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정치영, "조선시대 지도에 표현된 백두산에 대한 고찰" 한국문화역사지리학회 23 (23): 140-157, 2011
2 강석화, "조선 후기 백두산에 대한 인식의 변화" 조선시대사학회 (56) : 195-224, 2011
3 박찬승, "백두산의 ‘민족 영산’으로의 표상화" 동아시아문화연구소 (55) : 9-36, 2013
4 이훈종, "백두산 병사봉 이름의 유래" 5 : 23-25, 1999
5 "네이버 지식백과"
6 송용덕, "고려~조선전기의 백두산 인식" 한국역사연구회 (64) : 127-159, 2007
7 정수진, "경주 남산에 관한 연구 : 성스러운 장소성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4
8 "長白山江岗志略"
9 "長白山望祭殿冊"
10 "長白山政務網"
1 정치영, "조선시대 지도에 표현된 백두산에 대한 고찰" 한국문화역사지리학회 23 (23): 140-157, 2011
2 강석화, "조선 후기 백두산에 대한 인식의 변화" 조선시대사학회 (56) : 195-224, 2011
3 박찬승, "백두산의 ‘민족 영산’으로의 표상화" 동아시아문화연구소 (55) : 9-36, 2013
4 이훈종, "백두산 병사봉 이름의 유래" 5 : 23-25, 1999
5 "네이버 지식백과"
6 송용덕, "고려~조선전기의 백두산 인식" 한국역사연구회 (64) : 127-159, 2007
7 정수진, "경주 남산에 관한 연구 : 성스러운 장소성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4
8 "長白山江岗志略"
9 "長白山望祭殿冊"
10 "長白山政務網"
11 王季平, "長白山志" 吉林文史出版社 1989
12 吉林省地方志委員會, "長白山志" 吉林人民出版社 2002
13 "金史"
14 艾貴生, "走進長白山" 中国大百科全书出版社 2007
15 Eliade, M., "聖與俗宗教的本" 質桂冠圖書股份有限公司 2001
16 "聖祖仁皇帝禦制文集"
17 孫衛東, "老把頭孫良故事" 4 : 53-55, 2017
18 張俊, "神聖空間與信仰" 7 : 45-51, 2010
19 "相约久久旅游网"
20 "百度百科"
21 丁興旺, "白頭山天池" 地質出版社 1982
22 "滿洲實錄"
23 張佳生, "滿族與長白山" 遼寧民族出版社 2011
24 진태하, "民族의 聖山으로서 白頭山考" 인문과학연구소 (7) : 13-36, 1990
25 Eliade, M., "比较宗教的范型" 廣西師範大學出版社 2008
26 "欽定滿洲祭神祭天典禮"
27 "望祭長白山"
28 "望祀長白山"
29 "易网"
30 "搜狐新闻"
31 孫樹發, "山神老把頭及其祭拜習俗" 4 : 73-75, 1996
32 趙俊傑, "尋找大金王朝的長白山神廟舊址" 8 : 35-40, 2015
33 吉林省文物志編委會, "安圖縣文物志" 吉林省文物志編修委員會 1985
34 "安圖縣文物志"
35 "契丹國誌"
36 "大金集禮"
37 "嘯亭雜錄"
38 "吉林省丰满区文化馆"
39 Henri, L., "Production of Space" WileyBlackwell 1992
40 Allen, D., "Myth and Religion In Mircea Eliade" Routledge 1998
41 Albert, J. P., "Montagenes sacrees d'Europe" Publications de la Sorbonne 2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