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심에 기초한 혁신 채택 모델인 관심기반수용모형(Concerns-Based Adoption Model: CBAM)을 사용하여 정보 통신 활용 교육에 대한 초등교사의 관심유형과 실행수준을 살펴봄으로써 현 상태를 진단하...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관심에 기초한 혁신 채택 모델인 관심기반수용모형(Concerns-Based Adoption Model: CBAM)을 사용하여 정보 통신 활용 교육에 대한 초등교사의 관심유형과 실행수준을 살펴봄으로써 현 상태를 진단하...
관심에 기초한 혁신 채택 모델인 관심기반수용모형(Concerns-Based Adoption Model: CBAM)을 사용하여 정보 통신 활용 교육에 대한 초등교사의 관심유형과 실행수준을 살펴봄으로써 현 상태를 진단하고, 관심유형과 실행수준의 관계를 알아보자 본 연구가 수행되었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정보 통신 활용 교육에 대한 교사의 관심유형은 정보 통신 활용 교육의 채택여부, 그리고 성별, 나이, 교직경력, 담당학년, 연수유무, 컴퓨터 사용 능력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둘째, 정보 통신 활용 교육의 실행수준은 교사의 성별, 나이, 교직경력, 담당학년, 연수유무, 컴퓨터 사용 능력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셋째, 정보 통신 활용 교육에 대한 관심유형과 실행수준은 어떠한 관계가 있는가?
이상의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서울, 인천, 경기 지역 소재 11개 초등학교 교사 220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배부하였으며, 유효 응답 총 201부를 분석 자료로 사용하였다. 설문에 사용된 측정 도구는 관심도 설문지와 Locks, Newlove, Hall에 의해 개발된 비형식적 면담도구를 토대로 연구자가 변형·개발한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선정된 세 가지의 문제를 분석함에 있어 정보 통신 활용 교육에 대한 교사의 관심유형과 실행수준의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였으며 x²검증을 사용하여 차이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여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전반적인 관심유형에서는 무관유형이 가장 많았으며, 정보 통신 활용 교육의 채택 여부에 따른 관심유형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교사의 개인적 배경요인에 따른 관심유형에서는 연수경험 유무의 경우 외에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둘째, 전반적인 실행수준에서는 수준 3이 가장 많았으며, 교사의 개인적 배경요인에 따른 실행수준에서는 연수경험 유무의 경우 외에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셋째, 정보 통신 활용 교육에 관한 교사의 관심유형과 실행수준은 정적으로 상관관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