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조선왕조실록』에 나타난 ‘백정(白丁)’ - 기원과 정체성, 그리고 동화과정을 중심으로 - = ‘Baekjeong’ Appeared in the Annals of the Joseon Dynasty - Focused on the Origin, Identity, and Assimilation Process -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90514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조선 초기 이전부터 다양한 종족의 유목민들이 북방에서 한반도로 들어왔다. 조선 초기에 전국에 흩어져살았던 북방 유목민 혹은 그 후예들을 백정(白丁)으로 개칭하여 부르기 시작하였다. 조선 시대 백정은 주로 짐승을 잡고 가죽을 제조하거나, 버드나무로 생활용품을 만들거나, 여러 마을을 돌아다니며 오락을 제공하는 일에 종사하였다. 조선 초기 위정자들은 백정을 원주민과 통합시키기 위해 토지를 지급하여 농사를 짓게 하거나 호적에등록시켜 정착을 유도하는 등 다양한 제민화 시책을 추진하였다. 이러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조선 전기에 백정은본래 양인 신분이었지만, 유목민의 생활양식을 쉽게 버리지 못하여 이방인의 지위로 차별을 받았다. 그러나 임진왜란과 병자호란 이후에 백정은 원주민과 완전히 동화된 상황에서 더 이상 유목민의 후예가 아니라 도축업, 유기제조업 등 천한 직업에 종사하는 사람을 차별하는 용어로서 그 의미가 변화되었다. 조선 초기에 백정은 북방 유목민의 정체성을 가지고 있었지만, 한반도의 원주민과 동화과정을 거치면서 오늘날 한민족의 형성에 일정한 부분공헌하였다.
      번역하기

      조선 초기 이전부터 다양한 종족의 유목민들이 북방에서 한반도로 들어왔다. 조선 초기에 전국에 흩어져살았던 북방 유목민 혹은 그 후예들을 백정(白丁)으로 개칭하여 부르기 시작하였다. ...

      조선 초기 이전부터 다양한 종족의 유목민들이 북방에서 한반도로 들어왔다. 조선 초기에 전국에 흩어져살았던 북방 유목민 혹은 그 후예들을 백정(白丁)으로 개칭하여 부르기 시작하였다. 조선 시대 백정은 주로 짐승을 잡고 가죽을 제조하거나, 버드나무로 생활용품을 만들거나, 여러 마을을 돌아다니며 오락을 제공하는 일에 종사하였다. 조선 초기 위정자들은 백정을 원주민과 통합시키기 위해 토지를 지급하여 농사를 짓게 하거나 호적에등록시켜 정착을 유도하는 등 다양한 제민화 시책을 추진하였다. 이러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조선 전기에 백정은본래 양인 신분이었지만, 유목민의 생활양식을 쉽게 버리지 못하여 이방인의 지위로 차별을 받았다. 그러나 임진왜란과 병자호란 이후에 백정은 원주민과 완전히 동화된 상황에서 더 이상 유목민의 후예가 아니라 도축업, 유기제조업 등 천한 직업에 종사하는 사람을 차별하는 용어로서 그 의미가 변화되었다. 조선 초기에 백정은 북방 유목민의 정체성을 가지고 있었지만, 한반도의 원주민과 동화과정을 거치면서 오늘날 한민족의 형성에 일정한 부분공헌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Before the start of the Joseon Dynasty, nomads from various ethnicities entered the Korean Peninsula from the north. In the early Joseon Dynasty, the scattered inhabitants in the country, who were either the northern nomads or their descendants, began to be called Baekjeong. During the Joseon Dynasty, Baekjeong were primarily engaged in animal slaughter, leather manufacturing, crafting daily necessities from willow trees, and traveling to different villages to provide entertainment. To facilitate the integration of the Baekjeong with the natives, officials of the early Joseon Dynasty implemented several civilization policies, including allocating land for farming, registering them in the family register to encourage settlement, etc. Despite these efforts, Baekjeong were originally commoners but faced discrimination due to their status as outsiders in the early Joseon Dynasty, as they could not easily abandon their nomadic lifestyle. However, following the Imjinwaeran and the Byeongjahoran, the term Baekjeong underwent a change in meaning, evolving into a discriminatory label for individuals who no longer belonged to nomadic descent, but only worked in menial occupations such as slaughter and organic manufacturing, in a situation where they were completely assimilated with the native population. Baekjeong had the identity of northern nomads in the early Joseon Dynasty, but they played a significant role in shaping present-day Korean people through their assimilation with the native inhabitants of the Korean Peninsula.
      번역하기

      Before the start of the Joseon Dynasty, nomads from various ethnicities entered the Korean Peninsula from the north. In the early Joseon Dynasty, the scattered inhabitants in the country, who were either the northern nomads or their descendants, began...

      Before the start of the Joseon Dynasty, nomads from various ethnicities entered the Korean Peninsula from the north. In the early Joseon Dynasty, the scattered inhabitants in the country, who were either the northern nomads or their descendants, began to be called Baekjeong. During the Joseon Dynasty, Baekjeong were primarily engaged in animal slaughter, leather manufacturing, crafting daily necessities from willow trees, and traveling to different villages to provide entertainment. To facilitate the integration of the Baekjeong with the natives, officials of the early Joseon Dynasty implemented several civilization policies, including allocating land for farming, registering them in the family register to encourage settlement, etc. Despite these efforts, Baekjeong were originally commoners but faced discrimination due to their status as outsiders in the early Joseon Dynasty, as they could not easily abandon their nomadic lifestyle. However, following the Imjinwaeran and the Byeongjahoran, the term Baekjeong underwent a change in meaning, evolving into a discriminatory label for individuals who no longer belonged to nomadic descent, but only worked in menial occupations such as slaughter and organic manufacturing, in a situation where they were completely assimilated with the native population. Baekjeong had the identity of northern nomads in the early Joseon Dynasty, but they played a significant role in shaping present-day Korean people through their assimilation with the native inhabitants of the Korean Peninsula.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중섭, "형평운동의 연구 동향과 자료" 한국인문사회과학회 46 (46): 29-62, 2022

      2 김중섭, "형평운동 연구 : 일제 침략기 백정의 사회사" 민영사 1994

      3 김중섭, "형평운동" 지식산업사 2001

      4 최유진, "현행 고등학교 『한국사』 교과서의 고려시대 ‘정호와 백정’ 서술 분석 및 논쟁 학습 방안" 서강대학교 교육대학원 2022

      5 이우성, "한인(閑人)백정의 신해석" 19 : 53-89, 1962

      6 오환일, "한말 백정에 대한 수탈과 백정층의 동향" 54 : 169-200, 1997

      7 김중섭, "한국의 백정과 일본의 피차별 부락민의 비교 연구" 한국인문사회과학회 38 (38): 87-114, 2014

      8 김중섭, "한국 형평사와 일본 수평사의 인권 증진 협력 활동 연구" 한국사회사학회 (84) : 133-175, 2009

      9 이영식, "초기 한국장로교회와 백정선교" 27 : 118-147, 2014

      10 이준구, "조선후기 백정의 존재양상 : 대구부 서상면 노하리 백정부락을 중심으로" 53 (53): 91-122, 1997

      1 김중섭, "형평운동의 연구 동향과 자료" 한국인문사회과학회 46 (46): 29-62, 2022

      2 김중섭, "형평운동 연구 : 일제 침략기 백정의 사회사" 민영사 1994

      3 김중섭, "형평운동" 지식산업사 2001

      4 최유진, "현행 고등학교 『한국사』 교과서의 고려시대 ‘정호와 백정’ 서술 분석 및 논쟁 학습 방안" 서강대학교 교육대학원 2022

      5 이우성, "한인(閑人)백정의 신해석" 19 : 53-89, 1962

      6 오환일, "한말 백정에 대한 수탈과 백정층의 동향" 54 : 169-200, 1997

      7 김중섭, "한국의 백정과 일본의 피차별 부락민의 비교 연구" 한국인문사회과학회 38 (38): 87-114, 2014

      8 김중섭, "한국 형평사와 일본 수평사의 인권 증진 협력 활동 연구" 한국사회사학회 (84) : 133-175, 2009

      9 이영식, "초기 한국장로교회와 백정선교" 27 : 118-147, 2014

      10 이준구, "조선후기 백정의 존재양상 : 대구부 서상면 노하리 백정부락을 중심으로" 53 (53): 91-122, 1997

      11 이준구, "조선후기 마을을 이루고 산 고리백정의존재양상: ≪대구부호구장적≫을 중심으로" 10 : 337-367, 2001

      12 이준구, "조선후기 경상도 단성지역 백정의 존재양상 : 단성장적을 중심으로" 7 : 63-101, 1998

      13 이성무, "조선초기 양반연구" 일조각 1980

      14 이준구, "조선전기 백정의 범죄상과 제민화 시책" 56 (56): 103-140, 1998

      15 김형석, "조선왕조실록과 리조실록으로 남북한협력 방안 제시" 26 (26): 5-21, 2018

      16 "조선왕조실록"

      17 이준구, "조선시대 백정의 전신 양수척·재인·화척·달달 : 그 내력과 삶의 모습을 중심으로" 9 : 1-31, 2000

      18 김중섭, "조선 전기 백정 정책과 사회적 지위-통합, 배제, 통제의 삼중주-" 조선시대사학회 (68) : 5-40, 2014

      19 박종성, "조선 백정의 사회적 불만과 정치화" 16 : 177-226, 2003

      20 노명호, "전시과체제하의 백정 농민층의 토지소유 : 토지상속제와 관련된 검토를 중심으로" 23 : 193-213, 1990

      21 설기환 ; 박경란 ; 박명혜 ; 유석호, "우리나라 다문화 현상의 효시로 본 백정신분 해방운동의 복합적 요인에 대한 연구"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6 (16): 305-312, 2018

      22 김난옥, "왜 고려의 양인들은 백정이라고 불렸나?" 26 : 138-145, 2006

      23 강만길, "선초(鮮初) 백정고(白丁考)" 18 : 491-526, 1964

      24 송기호, "백정과 광대" 55 (55): 87-92, 2007

      25 이희근, "백정 : 외면당한 역사의 진실" 책밭 2013

      26 이준구, "대한제국기 屠漢(白丁)의 戶口 양상과 사회·경제적 처지" 대구사학회 92 : 193-225, 2008

      27 "네이버 지식백과"

      28 신종한, "근대 신분제도의 변동과 일상생활의 재편 -형평운동과 백정들의 일상-" 동양학연구원 (47) : 209-229, 2010

      29 손진철, "교양 단상 : 백정" 51 (51): 114-116, 2002

      30 김현라, "고려후기 하층신분 연구" 부산대학교 대학원 2006

      31 유창규, "고려의 백정 농민" 11 : 227-250, 1997

      32 유선영, "고려시대 백정에 대한 재검토" 동아대학교 대학원 2001

      33 진규호, "고려시대 농민의 사회경제적 성격에 관한 연구" 12 (12): 175-275, 1975

      34 문철영, "고려말 조선초 백정의 신분과 차역" 26 : 59-90, 1991

      35 김동진, "朝鮮前期 白丁에 대한 齊民化 政策의 成果" 한국역사민속학회 (29) : 69-106, 2009

      36 한희숙, "朝鮮 太宗ㆍ世宗代 白丁의 생활상과 도적 활동" 고려사학회 (6) : 271-305, 1999

      37 최영성, "日帝時期의 衡平運動과 自由主義 - ‘신분 해방운동’의 성격이 지닌 의미를 중심으로" 한국철학사연구회 (19) : 451-475, 2006

      38 송지혜, "『조선왕조실록』을 어떻게 읽을 것인가 :실록의 규범적 이상에 대한 고찰" 서울대학교대학원 2019

      39 한용진, "『조선왕조실록』에 나타난 교육 관련 용어 분석" 민족문화연구원 (74) : 357-380, 2017

      40 김중섭, "‘조선시대 백정’의 기원에 대한 역사사회학적 고찰" 국학연구원 (164) : 139-161, 2013

      41 오치훈, "2015 개정 고등학교 한국사 교과서 내 ‘정호와 백정’ 학습방안" 고려사학회 (84) : 251-274, 2021

      42 박세경, "1920년대 朝鮮과 日本의 身分解放運動 - 衡平社와 水平社를 중심으로 -" 한국일본근대학회 (23) : 123-136, 2009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