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韓國 搜査構造改革을 爲한 硏究 : 現行 警察과 檢察의 搜査構造를 中心으로 = (A) study on the reformation of the korean criminal investigation system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083188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compared the Korean criminal investigation system with other countries to analyze its problems and provide innovative solutions to them.Firstly, this study examined the current criminal investigation system undertaken by the police and prosecutors. It also looked into a variety of literatures with regard to the criminal investigation power, including the recent discussions on the settlement of the investigation power between the police and prosecutors.In addition, the trends of the criminal investigation systems of advanced countries through a complete analysis of their legislative examples were explored. Those countries include France and Germany that followed the Continental legal system, UK and the US with the British-American legal system, and Japan that adopted a compromised legal system.The study pointed out the problems of our criminal investigation system in terms of 'the centralization of criminal investigation power on prosecutors', and 'the dual investigation structure'. Furthermore, 'task distribution for the efficient investigation system' and 'accordance between the actual investigation activities and law' were recommended as innovative solutions benchmarked from the investigation system of the advanced countries discussed above.In particular, it was emphasized that investigation surroundings had been improved a great deal more than they were in the past through the strenuous efforts made by the police to enhance investigation capacities and to protect human rights.Lastly, it was also stressed that the reformation of the criminal investigation system was integral in materializing the constitutional value of the protection of human rights through 'check and balance', and the contemporary value of the development through 'decentralization and autonomy'.
      번역하기

      This study compared the Korean criminal investigation system with other countries to analyze its problems and provide innovative solutions to them.Firstly, this study examined the current criminal investigation system undertaken by the police and pros...

      This study compared the Korean criminal investigation system with other countries to analyze its problems and provide innovative solutions to them.Firstly, this study examined the current criminal investigation system undertaken by the police and prosecutors. It also looked into a variety of literatures with regard to the criminal investigation power, including the recent discussions on the settlement of the investigation power between the police and prosecutors.In addition, the trends of the criminal investigation systems of advanced countries through a complete analysis of their legislative examples were explored. Those countries include France and Germany that followed the Continental legal system, UK and the US with the British-American legal system, and Japan that adopted a compromised legal system.The study pointed out the problems of our criminal investigation system in terms of 'the centralization of criminal investigation power on prosecutors', and 'the dual investigation structure'. Furthermore, 'task distribution for the efficient investigation system' and 'accordance between the actual investigation activities and law' were recommended as innovative solutions benchmarked from the investigation system of the advanced countries discussed above.In particular, it was emphasized that investigation surroundings had been improved a great deal more than they were in the past through the strenuous efforts made by the police to enhance investigation capacities and to protect human rights.Lastly, it was also stressed that the reformation of the criminal investigation system was integral in materializing the constitutional value of the protection of human rights through 'check and balance', and the contemporary value of the development through 'decentralization and autonomy'.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은 우리나라의 현행 수사구조와 외국의 수사구조를 비교하여 문제점을 분석하고 그 문제점에 대한 개혁방안에 관하여 연구하였다.현행 사법체계에서 경찰과 검찰의 수사구조를 살펴보고, 아울러 최근에 논의되었던 수사권 조정 및 과거에 주로 거론되었던 경찰수사권독립논의 등을 포함해서 수사권 관련해서 이미 연구된 내용을 살펴보았다.여기에 대륙법계 국가인 프랑스와 독일, 영미법계 국가인 영국과 미국, 그리고 이를 절충한 일본 등 외국의 입법례를 비교분석하여 선진국 수사구조의 추세까지 알아보았다.이를 통해 우리나라의 수사구조의 문제점을 검찰의 수사권 집중 및 이중적 수사구조의 측면에서 지적하였으며, 위에서 제시된 선진 외국의 수사구조를 토대로 수사구조의 개혁방안으로 효율적인 수사를 위한 업무 배분 및 실질적 수사 활동과 법률적 규정의 조화를 각각 제시하였다.특히 경찰의 수사역량 및 인권보호 강화를 위한 끊임없이 노력하는 모습을 통해 이제 우리 경찰의 수사 여건이 과거와는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개선되었고 현재에도 개선되고 있음을 강조하였다.마지막으로 수사구조개혁이 ‘견제와 균형’을 통한 인권보호라는 헌법적 가치와 ‘분권과 자율’을 통한 발전이라는 시대적 가치의 구현을 위한 필연임을 강조하였다.
      번역하기

      본 논문은 우리나라의 현행 수사구조와 외국의 수사구조를 비교하여 문제점을 분석하고 그 문제점에 대한 개혁방안에 관하여 연구하였다.현행 사법체계에서 경찰과 검찰의 수사구조를 살...

      본 논문은 우리나라의 현행 수사구조와 외국의 수사구조를 비교하여 문제점을 분석하고 그 문제점에 대한 개혁방안에 관하여 연구하였다.현행 사법체계에서 경찰과 검찰의 수사구조를 살펴보고, 아울러 최근에 논의되었던 수사권 조정 및 과거에 주로 거론되었던 경찰수사권독립논의 등을 포함해서 수사권 관련해서 이미 연구된 내용을 살펴보았다.여기에 대륙법계 국가인 프랑스와 독일, 영미법계 국가인 영국과 미국, 그리고 이를 절충한 일본 등 외국의 입법례를 비교분석하여 선진국 수사구조의 추세까지 알아보았다.이를 통해 우리나라의 수사구조의 문제점을 검찰의 수사권 집중 및 이중적 수사구조의 측면에서 지적하였으며, 위에서 제시된 선진 외국의 수사구조를 토대로 수사구조의 개혁방안으로 효율적인 수사를 위한 업무 배분 및 실질적 수사 활동과 법률적 규정의 조화를 각각 제시하였다.특히 경찰의 수사역량 및 인권보호 강화를 위한 끊임없이 노력하는 모습을 통해 이제 우리 경찰의 수사 여건이 과거와는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개선되었고 현재에도 개선되고 있음을 강조하였다.마지막으로 수사구조개혁이 ‘견제와 균형’을 통한 인권보호라는 헌법적 가치와 ‘분권과 자율’을 통한 발전이라는 시대적 가치의 구현을 위한 필연임을 강조하였다.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