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 내용 ① 1880년에서 1950년에 이르는 기간의 학교 간행물에 대한 자료 수집 ② 수집된 자료를 대상으로 토픽 맵 기초 작업 ③ 다양한 층위에서 자료 고찰 ④ 데이터베이스 구축과 그 활용...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G3655436
2007년
Korean
한국연구재단(NRF)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연구 내용 ① 1880년에서 1950년에 이르는 기간의 학교 간행물에 대한 자료 수집 ② 수집된 자료를 대상으로 토픽 맵 기초 작업 ③ 다양한 층위에서 자료 고찰 ④ 데이터베이스 구축과 그 활용...
연구 내용
① 1880년에서 1950년에 이르는 기간의 학교 간행물에 대한 자료 수집 ② 수집된 자료를 대상으로 토픽 맵 기초 작업 ③ 다양한 층위에서 자료 고찰 ④ 데이터베이스 구축과 그 활용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 ⑤ 자료집 발간, 논문 발표, 인터넷 사이트 개설
(1) 자료 수집
본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 본 연구팀은 자료 소장처와 창간호 확인 등의 기초 조사를 계획하고 일부를 실행하였다. 이는 연구 계획을 위한 기초 조사의 단면일 뿐이나 많은 부분을 시사한다. 기존 자료의 오류 보완, 자료의 부가 정보 확인, 새로운 자료 발굴과 보완 등이 그것이다. 예비 조사 과정을 통해 이러한 성과의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기초 자료 수집은 자료의 다각적 분석과 학문적 논의, 효율적인 데이터베이스 개발에 필수적인 조건이다. 이에 본 연구팀은 서울, 지방, 해외, 북한 등 지역적으로 세분화된 자료 수집 팀을 운영할 것이다. 해외 자료 중 상당수를 차지하는 것이 일본과 미국의 자료들이다. 일본에 소장되어 있는 자료를 수집하기 위해 본 연구팀은 2회에 걸친 일본 출장을 통해 동경, 경도, 신호 등지에서 발행된 학교 간행물을 수집할 것이다. ≪낙동친목회보≫, ≪금강학보≫, ≪용만≫, ≪백호≫, ≪홍≫ 등이 일본에서 간행된 미확보 학교 간행물 자료들이다. 미국에서 보유하고 있는 학교 간행물로는 ≪The Korean Student Bulletin≫, ≪Korean Review≫, ≪Korean Publication≫, ≪한국 유학생 통신≫, ≪Korean Youth≫ 등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미국에서 발행된 학교 간행물을 수집하기 위해 본 연구팀은 현지 인력을 활용하여 문헌 구입, 자료 복사 및 검색을 할 것이다. 하버드 도서관의 한국인 사서 등의 도움을 받아 자료 검색 및 복사, 문헌 구입 등을 진행할 수 있는 인적 네트워크를 갖추고 있다.
(2) 자료 분류
확보된 자료는 1단계 학교 간행물을 종류별로, 2단계 학교 간행물 수록 자료를 장르별로 분류한다.
① 1단계: 근・현대 학교 간행물은 다음과 같이 종류별로 분류한다.
ㄱ. 교지 / ㄴ. 신문 / ㄷ. 회보 / ㄹ. 학생 동인지 및 동아리 간행물 / ㅁ. 동창회 간행물 / ㅂ. 해외 유학생 간행물 / ㅅ. 기타 비공식 간행물
② 2단계: 근・현대 학교 간행물에 수록된 자료를 장르별로 분류한다.
ㄱ. 문학 / 비문학 ㄴ. 문학 작품의 경우―시・소설・희곡・비평・수필・번역물(문학) ㄷ. 비문학 자료의 경우―축사・논문・번역물(비문학)・기타
(3) 다양한 층위의 학교 간행물 연구
연구 대상 시기는 1880년대부터 1950년에 이르는 70여 년이다. 이 기간 동안의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한 후 다음과 같은 다섯 가지 층위에서 연구할 것이다.
① 학교 간행물 전체 목록 ② 학교 간행물의 유형별 정리 ㄱ. 교지 / ㄴ. 신문 / ㄷ. 회보 / ㄹ. 학생 동인지 및 동아리 간행물 / ㅁ. 동창회 간행물 / ㅂ. 해외 유학생 간행물 / ㅅ. 기타 비공식 간행물 ③ 학교 간행물의 지역별 정리: 국내(지역별) / 국외(일본, 중국, 미국, 기타) ④ 학교 간행물 수록 자료의 내용별 정리
ㄱ. 문학 / 비문학 ㄴ. 문학 작품―시・소설・희곡・비평・수필・번역물(문학) ㄷ. 비문학 자료―축사・논문・번역물(비문학)・기타
⑤ 학교 간행물 수록 자료의 저자별 정리: 시인, 소설가, 극작가, 비평가, 학자, 기타
(4) 데이터베이스 구축과 검색 프로그램 개발
필요한 정보가 담긴 문헌이나 자료를 처음부터 끝까지 다만 순서대로 검색하는 것이 과거에 지식을 얻는 방식이었다면, 앞으로는 개념에서 개념으로, 주제에서 주제로, 자료와 자료를 넘나들면서 원하는 정보의 횡적 구조와 종적 역사를 총람하는 것이 지식을 얻는 방식이 된다. 각 텍스트에 첨부될 주석의 내용 항목은 ①작품명 ②작가명 ③시기 구분 ④지역 구분 ⑤ 장르 구분 등이다.
(5) 자료집 발간, 논문 발표, 인터넷 사이트 개설
본 연구에서는 수집된 자료들에 대한 분류 작업을 수행함으로써 학교 간행물과 연관된 다양한 연구들이 텍스트로 활용할 수 있는 포괄적이고 체계적인 자료집을 구축하고 이를 반영하여 논문을 발표한다. 나아가 토픽 맵(topic map) 개념에 근거한 디지털 지식자원을 활용하기 위해 인터넷 사이트를 개설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