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수도권 신도시에 대한 주민의 인식 평가 연구 = A Study on the Residents’ Perception about New Towns of Seoul Metropolitan Are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54534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government is recently pushing for five large-scale public housing sites near Seoul, the so-called third wave of new towns. In this regard, this study sought to analyze the key considerations in planning new towns from the perspective of the resid...

      The government is recently pushing for five large-scale public housing sites near Seoul, the so-called third wave of new towns. In this regard, this study sought to analyze the key considerations in planning new towns from the perspective of the residents who are the consumers, using survey data. For this purpose, frequency analysis and variance analysis(ANOVA) were conducted on existing first and second era of new towns and the third era of new towns scheduled for construction. Eight indicators, such as environmental comfort, self-sufficiency such as jobs, transportation access and convenience, were set as subordinate variables, and characteristics of residents, including gender, age, number of households, household income, occupation, and residential areas, were set as explanatory variables. According to the analysis, the respondents rated the first era of new towns more positively than the second era of new towns. For self-sufficiency items such as jobs, both the first and second era of new towns showed low levels. In addition, for the eight indicators, the first era of new towns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depending on gender, number of households, or household income, and the second era of new towns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y the number of households, household income, occupations or place of residence. However, for new towns in the third period, the assessment of the importance of each indicator by age, number of households, household income and occupation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The results of the multi-comparison analysis of the third era of new towns showed that the importance of environmental comfort was highly valued by the youth, the managerial/professional/ clerical position, single or five more persons of household, and the youth, high income household, the managerial/ professional/clerical position when it comes to accessibility and convenience of transportation. It suggests that various personal characteristics and demands for each of the planning indicators need to be considered in planning for the third era of new town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정부는 최근 서울 근교에 5개의 대규모 공공택지지구, 소위 3기 신도시를 추진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본 연구는 신도시를 계획함에 있어 주요하게 고려해야 할 사항들이 무엇인지 설문조...

      정부는 최근 서울 근교에 5개의 대규모 공공택지지구, 소위 3기 신도시를 추진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본 연구는 신도시를 계획함에 있어 주요하게 고려해야 할 사항들이 무엇인지 설문조사자료를 활용하여 수요자인 주민들의 관점에서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기존의 1기 및 2기 신도시와 건설예정인 3기 신도시를 대상으로 환경적 쾌적성, 일자리 등 자족성, 교통접근성과 편리성 등 8개 지표를 종속변수로 하고, 성별, 연령, 가구원수, 가구소득, 직업, 거주지역 등 주민의 특성을 설명변수로 하여 빈도분석 및 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응답자들은 1기 신도시를 2기 신도시에 비해 더 긍정적으로 평가하였다. 일자리 등 자족성 항목에 대하여는 1기와 2기 신도시 모두 낮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또한 1기 신도시는 8개 지표에 대하여 성별, 가구원수, 가구소득에따른 응답의 유의적 차이가 없었으며, 2기 신도시는 가구원수, 가구소득, 직업, 거주지역에 따른 유의적 차이가나타나지 않았다. 다만 3기 신도시의 경우 연령, 가구원수, 가구소득 및 직업에 따른 각 지표의 중요성에 대한 평가가 유의적 차이를 나타내었다. 3기 신도시에 대한 다중비교분석 결과를 보면, 환경적 쾌적성에 대하여 청년층, 1인 또는 5인 이상 가구, 관리/전문/사무직이, 교통의 접근성과 편리성의 경우 청년층, 소득이 많은 계층, 관리/전문/사무직에서 중요도를 높게 평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3기 신도시 계획 시에 각 계획지표들에 대한 다양한개인적 특성과 수요를 고려해야 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장용훈, "지속가능한 신도시계획기준에 의한 신도시계획 평가모형의 개발 및 적용 : 수도권 2기 신도시 평가를 중심으로" 충북대학교 대학원 2010

      2 김용성, "지속가능한 신도시계획기준에 의한 분당신도시계획 평가연구" 아주대학교 대학원 2006

      3 국토교통부, "제3차 신규택지 추진계획" 2019

      4 장한두, "신도시 주민의 주거만족 영향요인과 주거환경평가 - 주택규모별 평가를 중심으로 -" 대한건축학회 28 (28): 71-80, 2012

      5 이외희, "수도권 제2기 신도시지역의 인구유입특성에 관한 연구" 경기개발연구원 2007

      6 양승우, "수도권 신도시의 주거만족도에 관한비교 연구" 32 (32): 1997

      7 이춘호, "수도권 신도시 거주자 주거 만족도 비교 분석" 36 (36): 2001

      8 하혜경, "산본신도시와 김포한강신도시의 공원녹지체계 비교로 본 경관특성 고찰" 8 (8): 2016

      9 김현수, "2기 신도시의 평가에 관한 연구- 1기 신도시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 한국지역개발학회 19 (19): 249-270, 2007

      1 장용훈, "지속가능한 신도시계획기준에 의한 신도시계획 평가모형의 개발 및 적용 : 수도권 2기 신도시 평가를 중심으로" 충북대학교 대학원 2010

      2 김용성, "지속가능한 신도시계획기준에 의한 분당신도시계획 평가연구" 아주대학교 대학원 2006

      3 국토교통부, "제3차 신규택지 추진계획" 2019

      4 장한두, "신도시 주민의 주거만족 영향요인과 주거환경평가 - 주택규모별 평가를 중심으로 -" 대한건축학회 28 (28): 71-80, 2012

      5 이외희, "수도권 제2기 신도시지역의 인구유입특성에 관한 연구" 경기개발연구원 2007

      6 양승우, "수도권 신도시의 주거만족도에 관한비교 연구" 32 (32): 1997

      7 이춘호, "수도권 신도시 거주자 주거 만족도 비교 분석" 36 (36): 2001

      8 하혜경, "산본신도시와 김포한강신도시의 공원녹지체계 비교로 본 경관특성 고찰" 8 (8): 2016

      9 김현수, "2기 신도시의 평가에 관한 연구- 1기 신도시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 한국지역개발학회 19 (19): 249-270, 2007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4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18-12-01 평가 등재후보 탈락 (계속평가)
      2017-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0-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9 0.59 0.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5 0.72 0.923 0.2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