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한국의 FTA 추진전략에 있어서 동아시아 지역주의 발전에 대한 고려  :  한―일 FTA와 한―미 FTA를 중심으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7505663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한국의 FTA 추진전략이 동아시아 지역주의 발전을 촉진시키기보다는 균열을 심화시키는 형태로 전개하고 있다는 이론적 가설을 한-일 FTA와 한-미 FTA의 사례를 통해 경험적으로 입증하고 있다. 이를 위해 '지역 정부간 협동'이라고 하는 개념을 분석의 도구로 활용하여 한국의 FTA 추진전략에 대한 비판적 검토와 대안 모색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2003년 9월 외교통상부 통상교섭본부가 발표한 '자유무역협정(FTA) 추진 로드맵' 에 의하면, 한국의 FTA 추진전략은 거대경제권과 동시다발적으로 포괄적이고 높은 수준의 FTA 추진을 통해 선진통상국가로 진입하기 위한 수단으로 활용하고 있음을 밝히고 있다. 이것은 노무현 정부의 3대 국정목표 중 하나인 '평화와 번영의 동(북)아시아 시대 구현'이라는 이념을 기반으로 FTA를 동아시아 지역주의 발전을 촉진하는 동시에 신자유주의적 세계화 압력에 효율적으로 대응하는 전략적 수단으로 활용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한국의 FTA 추진전략이 지역 정부간 협동을 무시하고 동아시아의 RTA, 지역응집력, 지역공통체 구축의 저해 요인으로 작용할 것이라는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 이는 한국의 FTA 추진전략이 동아시아 지역주의 발전을 우려하는 미국의 압력에 대한 응답과 일본의 역할 증대에 대한 견제를 위해 FTA 추진을 담당하는 외교통상부 통상교섭부의 무분별한 개방론과 과시적 성과주의에서 촉발된다. 한국의 FTA 추진전략은 동북아시아에 대한 범주의 모호성, 정치통합 과정의 한계, 규범적 장벽들에 대한 인식적 대립 등이 한-일 FTA를 상황적 지역주의로 부추기고 있으며, 앵글로-아메리칸 방식의 신자유주의 채택, 미국의 아시아-태평양 전략에 편승, 탈미에서 친미로의 회귀 등이 한-미 FTA를 탈지역주의로 표출되었다. 이는 한국의 FTA 추진전략이 지역 정부간 협동 없이 혹은 초월해서 경제적 타당성, 정치적 함의, 상대국의 의사, 거대경제권과의 통합에서의 교두보 확보 등을 기준으로 눈앞에 보이는 국익의 확대란 측면을 고려해서 우선 대상국을 선정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 결과, 한국의 FTA 추진전략은 한국사회의 전반에 신자유주의적 논리를 확산시킬 뿐만 아니라 동아시아에 지역협력과 통합을 좌절시킬 토대를 제공할 것이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한국의 FTA 추진전략이 동아시아 지역주의 발전을 촉진시키기보다는 균열을 심화시키는 형태로 전개하고 있다는 이론적 가설을 한-일 FTA와 한-미 FTA의 사례를 통해 경험적으로 입...

      본 연구는 한국의 FTA 추진전략이 동아시아 지역주의 발전을 촉진시키기보다는 균열을 심화시키는 형태로 전개하고 있다는 이론적 가설을 한-일 FTA와 한-미 FTA의 사례를 통해 경험적으로 입증하고 있다. 이를 위해 '지역 정부간 협동'이라고 하는 개념을 분석의 도구로 활용하여 한국의 FTA 추진전략에 대한 비판적 검토와 대안 모색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2003년 9월 외교통상부 통상교섭본부가 발표한 '자유무역협정(FTA) 추진 로드맵' 에 의하면, 한국의 FTA 추진전략은 거대경제권과 동시다발적으로 포괄적이고 높은 수준의 FTA 추진을 통해 선진통상국가로 진입하기 위한 수단으로 활용하고 있음을 밝히고 있다. 이것은 노무현 정부의 3대 국정목표 중 하나인 '평화와 번영의 동(북)아시아 시대 구현'이라는 이념을 기반으로 FTA를 동아시아 지역주의 발전을 촉진하는 동시에 신자유주의적 세계화 압력에 효율적으로 대응하는 전략적 수단으로 활용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한국의 FTA 추진전략이 지역 정부간 협동을 무시하고 동아시아의 RTA, 지역응집력, 지역공통체 구축의 저해 요인으로 작용할 것이라는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 이는 한국의 FTA 추진전략이 동아시아 지역주의 발전을 우려하는 미국의 압력에 대한 응답과 일본의 역할 증대에 대한 견제를 위해 FTA 추진을 담당하는 외교통상부 통상교섭부의 무분별한 개방론과 과시적 성과주의에서 촉발된다. 한국의 FTA 추진전략은 동북아시아에 대한 범주의 모호성, 정치통합 과정의 한계, 규범적 장벽들에 대한 인식적 대립 등이 한-일 FTA를 상황적 지역주의로 부추기고 있으며, 앵글로-아메리칸 방식의 신자유주의 채택, 미국의 아시아-태평양 전략에 편승, 탈미에서 친미로의 회귀 등이 한-미 FTA를 탈지역주의로 표출되었다. 이는 한국의 FTA 추진전략이 지역 정부간 협동 없이 혹은 초월해서 경제적 타당성, 정치적 함의, 상대국의 의사, 거대경제권과의 통합에서의 교두보 확보 등을 기준으로 눈앞에 보이는 국익의 확대란 측면을 고려해서 우선 대상국을 선정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 결과, 한국의 FTA 추진전략은 한국사회의 전반에 신자유주의적 논리를 확산시킬 뿐만 아니라 동아시아에 지역협력과 통합을 좌절시킬 토대를 제공할 것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小林弘明, "WTO,FTAと日本農業: 政策評?分析による接近" 東京: 靑山社 2005

      2 대외경제정책연구원, "한일자유무역협정의 구상: 평가와 전망" 서울: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00

      3 정인교, "한일 FTA의 경제적 효과와 정책시사점" 서울: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01

      4 전창환, "한미FTA 협상 결정의 배경과 파장" (67) : 2006

      5 이남주, "한미 FTA와 동아시아질서: 동맹과 다자주의의 기로" (67) : 2007

      6 대한민국 정부, "한미 FTA를 말한다" 국정홍보처 2006

      7 최태욱, "한국형 개방전략: 한-미 FTA와 대안적 발전모델" 서울: 창비 2007

      8 유태환, "한국의 FTA정책과 한미 FTA" 2006.4.21

      9 손 열, "한국의 FTA 추진의 국제정치경제: FTA 경쟁과 따라잡기의 동학" 6 : 2006

      10 김양희, "한국의 FTA 정책의 비판적 검토와 대안 모색" 한국사회과학연구회 (67) : 7-7, 2006

      1 小林弘明, "WTO,FTAと日本農業: 政策評?分析による接近" 東京: 靑山社 2005

      2 대외경제정책연구원, "한일자유무역협정의 구상: 평가와 전망" 서울: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00

      3 정인교, "한일 FTA의 경제적 효과와 정책시사점" 서울: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01

      4 전창환, "한미FTA 협상 결정의 배경과 파장" (67) : 2006

      5 이남주, "한미 FTA와 동아시아질서: 동맹과 다자주의의 기로" (67) : 2007

      6 대한민국 정부, "한미 FTA를 말한다" 국정홍보처 2006

      7 최태욱, "한국형 개방전략: 한-미 FTA와 대안적 발전모델" 서울: 창비 2007

      8 유태환, "한국의 FTA정책과 한미 FTA" 2006.4.21

      9 손 열, "한국의 FTA 추진의 국제정치경제: FTA 경쟁과 따라잡기의 동학" 6 : 2006

      10 김양희, "한국의 FTA 정책의 비판적 검토와 대안 모색" 한국사회과학연구회 (67) : 7-7, 2006

      11 최태욱, "한국의 FTA 정책결정과정" 22 (22): 2006

      12 최태욱, "한국 정부의 FTA 추진전략과 문제점" 12 (12): 2006

      13 정성춘, "한ㆍ일 FTA의 필요성과 일본기업의 인식조사: 전기ㆍ전자ㆍ기계 산업을 중심으로" 31 : 2005

      14 이시영, "한ㆍ일 FTA: 정치경제적 접근" 9 (9): 2004

      15 "한-일 FTA 산관학 공동연구회" 2003

      16 김원열, "한-미 FTA와 공공성 문제에 대한 사회철학적 비판" 서울: 한울 2007

      17 외교통상부 통상교섭본부, "한-미 FTA 협정문 및 부속서" 서울: 외교통상부 2007

      18 유태환, "한-미 FTA 협상결과의 정치경제적 함의" 한국사회과학연구회 (70) : 211-239, 2007

      19 대통령자문 동북아시대위원회, "평화와 번영의 동북아시대 구상" 서울: 동북아시대위원회 2004

      20 대통령자문 동북아시대위원회, "참여정부의 동북아시대 구상" 서울: 동북아시대위원회 2005

      21 외교통상부 통상교섭본부, "자유무역협정(FTA) 추진 로드맵" 외교통상부 통상교섭본부 2003

      22 손 열, "일본의 지역인식과 전략" 양평: 미래인력연구원, (주)지식마당 2006

      23 외교통상부, "우리나라 FTA 추진현황" 2007

      24 유영희, "우리 정부의 FTA 추진현황과 정책방향" 서울: 해남 2005

      25 김명철, "외환위기 이후 동아시아 지역주의: 한?중?일3국을 중심으로" 21 (21): 2005

      26 이해영, "신자유주의와 FTA" (23) : 2005

      27 유종일, "신자유주의, 세계화, 한국경제" 37 (37): 2007

      28 박창건, "신국제정치질서의 재편과 동아시아 지역주의" 49 (49): 2006

      29 이남주, "동아시아 경제 공동체와 지속 가능한 개방 전략: FTA 논의를 중심으로" 한국사회과학연구회 (64) : 45-72, 2005

      30 김현진, "동아시아 FTA의 정치ㆍ경제: 일본ㆍ중국의 FTA 전략과 한국의 선택" 서울: 삼성경제연구소 2003

      31 문정인, "동북아경제공동체와 한국정부의 대응전략" 2004.8.23

      32 이시영, "동북아 자유무역협정논의의 허와 실" 서울: 대신경제연구소 2002

      33 大矢根聰, "東アジアFTA: 日本の政策轉換と地域構想" (528) : 2004

      34 木下俊彦, "東アジア諸國の地域主義とFTA: 日本の進路" 21 : 2005.3

      35 谷口誠, "東アジア共同?: ?濟統合" 東京: 岩波書店 2004

      36 浦田秀次郞, "日本のFTA戰略の課題と展望" 東京: 文眞堂 2005

      37 アジア硏究, "擴大する自由貿易協定と日本の選擇" 東京: 日本?濟硏究センタ 2001

      38 Vershbow, A, "US-Korea free trade pact expected to foster sustainable growth" US Fed New Service, Including US State News 2006.2.14

      39 EAVG, "Towards an East Asian community: region of peace, prosperity and progress" 2001

      40 Armitage, R. L, "The US-Japan alliance: getting Asia right through 2020" 2007

      41 Hook, G. D, "Subregionalism and World Order" London: Macmillan 1999

      42 Gamble, A, "Regionalism and World Order" London: Macmillan Press 1996

      43 Breslin, S, "Microregionalism and World Order" London: Palgrave Publishers 2002

      44 Hatch, W, "Japan’s agenda for Asian regionalism: industrial harmonization, not free trade" 2004

      45 Desker, B, "In defence of FTAs: from purity to pragmatism in East Asia" 17 (17): 2004

      46 정인교, "FTA와 국제경쟁력 강화" (67) : 2003

      47 대외경제정책연구원, "FTA 추진 효과분석 및 FTA체결 우선국가 선택전략안" 2004.11

      48 London, "B. 1961. The Theory of Economic Integration" George Allen & Unwin Ltd.

      49 Hund. M, "ASEAN plus three: towards a new age of pan-East Asia regionalism? A skeptic’s appraisal" 16 (16): 2004

      50 Ravenhill, J, "APEC and the Construction of Pacific Rim Regionalism"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1

      51 a liberal intergovern- mental approach, "A. 1993. “Preferences and power in the European community ” Journal of Common Market Studies" 31 :

      52 Ravenhill, J, "A three bloc world? The new East Asian regionalism" 2 (2): 2002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2-03-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8 0.68 0.6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6 0.65 0.904 0.1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