous efforts to decipher the Goguryeo Stele in Chungju were performed through manual rubbing. To objectively reexamine and improve upon these earlier efforts, it is necessary to apply digital imaging analysis based on three-dimensional scanning. A...
Previous efforts to decipher the Goguryeo Stele in Chungju were performed through manual rubbing. To objectively reexamine and improve upon these earlier efforts, it is necessary to apply digital imaging analysis based on three-dimensional scanning. Accordingly, the present study suggests various methodologies of digital imaging analysis that can be used to visualize the features of the characters and shapes of inscriptions on the Goguryeo Stele. Five kinds of three-dimensional scanning technologies were applied to produce digital documentation. In particular, the precision scanning results used for decipherment achieved a high-resolution point density of 0.05–0.12 mm. Non-realistic rendering and geometric mapping technologies were utilized for the digital decipherment of each character based on the scanning model. As a result, engraving depths, boundaries, and character strokes were clarified, and the manufacturing techniques like how to arrange characters were identified. This study makes a significant contribution by improving upon the traditional decipherment method and previous results and represents an important turning point in establishing the necessity of digital decipherment. It concludes that continuous cooperation and public discussion between humanities scholars and scientists is required because a final consensus on the decipherment of the Goguryeo Stele can only be achieved through the convergence of interdisciplinary research.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찬희, "함안군 대치리공룡발자국 화석의 3차원 영상분석과 손상도 평가 및 과학적 보존처리" 대한지질학회 48 (48): 179-191, 2012
2 하일식, "한국 고대 금석문의 발견지와 건립지" 한국고대사학회 (93) : 61-105, 2019
3 문화재청, "통계로 보는 문화유산 2018" 2019
4 박찬흥, "중원고구려비의 건립 목적과 신라의 위상" 고려사학회 (51) : 145-165, 2013
5 林起煥, "중원고구려비를 통해 본 고구려와 신라의 관계" 10 : 2000
6 徐吉洙, "중원고구려비 신석문 국제워크샵과 국제학술대회" 10 : 2000
7 고구려발해연구 편집부, "중원고구려비 비면 사진 및 탁본" 10 : 2000
8 조영훈, "울진 봉평리 신라비의 재판독과 보존과학적 진단" 국립문화재연구소 46 (46): 48-67, 2013
9 한국문화재보존과학회, "석조문화재 보존관리 연구" 국립문화재연구소 2003
10 "문화재청"
1 이찬희, "함안군 대치리공룡발자국 화석의 3차원 영상분석과 손상도 평가 및 과학적 보존처리" 대한지질학회 48 (48): 179-191, 2012
2 하일식, "한국 고대 금석문의 발견지와 건립지" 한국고대사학회 (93) : 61-105, 2019
3 문화재청, "통계로 보는 문화유산 2018" 2019
4 박찬흥, "중원고구려비의 건립 목적과 신라의 위상" 고려사학회 (51) : 145-165, 2013
5 林起煥, "중원고구려비를 통해 본 고구려와 신라의 관계" 10 : 2000
6 徐吉洙, "중원고구려비 신석문 국제워크샵과 국제학술대회" 10 : 2000
7 고구려발해연구 편집부, "중원고구려비 비면 사진 및 탁본" 10 : 2000
8 조영훈, "울진 봉평리 신라비의 재판독과 보존과학적 진단" 국립문화재연구소 46 (46): 48-67, 2013
9 한국문화재보존과학회, "석조문화재 보존관리 연구" 국립문화재연구소 2003
10 "문화재청"
11 안재홍, "문화 및 자연 유산의 해석을 위한 3차원 스캔 모델의 가시화- 공룡발자국의 기록과 해석 사례" 한국에이치씨아이학회 8 (8): 19-28, 2013
12 안재홍, "디지털유산, 문화유산의 3차원 기록과 활용" 시그마프레스 2016
13 허의주, "다항 회귀 분석을 이용한3차원 비석 데이터 내 글자 새김 추출법" 대한전자공학회 56 (56): 73-80, 2019
14 이상옥, "능산리고분군 동하총 벽화 보존상태 진단" 한국문화재보존과학회 34 (34): 333-343, 2018
15 국립부여박물관, "나무 속 암호 목간" 예맥 2000
16 문화재청, "국보·보물 건조물 문화재 2010 정기조사 보고서" 2010
17 강진원, "고구려 석비문화의 전개와 변천 -비형(碑形)을 중심으로-" 한국역사연구회 (103) : 197-230, 2017
18 고광의, "고구려 碑에 대한 고찰" 한국목간학회 (18) : 15-36, 2017
19 최원호, "각자된 글자의 형태적 시각화를 이용한 금석문 판독방법" 한국콘텐츠학회 17 (17): 740-749, 2017
20 천주현, "尹斗緖 自畵像의 표현기법 및 안료분석" 74 : 2006
21 장창은, "中原高句麗碑의 판독과 해석" 5 : 2005
22 張彰恩, "中原高句麗碑의 연구동향과 주요 쟁점" 189 : 2006
23 김창호, "中原高句麗碑의 건립 연대" 10 : 2000
24 鄭永鎬, "中原高句麗碑의 發見調査와 意義" 10 : 2000
25 단국대학교 사학회, "中原高句麗碑 特輯號" 13 : 1979
26 金洋東, "中原 高句麗碑와 高句麗 金石文의 書體에 대하여" 10 : 2000
27 Anderson, S.E., "Unwrapping and visualizing cuneiform tablets" 22 : 2002
28 "TK Asian Antiques"
29 Morita, M.M., "Reflectance transformation imaging. First applications in cultural heritage in Argentina" 26 : 2019
30 신소연, "RTI 촬영을 통한 감산사 미륵보살상과 아미타불상 명문 검토" 국립중앙박물관 (84) : 75-99, 2013
31 Malzbender, T., "Polynomial texture maps" 2001
32 조영훈, "Application of Three‐dimensional Scanning, Haptic Modeling, and Printing Technologies for Restoring Damaged Artifacts" 한국문화재보존과학회 35 (35): 71-80, 2019
33 박동진, "3D 스캔을 이용한 비석의 모형제작연구" 10 : 2008
34 한국과학기술연구원, "3D Cyber Museum 기술" 정보통신부 2003
35 국립문화재연구소, "2018 국가지정 건조물문화재 정기조사 : 충북·충남" 2019
충주 고구려비 공동 판독안 (동북아역사재단, 한국고대사학회)
충주 고구려비의 판독문 재검토 -題額과 干支를 중심으로-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8-07-07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The Korean Ancient Historical Association -> The Society for Ancient Korean History | ![]()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2-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69 | 1.69 | 1.84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64 | 1.57 | 3.463 | 0.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