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대학 운동선수들의 슬럼프 원인과 증상 및 극복 방안, 슬럼프 후 성장에 관한 심층 탐색 = An In-Depth Exploration of the Causes, Symptoms, and Coping Strategies for Slumps in College Athletes, and Growth Afterward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926060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대학 운동선수의 슬럼프 원인과 증상 및 극복 방안, 슬럼프 후 성장에 관한 심층 탐색을 목적으로 한다. 참여자는 수도권A 대학 운동선수 15명으로 농구 8명, 야구 7명으로 선정하였다. 전문가 회의를 통해 수정 및 보완한 반구조화 질문지를 토대로 슬럼프에 대한 인식, 원인과 증상, 극복 방안, 슬럼프에 관한 관점 및 영향, 슬럼프 후 성장 등에 관해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바탕으로 귀납적 내용분석을 실시하여 총 6개의 범주와 15개의 하위범주가 나타났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선수들이 인식하는 슬럼프는 수행적 슬럼프와 심리적 슬럼프로 나타났다. 둘째, 슬럼프의 주원인은 잘하고자 하는 심리적 부담감과 욕심으로부터 발생하였으며, 신체적 원인, 관계적 원인, 수행적 원인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슬럼프의 심리적증상은 자신감 하락과 의욕 상실이었으며, 수행적 증상은 각각 슈팅 슬럼프와 폼의 변화로 나타났다. 넷째, 슬럼프의 주된 극복 방안으로 과거에 잘했던 본인의 경기를 다시 보면서 연습하고, 슬럼프로부터 집착하지 않는 노력이 주요하게 나타났다. 다섯째, 슬럼프에따른 관점 및 영향은 슬럼프를 성공적으로 극복하는 데에 초점을 두어 긍정적으로 바라보는 관점과 슬럼프 현상 그 자체를 부정적으로 바라보는 관점이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수행적 성장과 심리적 성장을 통해 슬럼프를 성장과 발전의 기회로 바라보는 선수들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는 슬럼프 상황에 취약한 대학 운동선수들이 향후 슬럼프를 수용하고 지혜롭게 대처하기 위한 다양한방안을 모색하고, 스포츠 현장에서 슬럼프의 기초자료를 토대로 선수들의 경기력과 전인적 성장을 기대할 수 있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대학 운동선수의 슬럼프 원인과 증상 및 극복 방안, 슬럼프 후 성장에 관한 심층 탐색을 목적으로 한다. 참여자는 수도권A 대학 운동선수 15명으로 농구 8명, 야구 7명으로 선정하였...

      본 연구는 대학 운동선수의 슬럼프 원인과 증상 및 극복 방안, 슬럼프 후 성장에 관한 심층 탐색을 목적으로 한다. 참여자는 수도권A 대학 운동선수 15명으로 농구 8명, 야구 7명으로 선정하였다. 전문가 회의를 통해 수정 및 보완한 반구조화 질문지를 토대로 슬럼프에 대한 인식, 원인과 증상, 극복 방안, 슬럼프에 관한 관점 및 영향, 슬럼프 후 성장 등에 관해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바탕으로 귀납적 내용분석을 실시하여 총 6개의 범주와 15개의 하위범주가 나타났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선수들이 인식하는 슬럼프는 수행적 슬럼프와 심리적 슬럼프로 나타났다. 둘째, 슬럼프의 주원인은 잘하고자 하는 심리적 부담감과 욕심으로부터 발생하였으며, 신체적 원인, 관계적 원인, 수행적 원인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슬럼프의 심리적증상은 자신감 하락과 의욕 상실이었으며, 수행적 증상은 각각 슈팅 슬럼프와 폼의 변화로 나타났다. 넷째, 슬럼프의 주된 극복 방안으로 과거에 잘했던 본인의 경기를 다시 보면서 연습하고, 슬럼프로부터 집착하지 않는 노력이 주요하게 나타났다. 다섯째, 슬럼프에따른 관점 및 영향은 슬럼프를 성공적으로 극복하는 데에 초점을 두어 긍정적으로 바라보는 관점과 슬럼프 현상 그 자체를 부정적으로 바라보는 관점이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수행적 성장과 심리적 성장을 통해 슬럼프를 성장과 발전의 기회로 바라보는 선수들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는 슬럼프 상황에 취약한 대학 운동선수들이 향후 슬럼프를 수용하고 지혜롭게 대처하기 위한 다양한방안을 모색하고, 스포츠 현장에서 슬럼프의 기초자료를 토대로 선수들의 경기력과 전인적 성장을 기대할 수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nduct an in-depth exploration of the causes, symptoms, and coping strategies for slumps in college athletes, as well as their growth afterward. The participants were 15 athletes from University A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including 8 basketball players and 7 baseball players. A focus group interview was conducted based on a semi-structured questionnaire, which was revised and supplemented through expert meetings, to explore athletes' perceptions of slumps, their causes and symptoms, coping strategies, perspectives on slumps and their effects, and growth after slumps. Inductive content analysis of the collected data revealed six categories and fifteen subcategories, with the following results: First, athletes perceived slumps as either performance-related or psychological. Second, the main causes of slumps were psychological burdens and the desire to perform well, with physical, relational, and performance-related factors also playing a complex role.
      Third, the psychological symptoms of the slump were a decrease in self-confidence and loss of motivation, while the performance-related symptoms manifested as a shooting slump and changes in form. Fourth, the main coping strategies included practicing by reviewing their past successful performances and making an effort not to dwell on the slump. Fifth, perspectives and effects of slumps varied, with some viewing slumps positively as a focus on overcoming them successfully, while others viewed the phenomenon of slumps negatively. Finally, it was found that some athletes saw slumps as an opportunity for growth and development, both in terms of performance and psychological growth. This study will serve as a foundational resource for college athletes who are vulnerable to slumps and for coaches in the field, helping them explore various strategies to understand and wisely cope with slumps. Additionally, it is expected that mental coaches and sports psychology counselors can assist athletes struggling with slumps, contributing to their psychological stability and performance improvement.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nduct an in-depth exploration of the causes, symptoms, and coping strategies for slumps in college athletes, as well as their growth afterward. The participants were 15 athletes from University A in the Seoul metropo...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nduct an in-depth exploration of the causes, symptoms, and coping strategies for slumps in college athletes, as well as their growth afterward. The participants were 15 athletes from University A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including 8 basketball players and 7 baseball players. A focus group interview was conducted based on a semi-structured questionnaire, which was revised and supplemented through expert meetings, to explore athletes' perceptions of slumps, their causes and symptoms, coping strategies, perspectives on slumps and their effects, and growth after slumps. Inductive content analysis of the collected data revealed six categories and fifteen subcategories, with the following results: First, athletes perceived slumps as either performance-related or psychological. Second, the main causes of slumps were psychological burdens and the desire to perform well, with physical, relational, and performance-related factors also playing a complex role.
      Third, the psychological symptoms of the slump were a decrease in self-confidence and loss of motivation, while the performance-related symptoms manifested as a shooting slump and changes in form. Fourth, the main coping strategies included practicing by reviewing their past successful performances and making an effort not to dwell on the slump. Fifth, perspectives and effects of slumps varied, with some viewing slumps positively as a focus on overcoming them successfully, while others viewed the phenomenon of slumps negatively. Finally, it was found that some athletes saw slumps as an opportunity for growth and development, both in terms of performance and psychological growth. This study will serve as a foundational resource for college athletes who are vulnerable to slumps and for coaches in the field, helping them explore various strategies to understand and wisely cope with slumps. Additionally, it is expected that mental coaches and sports psychology counselors can assist athletes struggling with slumps, contributing to their psychological stability and performance improvement.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