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중국 장백산 신성한 사물의 변천에 관한 연구 - 민족의 시대별 인식을 중심으로 - = A Study on the Transformation of Sacred Things in Changbai Mountain, China - Centering on the Perception of the Times of the Nation -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90514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order to diachronically examine the transformation of the sacred things of Changbai Mountain China, based on historical sources, the study focused on the hierophany that occurr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eligious culture of the peoples of the space of Changbai Mountain. The research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In the pre-Qing Dynasty era, the natural gods and animal gods of Changbai Mountain appeared as sacred objects, during the Jin Dynasty, the Changbai Mountain Shrine appeared as sacred objects, and during the Qing Dynasty, the mountain itself appeared as a sacred object and the Wangji Temple appeared as sacred objects. In modern times, the Bagua Temple and the Shanshenlaobatou were given divine status and regarded as sacred. Currently, when it is transformed into a tourist destination, the newly designated sacred objects only serve as tourist resources. The sacred area of Changbai Mountain expanded from an area where ethnic groups worked for survival during the pre-Qing Dynasty when it came under the imperial regime, and shrank into a living area for immigrants during the modern era. Now, as it has been transformed into a tourist destination, the sacred area has disappeared.
      번역하기

      In order to diachronically examine the transformation of the sacred things of Changbai Mountain China, based on historical sources, the study focused on the hierophany that occurr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eligious culture of the peoples of t...

      In order to diachronically examine the transformation of the sacred things of Changbai Mountain China, based on historical sources, the study focused on the hierophany that occurr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eligious culture of the peoples of the space of Changbai Mountain. The research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In the pre-Qing Dynasty era, the natural gods and animal gods of Changbai Mountain appeared as sacred objects, during the Jin Dynasty, the Changbai Mountain Shrine appeared as sacred objects, and during the Qing Dynasty, the mountain itself appeared as a sacred object and the Wangji Temple appeared as sacred objects. In modern times, the Bagua Temple and the Shanshenlaobatou were given divine status and regarded as sacred. Currently, when it is transformed into a tourist destination, the newly designated sacred objects only serve as tourist resources. The sacred area of Changbai Mountain expanded from an area where ethnic groups worked for survival during the pre-Qing Dynasty when it came under the imperial regime, and shrank into a living area for immigrants during the modern era. Now, as it has been transformed into a tourist destination, the sacred area has disappeared.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중국 장백산 신성한 사물의 변천을 통시적으로 고찰하기 위하여 역사적 사료에 입각하여 시대별 민족들의신앙문화와 장백산 공간의 관계에서 발생하는 성현(聖顯)을 중심으로 고찰하였다. 성현으로 드러난 신성한 사물을 고찰하였고, 도출된 결과를 가지고 장백산 신성성의 변천을 해석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청나라 이전 시대는 장백산 자연신과 동물신이 신성한 사물로 나타났고, 금나라 시대는 장백산신묘가 신성한 사물로나타나고, 청나라 시대는 산 자체가 신성한 대상으로 나타나고 망제전(望祭殿)이 신성한 사물로 나타났다. 근대는팔괘묘(八卦廟)와 산신노파두(山神老把頭)에게 신격을 부여하고 신성시 하였다. 현재는 관광지로 변모하면 새로지정한 신성한 사물들이 관광자원으로만 작용하였다. 장 백 산 의 신 성 한 영 역 은 청 나 라 이 전 시 기 민 족 들 이 생 존 을 위해 활동하는 영역에서 황제정권으로 넘어오면서 확장되었고 근대로 넘어 오면서 이주민들의 생활반경으로 위축되었다. 현재는 관광지로 변모하면서 신성한 영역이 사라졌다.
      번역하기

      중국 장백산 신성한 사물의 변천을 통시적으로 고찰하기 위하여 역사적 사료에 입각하여 시대별 민족들의신앙문화와 장백산 공간의 관계에서 발생하는 성현(聖顯)을 중심으로 고찰하였다. ...

      중국 장백산 신성한 사물의 변천을 통시적으로 고찰하기 위하여 역사적 사료에 입각하여 시대별 민족들의신앙문화와 장백산 공간의 관계에서 발생하는 성현(聖顯)을 중심으로 고찰하였다. 성현으로 드러난 신성한 사물을 고찰하였고, 도출된 결과를 가지고 장백산 신성성의 변천을 해석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청나라 이전 시대는 장백산 자연신과 동물신이 신성한 사물로 나타났고, 금나라 시대는 장백산신묘가 신성한 사물로나타나고, 청나라 시대는 산 자체가 신성한 대상으로 나타나고 망제전(望祭殿)이 신성한 사물로 나타났다. 근대는팔괘묘(八卦廟)와 산신노파두(山神老把頭)에게 신격을 부여하고 신성시 하였다. 현재는 관광지로 변모하면 새로지정한 신성한 사물들이 관광자원으로만 작용하였다. 장 백 산 의 신 성 한 영 역 은 청 나 라 이 전 시 기 민 족 들 이 생 존 을 위해 활동하는 영역에서 황제정권으로 넘어오면서 확장되었고 근대로 넘어 오면서 이주민들의 생활반경으로 위축되었다. 현재는 관광지로 변모하면서 신성한 영역이 사라졌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정치영, "조선시대 지도에 표현된 백두산에 대한 고찰" 한국문화역사지리학회 23 (23): 140-157, 2011

      2 강석화, "조선 후기 백두산에 대한 인식의 변화" 조선시대사학회 (56) : 195-224, 2011

      3 박찬승, "백두산의 ‘민족 영산’으로의 표상화" 동아시아문화연구소 (55) : 9-36, 2013

      4 이훈종, "백두산 병사봉 이름의 유래" 5 : 23-25, 1999

      5 "네이버 지식백과"

      6 송용덕, "고려~조선전기의 백두산 인식" 한국역사연구회 (64) : 127-159, 2007

      7 정수진, "경주 남산에 관한 연구 : 성스러운 장소성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4

      8 "長白山江岗志略"

      9 "長白山望祭殿冊"

      10 "長白山政務網"

      1 정치영, "조선시대 지도에 표현된 백두산에 대한 고찰" 한국문화역사지리학회 23 (23): 140-157, 2011

      2 강석화, "조선 후기 백두산에 대한 인식의 변화" 조선시대사학회 (56) : 195-224, 2011

      3 박찬승, "백두산의 ‘민족 영산’으로의 표상화" 동아시아문화연구소 (55) : 9-36, 2013

      4 이훈종, "백두산 병사봉 이름의 유래" 5 : 23-25, 1999

      5 "네이버 지식백과"

      6 송용덕, "고려~조선전기의 백두산 인식" 한국역사연구회 (64) : 127-159, 2007

      7 정수진, "경주 남산에 관한 연구 : 성스러운 장소성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4

      8 "長白山江岗志略"

      9 "長白山望祭殿冊"

      10 "長白山政務網"

      11 王季平, "長白山志" 吉林文史出版社 1989

      12 吉林省地方志委員會, "長白山志" 吉林人民出版社 2002

      13 "金史"

      14 艾貴生, "走進長白山" 中国大百科全书出版社 2007

      15 Eliade, M., "聖與俗宗教的本" 質桂冠圖書股份有限公司 2001

      16 "聖祖仁皇帝禦制文集"

      17 孫衛東, "老把頭孫良故事" 4 : 53-55, 2017

      18 張俊, "神聖空間與信仰" 7 : 45-51, 2010

      19 "相约久久旅游网"

      20 "百度百科"

      21 丁興旺, "白頭山天池" 地質出版社 1982

      22 "滿洲實錄"

      23 張佳生, "滿族與長白山" 遼寧民族出版社 2011

      24 진태하, "民族의 聖山으로서 白頭山考" 인문과학연구소 (7) : 13-36, 1990

      25 Eliade, M., "比较宗教的范型" 廣西師範大學出版社 2008

      26 "欽定滿洲祭神祭天典禮"

      27 "望祭長白山"

      28 "望祀長白山"

      29 "易网"

      30 "搜狐新闻"

      31 孫樹發, "山神老把頭及其祭拜習俗" 4 : 73-75, 1996

      32 趙俊傑, "尋找大金王朝的長白山神廟舊址" 8 : 35-40, 2015

      33 吉林省文物志編委會, "安圖縣文物志" 吉林省文物志編修委員會 1985

      34 "安圖縣文物志"

      35 "契丹國誌"

      36 "大金集禮"

      37 "嘯亭雜錄"

      38 "吉林省丰满区文化馆"

      39 Henri, L., "Production of Space" WileyBlackwell 1992

      40 Allen, D., "Myth and Religion In Mircea Eliade" Routledge 1998

      41 Albert, J. P., "Montagenes sacrees d'Europe" Publications de la Sorbonne 2005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