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특수교육 발전 5개년 계획’의 중요도-실행도에 대한 중등특수교사의 인식 분석 = Secondary-Special Education Teachers' Perception of the Importance and Performance of the Five-year Plan for Special Education Development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of secondary special teachers' perception of the importance and performance of the ‘5-year plan for special education development by using IPA and to give policy implications through the relationship between importance and performance. In this regard, the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s: First, how much importance and performance secondary special teachers recognize about each of the five-year plans for special education development? Second, w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mportance and the performance of each of the five-year special education development plans recognized by the special education teachers in the IPA quadrant? To this end, a questionnaire was constructed by focusing on the 4th and 5th development plans of the 5-year Special Education Development Plan, the mid- to long-term education policy of special education.Through paired T-test and IPA, we identified secondary special teachers' perceptions of importance and performance in each area of ​​Five-year plan for Special Education Development. Teachers perceived the importance of improving such facilities as special school and classes, teacher training for the protection of human rights, and special education training for general education teachers. The teachers’ perception of performance was the securement of legal rate of recruitment, the Human Rights Support Team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and the training of teachers for the protection of human rights. All questions but three questions showed meaningful difference at the significance level p <.05. More on-site policies that reflect the needs of teachers should be created. Teachers should actively try to identify and monitor policy changes and continue to develop themselves.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of secondary special teachers' perception of the importance and performance of the ‘5-year plan for special education development by using IPA and to give policy implications through the relationship between i...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of secondary special teachers' perception of the importance and performance of the ‘5-year plan for special education development by using IPA and to give policy implications through the relationship between importance and performance. In this regard, the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s: First, how much importance and performance secondary special teachers recognize about each of the five-year plans for special education development? Second, w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mportance and the performance of each of the five-year special education development plans recognized by the special education teachers in the IPA quadrant? To this end, a questionnaire was constructed by focusing on the 4th and 5th development plans of the 5-year Special Education Development Plan, the mid- to long-term education policy of special education.Through paired T-test and IPA, we identified secondary special teachers' perceptions of importance and performance in each area of ​​Five-year plan for Special Education Development. Teachers perceived the importance of improving such facilities as special school and classes, teacher training for the protection of human rights, and special education training for general education teachers. The teachers’ perception of performance was the securement of legal rate of recruitment, the Human Rights Support Team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and the training of teachers for the protection of human rights. All questions but three questions showed meaningful difference at the significance level p <.05. More on-site policies that reflect the needs of teachers should be created. Teachers should actively try to identify and monitor policy changes and continue to develop themselve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의 목적은 ‘특수교육 발전 5개년 계획’에 대한 중등특수교사들의 인식을 IPA기법을 활용하여 중요도-실행도를 알아보고 중요도와 실행도 간의 관계를 통해 정책적 시사점을 주고자 한다. 이와 관련하여 연구 문제는 첫째, ‘특수교육 발전 5개년 계획’ 각 정책들에 대해 중등특수교사들은 어느 정도 중요하며 어느 정도 실행되고 있다고 평가하는가 둘째, 중등특수교사가 인식하는 ‘특수교육 발전 5개년 계획’ 각 정책들의 중요도-실행도의 관계는 IPA 사분면의 어디에 해당하는가이다. 이를 위하여, 특수교육의 중장기 교육정책에 해당하는 ‘특수교육 발전 5개년 계획’중 제4차 발전 계획과 제5차 발전 계획을 중심으로 설문지를 구성하여 중등특수교사들의 인식을 알아보았다. 대응표본 T-test를 통하여 ‘특수교육 발전 5개년 계획’의 각 영역별로 중요도와 실행도에 대한 중등특수교사들의 인식을 알아보았고, IPA를 통해 사분면의 위치에 따른 분석을 실시하여 중등특수교사의 인식을 알아보았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들의 중요도 인식은 장애유형 및 특성에 적합한 특수학교(급) 시설ㆍ설비 등 기준 개선, 인권보호를 위한 교원 연수 실시, 일반교육교원의 특수교육 관련 연수 실시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사들의 실행도 인식은 특수교사의 법적 충원율 확보, 장애학생인권지원단의 내실 있는 운영, 인권보호를 위한 교원 연수 실시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중요도와 실행도 간의 차이를 비교한 결과 개별화교육계획 작성 시 NEIS의 사용, 인성교육 강화 및 체육ㆍ문화예술 활동 운영, 취업률 확대를 위한 특수학교 학교기업의 운영 필요성 문항을 제외한 모든 문항이 유의수준 p<.05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내릴 수 있는 결론은 교육정책의 효과적인 실천을 위해서는 ‘특수교육 발전 5개년 계획’에서 특수교사의 요구를 반영한 현장 적용성이 높은 정책이 보다 더 많이 생겨야하며, 특수교사는 적극적으로 정책의 변화를 파악하고 점검하며 꾸준히 스스로를 발전시키려는 노력이 있어야 할 것이다.
      번역하기

      이 연구의 목적은 ‘특수교육 발전 5개년 계획’에 대한 중등특수교사들의 인식을 IPA기법을 활용하여 중요도-실행도를 알아보고 중요도와 실행도 간의 관계를 통해 정책적 시사점을 주고자...

      이 연구의 목적은 ‘특수교육 발전 5개년 계획’에 대한 중등특수교사들의 인식을 IPA기법을 활용하여 중요도-실행도를 알아보고 중요도와 실행도 간의 관계를 통해 정책적 시사점을 주고자 한다. 이와 관련하여 연구 문제는 첫째, ‘특수교육 발전 5개년 계획’ 각 정책들에 대해 중등특수교사들은 어느 정도 중요하며 어느 정도 실행되고 있다고 평가하는가 둘째, 중등특수교사가 인식하는 ‘특수교육 발전 5개년 계획’ 각 정책들의 중요도-실행도의 관계는 IPA 사분면의 어디에 해당하는가이다. 이를 위하여, 특수교육의 중장기 교육정책에 해당하는 ‘특수교육 발전 5개년 계획’중 제4차 발전 계획과 제5차 발전 계획을 중심으로 설문지를 구성하여 중등특수교사들의 인식을 알아보았다. 대응표본 T-test를 통하여 ‘특수교육 발전 5개년 계획’의 각 영역별로 중요도와 실행도에 대한 중등특수교사들의 인식을 알아보았고, IPA를 통해 사분면의 위치에 따른 분석을 실시하여 중등특수교사의 인식을 알아보았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들의 중요도 인식은 장애유형 및 특성에 적합한 특수학교(급) 시설ㆍ설비 등 기준 개선, 인권보호를 위한 교원 연수 실시, 일반교육교원의 특수교육 관련 연수 실시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사들의 실행도 인식은 특수교사의 법적 충원율 확보, 장애학생인권지원단의 내실 있는 운영, 인권보호를 위한 교원 연수 실시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중요도와 실행도 간의 차이를 비교한 결과 개별화교육계획 작성 시 NEIS의 사용, 인성교육 강화 및 체육ㆍ문화예술 활동 운영, 취업률 확대를 위한 특수학교 학교기업의 운영 필요성 문항을 제외한 모든 문항이 유의수준 p<.05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내릴 수 있는 결론은 교육정책의 효과적인 실천을 위해서는 ‘특수교육 발전 5개년 계획’에서 특수교사의 요구를 반영한 현장 적용성이 높은 정책이 보다 더 많이 생겨야하며, 특수교사는 적극적으로 정책의 변화를 파악하고 점검하며 꾸준히 스스로를 발전시키려는 노력이 있어야 할 것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백종남, "특수학교 학교기업의 교육적 성과에 대한 특수교사의 인식" 한국직업재활학회 26 (26): 31-48, 2016

      2 교육부, "특수교육통계"

      3 교육부, "특수교육통계"

      4 교육부, "특수교육실태조사서" 교육부 2018

      5 김주선, "특수교육 대상자를 위한 관련 서비스 상의 치료지원 효과에 대한 관련 주체의 인식"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19 (19): 323-344, 2018

      6 윤광보, "특수교육 교육과정 정책 수립 방향 탐색"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 13 (13): 109-139, 2011

      7 이상로, "특수교사의 수업설계 역량 요구분석"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18 (18): 357-381, 2017

      8 김경양, "통합교육 실태 문헌 분석: 법적 정책요소를 중심으로" 한국특수아동학회 18 (18): 171-199, 2016

      9 김기룡, "지적장애학교 교사의 교직수행능력에 대한 중요도-실행도 분석"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 20 (20): 257-280, 2018

      10 김진호, "지적 및 발달장애학생의 진로교육을 위한 국가교육정책 고찰과 진로교육 개선방향 탐색"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55 (55): 25-48, 2016

      1 백종남, "특수학교 학교기업의 교육적 성과에 대한 특수교사의 인식" 한국직업재활학회 26 (26): 31-48, 2016

      2 교육부, "특수교육통계"

      3 교육부, "특수교육통계"

      4 교육부, "특수교육실태조사서" 교육부 2018

      5 김주선, "특수교육 대상자를 위한 관련 서비스 상의 치료지원 효과에 대한 관련 주체의 인식"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19 (19): 323-344, 2018

      6 윤광보, "특수교육 교육과정 정책 수립 방향 탐색"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 13 (13): 109-139, 2011

      7 이상로, "특수교사의 수업설계 역량 요구분석"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18 (18): 357-381, 2017

      8 김경양, "통합교육 실태 문헌 분석: 법적 정책요소를 중심으로" 한국특수아동학회 18 (18): 171-199, 2016

      9 김기룡, "지적장애학교 교사의 교직수행능력에 대한 중요도-실행도 분석"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 20 (20): 257-280, 2018

      10 김진호, "지적 및 발달장애학생의 진로교육을 위한 국가교육정책 고찰과 진로교육 개선방향 탐색"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55 (55): 25-48, 2016

      11 교육부, "제5차 특수교육발전 5개년 계획" 교육부 2017

      12 교육부, "제4차 특수교육발전 5개년 계획" 교육부 2013

      13 박희찬, "장애학생 진로⋅직업교육 정책의 변천"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59 (59): 59-81, 2016

      14 우이구, "장애학생 인권보호를 위한 교육정책의 성과와 발전 방안: 특수학급 교사의 인식을 중심으로"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17 (17): 43-66, 2016

      15 교육부, "장애학생 인권보호 종합대책" 교육부 2018

      16 류인하, "장애인은 일반 중ᆞ고등학교에 가면 안되나요"

      17 이미나, "영재교육 담당교원의 핵심역량 인식에 대한 중요도와 실행도(IPA) 분석" 한국영재학회 25 (25): 927-949, 2015

      18 송미진, "다차원 모형에 입각한 한국 특수교육정책 분석" 한국특수교육학회 50 (50): 269-290, 2015

      19 이상준, "교육서비스의 만족도지수 모형개발 및 IPA를 통한 개선방안" 한국콘텐츠학회 13 (13): 510-521, 2013

      20 강은영, "경기도 특수교육정책에 대한 특수교사와 학부모의 인식 및 만족도에 대한 연구"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 21 (21): 123-152, 2019

      21 Won.G.E., "The Effect of the Establishment of a Special School on the Price of Surrounding Apartment" Hanyang University 2018

      22 Busan Metropolitan Office of Education, "School establishment manual considering special school establishment environment"

      23 An D.J, "Middle School Teachers' Perception of Character Education" Kyunghee University 2019

      24 교육부, "2018 특수교육 연차보고서" 교육부 2018

      25 교육부, "2017 특수교육 연차보고서" 교육부 2017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 1.2 1.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18 1.16 1.464 0.2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