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AUTOSAR 기반의 FlexRay 모듈 개발 = Development of FlexRay Module based on the AUTOSAR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143206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AUTOSAR는 자동차용 공개 소프트웨어 플랫폼으로서 차세대 자동차용 네트워크 표준인 FlexRay 모듈을 포함하고 있다. 본 연구는 AUTOSAR 규격을 기반으로 FlexRay 기본 소프트웨어 모듈들인 FlexRay Sta...

      AUTOSAR는 자동차용 공개 소프트웨어 플랫폼으로서 차세대 자동차용 네트워크 표준인 FlexRay 모듈을 포함하고 있다. 본 연구는 AUTOSAR 규격을 기반으로 FlexRay 기본 소프트웨어 모듈들인 FlexRay State Manager, FlexRay Transport, FlexRay Interface, FlexRay Transceiver Driver, FlexRay Driver 모듈들을 개발하였다. 또한 개발 과정에서 얻은 설계와 구현 방법을 함께 제시하고, 개발된 모듈들을 마이크로컨트롤러에 탑재하여 동작을 검증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AUTOSAR(AUTOmotive Open System ARchitecture) is an open software platform for automotive. The AUTOSAR contains the modules of FlexRay that is the next generation automotive network protocol. We have developed the modules including FlexRay State Ma...

      The AUTOSAR(AUTOmotive Open System ARchitecture) is an open software platform for automotive. The AUTOSAR contains the modules of FlexRay that is the next generation automotive network protocol. We have developed the modules including FlexRay State Manager, FlexRay Transport, FlexRay Interface, FlexRay Transceiver Driver and FlexRay Driver based on the standard of the module. This thesis presented not only the result of development but the result of design and implementation. And the developed modules were ported to the microcontroller board and verified.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병우, "미래형 자동차의 정보 네트워크 기술" 14 (14): 2007

      2 Nilsson Dennis K., "Vehicle ECU classification based on safety-security characteristics" 2008

      3 AUTOSAR GbR, "Specification of FlexRay Transport Layer V2.2.1 R3.0 Rev 0001"

      4 AUTOSAR GbR, "Specification of FlexRay State Manager V1.0.2 R3.0 Rev 0002"

      5 AUTOSAR GbR, "Specification of FlexRay Interface V3.0.2 R3.0 Rev 0002"

      6 AUTOSAR GbR, "Specification of FlexRay Driver V2.2.1 R3.0 Rev 0001"

      7 AUTOSAR GbR, "SAR Technical Overview V2.2.1 R3.0 Rev 0001"

      8 AUTOSAR GbR, "Requirements on FlexRay V2.0.4 R3.0 Rev 0001"

      9 Makowitz R., "Flexray - A communication network for automotive control systems" 2006

      10 "FlexRay Communication System Protocol Specification Version 2.1 Revision A"

      1 김병우, "미래형 자동차의 정보 네트워크 기술" 14 (14): 2007

      2 Nilsson Dennis K., "Vehicle ECU classification based on safety-security characteristics" 2008

      3 AUTOSAR GbR, "Specification of FlexRay Transport Layer V2.2.1 R3.0 Rev 0001"

      4 AUTOSAR GbR, "Specification of FlexRay State Manager V1.0.2 R3.0 Rev 0002"

      5 AUTOSAR GbR, "Specification of FlexRay Interface V3.0.2 R3.0 Rev 0002"

      6 AUTOSAR GbR, "Specification of FlexRay Driver V2.2.1 R3.0 Rev 0001"

      7 AUTOSAR GbR, "SAR Technical Overview V2.2.1 R3.0 Rev 0001"

      8 AUTOSAR GbR, "Requirements on FlexRay V2.0.4 R3.0 Rev 0001"

      9 Makowitz R., "Flexray - A communication network for automotive control systems" 2006

      10 "FlexRay Communication System Protocol Specification Version 2.1 Revision A"

      11 FlexRay consortium, "FlexRay - The communication system for advanced automotive control applications"

      12 Freescale Semiconductor, "EVB9S12XF512E User Manual Rev. 0, Freescale Semiconductor"

      13 AUTOSAR GbR, "AUTOSAR Layered Software Architecture V2.2.1 R3.0 Rev 0001"

      14 Automotive Open System Architecture, "AUTOSAR"

      15 Schreiner D., "A Component Model for the AUTOSAR Virtual Function Bus" 2007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12-10-01 평가 학술지 통합(등재유지)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등재유지)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0-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