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병원간호사의 환자안전관리 중요성 인식과 환자안전관리 활동이 간호업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 Influences of the Perception of Importance on Patient Safety Management and Patient Safety Management Activity on Nursing Performance of General Hospital Nurs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83170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종합병원에 근무하는 간호사의 환자안전관리 중요성 인식과 환자안전관리 활동이 간호업무성과에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는 300병상 이상의 종합병원 3개 의료기관 내 병동에 근무하는 간호사 196명의 설문지를 spss25.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상관관계분석, 다중회기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간호업무성과는 환자안전관리 중요성 인식(r=.74, p<.001), 환자안전관리 활동(r=.70, p<.001)에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환자안전관리 중요성 인식(β=.46, p<.001), 환자안전관리 활동(β=.33, p<.001), 총 임상근무경력 1년 미만(β=-.18, p<.001), 환자안전지침이 있는 경우(β=-.09, p<.05)에서 간호업무성과가 높았으며 이 요인들의 설명력은 64.8%였다. 본 연구결과를 근거로 환자안전관리 중요성 인식과 환자안전관리 활동에 대한 지속적이고 체계적인 교육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되며, 이를 향상시키기 위한 병원 차원의 정책적 방안이 필요하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종합병원에 근무하는 간호사의 환자안전관리 중요성 인식과 환자안전관리 활동이 간호업무성과에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는 300병상 이상의 종...

      본 연구는 종합병원에 근무하는 간호사의 환자안전관리 중요성 인식과 환자안전관리 활동이 간호업무성과에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는 300병상 이상의 종합병원 3개 의료기관 내 병동에 근무하는 간호사 196명의 설문지를 spss25.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상관관계분석, 다중회기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간호업무성과는 환자안전관리 중요성 인식(r=.74, p<.001), 환자안전관리 활동(r=.70, p<.001)에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환자안전관리 중요성 인식(β=.46, p<.001), 환자안전관리 활동(β=.33, p<.001), 총 임상근무경력 1년 미만(β=-.18, p<.001), 환자안전지침이 있는 경우(β=-.09, p<.05)에서 간호업무성과가 높았으며 이 요인들의 설명력은 64.8%였다. 본 연구결과를 근거로 환자안전관리 중요성 인식과 환자안전관리 활동에 대한 지속적이고 체계적인 교육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되며, 이를 향상시키기 위한 병원 차원의 정책적 방안이 필요하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is a descriptive research conducted to identify the factors associated with the perception of importance of patient safety management and the corresponding patient safety management activities that influence the nursing performance of general hospital nurses. The study conducted frequenc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 25.0 on questionnaires distributed to 196 nurses working in hospital wards with more than 300 beds in three general hospitals. The results showed that nursing performance ha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perception of importance of patient safety management (r=.74, p<.001) and patient safety management activities (r=.70, p<.001). Furthermore, nursing performance was high when nurses perceived the importance of patient safety management (β=.46, p<.001); performed patient safety management activities (β=.33, p < .001); had less than one year of total clinical work experience (β=−.18, p<.001); and were provided with patient safety guidelines (β=−.09, p <.05). The explanatory power of such factors was 64.8%.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continual and systematic training is required to improve the perceived importance of patient safety management and patient safety management activities, and hospital-wide policy measures are necessary to achieve such improvements.
      번역하기

      This study is a descriptive research conducted to identify the factors associated with the perception of importance of patient safety management and the corresponding patient safety management activities that influence the nursing performance of gener...

      This study is a descriptive research conducted to identify the factors associated with the perception of importance of patient safety management and the corresponding patient safety management activities that influence the nursing performance of general hospital nurses. The study conducted frequenc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 25.0 on questionnaires distributed to 196 nurses working in hospital wards with more than 300 beds in three general hospitals. The results showed that nursing performance ha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perception of importance of patient safety management (r=.74, p<.001) and patient safety management activities (r=.70, p<.001). Furthermore, nursing performance was high when nurses perceived the importance of patient safety management (β=.46, p<.001); performed patient safety management activities (β=.33, p < .001); had less than one year of total clinical work experience (β=−.18, p<.001); and were provided with patient safety guidelines (β=−.09, p <.05). The explanatory power of such factors was 64.8%.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continual and systematic training is required to improve the perceived importance of patient safety management and patient safety management activities, and hospital-wide policy measures are necessary to achieve such improvement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미란, "환자안전(patient safety) 개념분석" 한국간호과학회 41 (41): 1-8, 2011

      2 신성식, "환자 안전과 정책" 8 (8): 38-48, 2014

      3 오희숙, "지방의료원 간호사의 자기효능감, 조직몰입, 고객지향성 및 간호업무성과" 간호행정학회 22 (22): 507-517, 2016

      4 강명주, "지방의료원 간호사의 의료기관인증제 인식이 환자안전관리활동과 간호업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간호행정학회 23 (23): 416-426, 2017

      5 이미정, "중소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에 대한 인식이 안전간호활동에 미치는 영향" 동아대학교 대학원 2015

      6 황현정, "중소병원 간호사의 전문직 자율성, 조직몰입 및 환자안전문화인식이환자안전관리활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중환자간호학회 10 (10): 63-74, 2017

      7 박영미, "중소병원 간호사의 사건보고태도와 환자안전간호활동의 관계에서 환자안전관리 중요성 인식의 매개효과" 한국중환자간호학회 12 (12): 85-96, 2019

      8 이나주, "중소 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에 대한 인식과 안전간호활동 수행 정도" 간호행정학회 17 (17): 462-473, 2011

      9 임선애, "종합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인식과 조직몰입이 환자안전관리활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6 (16): 259-270, 2018

      10 장현미, "종합병원 간호사가 인식한 환자안전문화와 소진이 안전관리활동에 미치는 영향" 간호행정학회 22 (22): 239-250, 2016

      1 김미란, "환자안전(patient safety) 개념분석" 한국간호과학회 41 (41): 1-8, 2011

      2 신성식, "환자 안전과 정책" 8 (8): 38-48, 2014

      3 오희숙, "지방의료원 간호사의 자기효능감, 조직몰입, 고객지향성 및 간호업무성과" 간호행정학회 22 (22): 507-517, 2016

      4 강명주, "지방의료원 간호사의 의료기관인증제 인식이 환자안전관리활동과 간호업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간호행정학회 23 (23): 416-426, 2017

      5 이미정, "중소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에 대한 인식이 안전간호활동에 미치는 영향" 동아대학교 대학원 2015

      6 황현정, "중소병원 간호사의 전문직 자율성, 조직몰입 및 환자안전문화인식이환자안전관리활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중환자간호학회 10 (10): 63-74, 2017

      7 박영미, "중소병원 간호사의 사건보고태도와 환자안전간호활동의 관계에서 환자안전관리 중요성 인식의 매개효과" 한국중환자간호학회 12 (12): 85-96, 2019

      8 이나주, "중소 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에 대한 인식과 안전간호활동 수행 정도" 간호행정학회 17 (17): 462-473, 2011

      9 임선애, "종합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인식과 조직몰입이 환자안전관리활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6 (16): 259-270, 2018

      10 장현미, "종합병원 간호사가 인식한 환자안전문화와 소진이 안전관리활동에 미치는 영향" 간호행정학회 22 (22): 239-250, 2016

      11 박수희, "정신병원 간호사의 의료기관인증제에 대한 인식이 환자안전관리활동 간호업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한양대학교 임상간호정보대학원 2015

      12 박소희, "임상간호사의 감성지능과 간호근무환경이 간호업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6 (16): 175-184, 2018

      13 고유경, "임상 간호사의 간호업무성과 측정도구 개발" 한국간호과학회 37 (37): 286-294, 2007

      14 백경희, "일본의 의료사고 조사제도의 정비와 시행에 관한 고찰 - 우리나라 환자안전법의 하위법령 제정에 대한 시사점을 중심으로 -" 법학연구소 19 (19): 205-230, 2016

      15 김혜정, "일개지역 간호대학생의 환자안전관리지식, 태도 및 환자안전관리활동에 대한 연구" 한국간호연구학회 1 (1): 71-79, 2017

      16 강정미, "일개 종합병원 의료종사자들의 환자안전과 관련된 의료과오보고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융합요인" 한국융합학회 9 (9): 61-70, 2018

      17 조성숙, "신규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에 대한 인식과 안전간호활동" 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 22 (22): 24-34, 2013

      18 조경희, "셀프-리더십이 간호사의 직무만족 및 간호업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19 최윤정, "상급종합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관리 중요성 인식이 환자안전관리 직무수행에 미치는 영향" 간호행정학회 24 (24): 193-201, 2018

      20 임지혜, "상급종합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관리 중요도 인식이 표준감염지침 준수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건강간호대학원 2018

      21 박은진, "병원종사자의 조직 의사소통과 팀워크가 환자안전관리 중요성 인식 및 환자안전보장활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건사회연구원 38 (38): 474-498, 2018

      22 박소정, "병원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에 대한 인식과 안전간호활동에 관한 연구" 5 (5): 44-55, 2012

      23 이유정, "병원간호사가 지각한 환자안전문화 및 환자안전관리 활동" 을지대학교 임상간호대학원 2011

      24 박미연, "병원간호사가 지각한 환자안전관리 중요성 인식, 환자안전문화 및 안전수행이 병원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간호행정학회 24 (24): 40-50, 2018

      25 박미정, "병원 의료종사자의 환자안전관리 중요성 인식 측정도구 개발" 한국콘텐츠학회 13 (13): 332-341, 2013

      26 정준, "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관리활동 영향요인 연구" 한국병원경영학회 11 (11): 91-109, 2006

      27 최정화, "병원 간호사가 지각하는 환자안전문화와 안전간호활동과의 관계" 기본간호학회 17 (17): 64-72, 2010

      28 황용, "병원 간호사가 지각하는 환자안전 관리 활동의 중요성 인식과 수행"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6 (6): 39-54, 2016

      29 차보경, "대학병원과 중소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에 대한 인식과 환자안전간호활동의 비교 연구" 간호행정학회 21 (21): 405-416, 2015

      30 서문경애, "간호사의 셀프리더십과 간호업무성과간의 관계" 간호행정학회 12 (12): 151-158, 2006

      31 이금옥, "간호관리자의 리더십과 환자안전관리 활동에 관한 연구" 경희대학교 행정대학원 2009

      32 박정희, "간호간병통합서비스 운영병동 간호사의 간호업무성과, 직무 만족 및 환자안전사고" 한국가정간호학회 24 (24): 14-22, 2017

      33 하나선, "간호 관리자의 리더십 유형과 직무만족, 조직몰입, 이직의도와의 관계 연구" 한국간호과학회 32 (32): 812-822, 2002

      34 JCAHO, "National patient safety goals"

      35 Milligan F, "Improving patient safety and incidentreporting" 19 (19): 33-36, 2004

      36 Pronovost, P. J., "Evaluation of the culture of safety : Survey of clinicians and managers in an academic medical center" 12 (12): 405-410, 2003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29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웰니스학회 -> 한국웰니스학회지
      외국어명 : Korean society for Wellness -> Journal of Wellness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8-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84 0.84 0.8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84 0.77 0.793 0.2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