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일반 테니스 학습자들의 셀프리더십과 코치들의 코칭행동, 자기효능감 사이의 관계에서 운동몰입이 어떤 매개효과를 갖는지 그 구조적 관계를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일반 테니스 학습자들의 셀프리더십과 코치들의 코칭행동, 자기효능감 사이의 관계에서 운동몰입이 어떤 매개효과를 갖는지 그 구조적 관계를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
본 연구는 일반 테니스 학습자들의 셀프리더십과 코치들의 코칭행동, 자기효능감 사이의 관계에서 운동몰입이 어떤 매개효과를 갖는지 그 구조적 관계를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대상은 서울, 대전, 세종에 거주하는 일반 테니스 학습자 262명(남자=212 명, 여자=50명)이며, 자료는 기술통계, 확인적 요인분석, 상관분석,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을 통해 분석되었다. 첫째, 연구변인의 구조모형 적합도 지수는 양호하였다. 둘째, 학습자들의 셀프리더십과 운동몰입은 자기효능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셋째, 학습자들의셀프리더십과 코칭행동은 운동몰입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넷째, 코칭행동은 자기효능감과 정적인 관계를 나타냈지만,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했다. 다섯째, 셀프리더십, 코칭행동, 자기효능감 간의 관계에서 운동몰입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셀프리더십과 자기효능감 간의 관계 및 코칭행동과 자기효능감 간의 관계에서 운동몰입의 매개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들은 학습자들의 셀프리더십이 운동몰입과 자기효능감에 영향을 미치지만, 코칭행동은 자기효능감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지 않는다는 것을 보여준다. 실제에서 코치들은 테니스 학습자들에게 자기효능감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기보다는 운동몰입의 증진을 통해자기효능감을 높일 수 있도록 초점을 맞출 수 있다. 이는 테니스 학습자들의 자기효능감은 셀프리더십과 운동몰입의 직접적인 효과와 학습자들의 운동몰입을 매개로 한 코칭행동의 간접적인 효과에 의해 향상될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self-leadership, coaching behavior, sports commitment, and self-efficacy of amateur tennis learners, and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sports commitment on their self-effi...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self-leadership, coaching behavior, sports commitment, and self-efficacy of amateur tennis learners, and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sports commitment on their self-efficacy. After 262 amateur tennis learners (212 males, 50 females) completed the questionnaires, the data were analyzed for descriptive statistic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M).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of research variables was well fitted. The results manifested that learners’ self-leadership and sports commitment significantly influenced self-efficacy while their self-leadership and coaching behavior significantly affected sports commitment. Also coaching behavior exhibited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self-efficacy, but did not exert a significant impact on it. Moreover, the mediating effect of sports commitment was verified in the relationship among self-leadership, coaching behavior, and self-efficacy, indicating statistically significant mediation effects between self-leadership and self-efficacy, as well as between coaching behavior and self-efficacy. These findings demonstrated that the learners’ self-leadership influenced sports commitment and self-efficacy, but coaching behavior did not directly affect learners’ self-efficacy. In practice, as coaches exerted influence on tennis learners, they first could focus on promoting the learners’ sports commitment rather than directly affecting their self-efficacy. It implied that the self-efficacy of tennis learners was enhanced by direct effects if their self-leadership and sports commitment, and indirect effect of coaches’ behavior were mediated by learners’ sports commitment.
스쿼트 운동 시 발의 각도에 따른 Vastus Medialis Obilique와 Vastus Lateralis의 근수축 개시 시점의 차이
대학 운동선수들의 슬럼프 원인과 증상 및 극복 방안, 슬럼프 후 성장에 관한 심층 탐색
만성요통 투척선수의 코어 안정화 트레이닝 참가 경험이 스포츠 부상불안 및 스포츠 대처기술에 미치는 영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