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2019년 한국고대사학회, 동북아역사재단 주관 충주고구려비문에 대한 판독회의 결과물을 기초로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비문에 대한 검토는 현재 판독되는 글자가 상대적으로 많고...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6926039
2020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141-174(34쪽)
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2019년 한국고대사학회, 동북아역사재단 주관 충주고구려비문에 대한 판독회의 결과물을 기초로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비문에 대한 검토는 현재 판독되는 글자가 상대적으로 많고...
본 연구는 2019년 한국고대사학회, 동북아역사재단 주관 충주고구려비문에 대한 판독회의 결과물을 기초로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비문에 대한 검토는 현재 판독되는 글자가 상대적으로 많고, 내용상으로도 가장 중요한 전면에 한정하였다. 전면에는 高麗大王과 新羅寐錦의 회맹의 과정이 간략하게 기술되어 있는데, 이 과정에서 고려대왕에 의해 신라매금이 東夷寐錦으로 책봉되었으며, 의복 하사 등 복속의례가 진행된 것으로 파악하였다. 즉 東夷寐錦을 고구려 태왕이 신라매금에게 준 책봉호로 보았다.
寐錦土內, 新羅土內의 구분에도 주목하였다. 新羅土內幢主가 고구려 太王에 속한 직명이라는 사례에서 ‘新羅土內衆人’ 역시 고구려 태왕에 소속된 衆人들로 파악하였으며, ‘寐錦土內諸衆人’은 신라 측 지방민으로 파악하였다. 그리고 신라 측 참여자로서 고려 태왕으로부터 의복의 하사를 받은 대상이 新羅寐錦(東夷寐錦), 東夷寐錦上下, 寐錦土內諸衆人 등 3그룹으로 나타나는데, 같은 신라 측 인물들에 대한 표현이 寐錦과 寐錦土內로 구분되고 있음에서 寐錦土內로 수식되는 인물들은 신라 영역 내 지방민 특히 고구려와 신라의 접경지대의 지방민들로 추정하였다. 그리고 (大王)國土大位諸位上下에도 고구려 지방민이 포함되었을 것으로 추정하였다. 이러한 몇몇 주요한 용어로 볼 때 충주고구려비는 고구려와 신라 양국의 국경에서 일어난 영역 문제 등이 주요 내용일 것으로 추정하였다.
현존하는 충주고구려비는 고려태왕과 신라매금의 회맹을 기념하기 위한 목적으로 건립된 회맹비가 아니다. 회맹의 시점으로부터 계속된 일련의 사건이 충주고구려비를 세우게 되는 계기를 마련했으며, 내용으로 보아 영역 분쟁과 관련된 비문으로 추정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is based on a new reading scription of Chungju-Goguryeo Stele in 2019. The process of the association of Goguryeo Tae-King(高麗大王) and Silla Maegeum(新羅寐錦) briefly describes in the front inscription. During this process, ...
This study is based on a new reading scription of Chungju-Goguryeo Stele in 2019.
The process of the association of Goguryeo Tae-King(高麗大王) and Silla Maegeum(新羅寐錦) briefly describes in the front inscription.
During this process, Silla Maegeum was invested to Dongi Maegeum(東夷寐錦) by Goguryeo Tae-King. And Goguryeo Tae-King invested the official uniform to Silla Maegeum and his central officials and local officials who practiced Maegeum. My understanding that Dongi Maegeum was Appointment titles(冊封號) is a new argument
The terms of Silla-Tonae area(新羅土內) and Maegeum-Tonae area(寐錦土內) is also differ in content. The characters who are modified with the term Maegeum-Tonae area are presumed to be locals in the Silla area belonging to the Silla Maegeum. The characters who are modified with the term Silla-Tonae area(新羅土內) are presumed to be Goguryeo people or local Silla people in the Silla area belonging to the Goguryeo Tae-King.
In terms of some of the key terms above, it is presumed that Chungju Goguryeo Stele was the main issue of the territorial problems that occurred at the border between Goguryeo and Silla. Chungju Goguryeo Stele is not a monument established to commemorate the association between Goguryeo Tae-King and Silla Maegeum.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장창은, "중원고구려비의 연구동향과 주요 쟁점" 189 : 2006
2 손영종, "중원고구려비에 대하여" 과학백과사전출판사 85 (85): 1985
3 임기환, "중원고구려비 연구" 고구려연구회 2000
4 여호규, "신발견 <集安高句麗碑>의 구성과 내용 고찰" 한국고대사학회 (70) : 51-100, 2013
5 서영대, "譯註韓國古代金石文" 1992
6 김병곤, "新羅 王號 ‘寐錦’의 由來와 性格" 한국사학회 (84) : 1-34, 2006
7 임기환, "廣開土好太王碑 硏究 100年" 고구려연구회 1996
8 浜田耕策, "好太王碑文一二問題" 8 (8): 1982
9 장창은, "中原高句麗碑의 판독과 해석" (5) : 2005
10 변태섭, "中原高句麗碑의 내용과 연대에 대한 검토" 13 (13): 1979
1 장창은, "중원고구려비의 연구동향과 주요 쟁점" 189 : 2006
2 손영종, "중원고구려비에 대하여" 과학백과사전출판사 85 (85): 1985
3 임기환, "중원고구려비 연구" 고구려연구회 2000
4 여호규, "신발견 <集安高句麗碑>의 구성과 내용 고찰" 한국고대사학회 (70) : 51-100, 2013
5 서영대, "譯註韓國古代金石文" 1992
6 김병곤, "新羅 王號 ‘寐錦’의 由來와 性格" 한국사학회 (84) : 1-34, 2006
7 임기환, "廣開土好太王碑 硏究 100年" 고구려연구회 1996
8 浜田耕策, "好太王碑文一二問題" 8 (8): 1982
9 장창은, "中原高句麗碑의 판독과 해석" (5) : 2005
10 변태섭, "中原高句麗碑의 내용과 연대에 대한 검토" 13 (13): 1979
11 시노하라 히로카타, "中原高句麗碑의 解讀과 內容의 意義" 51 : 2000
12 노태돈, "5세기 金石文에 보이는 高句麗의 天下觀" 19 : 1988
13 김현숙, "4~6세기경 소백산맥 이동지역의 영역 향방" 한국고대사학회 26 : 75-114, 2002
14 양기석, "4~5세기 高句麗王者의 天下觀에 대하여" 11 : 1983
충주 고구려비 공동 판독안 (동북아역사재단, 한국고대사학회)
충주 고구려비 판독을 위한 3차원 스캐닝 기술의 적용 및 고찰
충주 고구려비의 판독문 재검토 -題額과 干支를 중심으로-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8-07-07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The Korean Ancient Historical Association -> The Society for Ancient Korean History | ![]()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2-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69 | 1.69 | 1.84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64 | 1.57 | 3.463 | 0.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