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는 목회의 효율성을 떨어뜨리는 일반적인 요인들과 목회자 개인의 특성상의 요인들을 살펴보고 그 해결책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Charles Bridges와 Thomas C. Oden의 목회학...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3126584
김한옥 (서울신학대학교)
2017
Korean
목회 ; 목회학 ; 목회의 효율성 ; 목사 ; 목사안수 ; 목회자의 특성 ; Ministry ; Pastoral theology ; Pastoral efficiency ; Pastor ; Ordination ; Pastoral characteristics
KCI등재
학술저널
7-32(26쪽)
4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목회의 효율성을 떨어뜨리는 일반적인 요인들과 목회자 개인의 특성상의 요인들을 살펴보고 그 해결책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Charles Bridges와 Thomas C. Oden의 목회학...
이 연구는 목회의 효율성을 떨어뜨리는 일반적인 요인들과 목회자 개인의 특성상의 요인들을 살펴보고 그 해결책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Charles Bridges와 Thomas C. Oden의 목회학을 핵심 교재로 사용하였다. 목회의 효율을 높이지 못하게 하는 일반적인 요인들로 다섯 가지를 논하였다. 1) 위로부터 부어지는 하나님의 능력이 제지당할 때, 2) 중생하지 못한 일반인들의 하나님에 대한 적대감, 3) 사탄의 방해, 4) 목회지의 환경적인 방해물, 5) 하나님의 부르심을 받지 못한 목회자. 이와 같은 것들은 목회가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못하도록 한다. 목회의 효율을 높이지 못하게 하는 목회자 개인의 특성적인 것들은 다음과 같다. 먼저 목회자가 목회에 전념하지 않는 것이다. 목회자 개인의 성격상의 결함들로는 세상적인 가치를 따라 사는 것, 자기를 부인하지 않는 것, 탐욕, 은거(retirement)를 실천하지 않는 것, 영적으로 교만한 것, 목회자 자신과 그 가족의 믿음이 부족할 때를 예로 들었다. Thomas C. Oden의 목회학을 중심으로 목회의 비효율적인 요인들을 극복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먼저 목회자는 말씀과 기도를 통해 영적인 능력을 강화해야 한다. 다음으로 소명의 의미를 재발견하여 하나님의 부르심에 온전히 순종할 것을 강조하였다. 마지막으로 목사직과 목사안수의 의미를 재고하여 거룩한 직책의 정체성을 살려 흔들림 없이 직무를 수행해야 함을 말하였다. 목회자는 하나님의 일에 쓰임 받는 도구이지 자신이 목회의 주체가 아니다. 그러나 도구의 기능에 따라 일의 결과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목회자는 목회의 효율성을 떨어뜨리는 요인들을 적극적으로 해결해 나감으로써 자신을 목회자로 부르신 하나님께 영광을 돌려야 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general factors as well as factors relating to individual pastoral characteristics that undermines pastoral effectiveness and to offer suggestions in how to overcome this problem. For this purpose, the past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general factors as well as factors relating to individual pastoral characteristics that undermines pastoral effectiveness and to offer suggestions in how to overcome this problem. For this purpose, the pastoral theology of Charles Bridges and Thomas C. Oden was used as the main text of reference. There are five general factors that undermine pastoral effectiveness: 1) when God's grace from above is blocked, 2) the hostility of unredeemed mankind against God, 3) interference from Satan, 4) obstacle surrounding the pastoral environment, 5) pastors without God's calling. Factors relating to individual pastoral characteristics are as follows: First, failure by the pastor to devote himself fully to his ministry. Other flaws include following worldly values, failure of self-denial, greed, failure to practice retirement, spiritual vanity, and lack of faith in the pastor and his family. Thomas C. Oden has provided some suggestions regarding the means of overcoming pastoral inefficiency from the pastoral perspective. First, the pastor needs to strengthen his spirituality through the power of the Word and prayer. Next, he needs to rediscover meaning of his calling with a special emphasis on the need for total obedience to God. Lastly, he needs to reconsider the significance of his ministry and ordination in order to restore the identity of his holy office and thereby carry out his duty without any wavering. The pastor is merely an instrument of God and not the principal agent of the ministry. However, as results of the ministry varies in accordance to the functionality of the instrument, the pastor needs to vigorously resolve the factors that are undermining the pastoral effectiveness and thereby glorify God who has called him to the ministry.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계재광, "현대문화속에서 영적성숙을 위한 리더십" 한국실천신학회 (42) : 799-824, 2014
2 계재광, "한국사회에서 교회와 신앙인의 실천에 관한 연구 - 기독교 리더십의 관점에서 -" 한국실천신학회 (47) : 595-627, 2015
3 Bridges, Charles, "참된 목회" 익투스 2011
4 Baxter, Richard, "참 목자상" 생명의말씀사 2004
5 백햄, 빌, "제 2의 종교개혁" NCD 2000
6 Gibbs, Eddi, "이머징 교회" 쿰란출판사 2008
7 권혁남, "유대관계상실의 시대 교회의 역할은 무엇인가? -무연사회(無緣社會) 문제를 중심으로-" 한국실천신학회 (36) : 747-768, 2013
8 김수천, "영성가들이 실천한 영적 묵상의 개신교 목회적 의의 고찰" 한국실천신학회 (42) : 581-606, 2014
9 박영철, "셀 교회론" 요단출판사 2004
10 성 대그레고리오, "사목규범" 대구효성가톨릭대학교 부설 영성신학연구소 1996
1 계재광, "현대문화속에서 영적성숙을 위한 리더십" 한국실천신학회 (42) : 799-824, 2014
2 계재광, "한국사회에서 교회와 신앙인의 실천에 관한 연구 - 기독교 리더십의 관점에서 -" 한국실천신학회 (47) : 595-627, 2015
3 Bridges, Charles, "참된 목회" 익투스 2011
4 Baxter, Richard, "참 목자상" 생명의말씀사 2004
5 백햄, 빌, "제 2의 종교개혁" NCD 2000
6 Gibbs, Eddi, "이머징 교회" 쿰란출판사 2008
7 권혁남, "유대관계상실의 시대 교회의 역할은 무엇인가? -무연사회(無緣社會) 문제를 중심으로-" 한국실천신학회 (36) : 747-768, 2013
8 김수천, "영성가들이 실천한 영적 묵상의 개신교 목회적 의의 고찰" 한국실천신학회 (42) : 581-606, 2014
9 박영철, "셀 교회론" 요단출판사 2004
10 성 대그레고리오, "사목규범" 대구효성가톨릭대학교 부설 영성신학연구소 1996
11 Segler, Franklin M., "목회학개론" 요단출판사 1979
12 Thurneysen, Eduard, "목회학 원론 –복음주의 목회의 이론과 실제-" 성서교재간행사 1990
13 Kent, Homer A. Sr., "목회학 –목회의 실제-" 성광문화사 1991
14 곽안련, "목회학" 대한기독교서회 1976
15 이상운, "목회학" 한국장로교출판사 1993
16 김응조, "목회학" 기독교대한성결교회출판부 1956
17 임택진, "목회자가 쓴 목회학" 기독교문사 1992
18 Clinebell, Howard J., "목회와 지역사회" 대한기독교출판사 1984
19 Adams, Jay E./, "목회연구" 기독교문서선교회 1998
20 Hiltner, Seward, "목회신학원론" 대한기독교서회 1979
21 Oden, Thomas C., "목회신학" 대한예수교장로회총회출판국 1987
22 MacArthur, John, "목회사역의 재발견" 생명의말씀사 1997
23 George, James M., "목회사역의 재발견" 생명의말씀사 1997
24 김은호, "마태복음 22장 34절-40절에 나타난 궁극적 리더십" 한국실천신학회 (42) : 825-851, 2014
25 타운즈, 엘머, "뉴 패러다임 시대의 11가지 교회 모델" 요단출판사 2011
26 민장배, "건강한 목회자를 위한 방안" 한국실천신학회 (43) : 513-537, 2015
27 Eberhardt, Herman, "Praktische Seel-Sorge-Theologie" Lutherverlag 1990
28 Otto, Gert, "Handlungsfelder der Praktischen Theologie" Chr. Kaiser 1988
29 Otto, Gert, "Grunlegung der Praktischen Theologie" Chr. Kaiser 1988
30 Rossler, Dietrich, "Grundriss der Praktischen Theologie" Walter de Gruyter 1994
과학기술 사회에서의 인간과 윤리 - 결과의 윤리 Vs. 질서의 윤리 -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9-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7-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81 | 1.81 | 1.61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53 | 1.4 | 0.653 | 0.6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