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댐-보 최적 연계운영을 통한 용수공급능력 평가에 관한 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47347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일반적으로 수계의 용수공급능력을 평가하기 위해서는 수요량을 단계적으로 증가시키며 용수부족 여부를 검토하고 그 결과에 따라 수요량을 조정하는 시행착오법을 사용한다. 이것은 시뮬레이션 모형 뿐 아니라 최적화 모형의 경우에서도 마찬가지다. 그러나 이 같은 시행착오법은 수차례의 최적화를 반복하는 번거로움을 수반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물 부족이 발생하지 않은 최대 용수공급능력을 보다 쉽게 찾을 수 있도록 2단계의 목표계획기반 최적화 모형을 제시하였다. 즉, 제 1단계에서는 제시된 모형을 유입량 정보가 정확하다는 가정아래 최대 용수공급능력을 산정한다. 그리고 제 2단계에서는 실제 용수공급 상황에서는 미래 유입량에 대한 정보가 없는 점을 고려하여 최대 갈수기간에 한해 실시간 모의운영을 통하여 용수공급능력을 산정한다. 이 방법을 다기능 보가 신설되어 기존 수문환경과 차이점을 보이는 금강 수계에 적용하고, 완전한 정보가 있는 경우와 그렇지 않은 경우의 결과를 비교함으로써 유입량 정보가 용수공급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이해하고 평가할 수 있었다.
      번역하기

      일반적으로 수계의 용수공급능력을 평가하기 위해서는 수요량을 단계적으로 증가시키며 용수부족 여부를 검토하고 그 결과에 따라 수요량을 조정하는 시행착오법을 사용한다. 이것은 시뮬...

      일반적으로 수계의 용수공급능력을 평가하기 위해서는 수요량을 단계적으로 증가시키며 용수부족 여부를 검토하고 그 결과에 따라 수요량을 조정하는 시행착오법을 사용한다. 이것은 시뮬레이션 모형 뿐 아니라 최적화 모형의 경우에서도 마찬가지다. 그러나 이 같은 시행착오법은 수차례의 최적화를 반복하는 번거로움을 수반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물 부족이 발생하지 않은 최대 용수공급능력을 보다 쉽게 찾을 수 있도록 2단계의 목표계획기반 최적화 모형을 제시하였다. 즉, 제 1단계에서는 제시된 모형을 유입량 정보가 정확하다는 가정아래 최대 용수공급능력을 산정한다. 그리고 제 2단계에서는 실제 용수공급 상황에서는 미래 유입량에 대한 정보가 없는 점을 고려하여 최대 갈수기간에 한해 실시간 모의운영을 통하여 용수공급능력을 산정한다. 이 방법을 다기능 보가 신설되어 기존 수문환경과 차이점을 보이는 금강 수계에 적용하고, 완전한 정보가 있는 경우와 그렇지 않은 경우의 결과를 비교함으로써 유입량 정보가 용수공급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이해하고 평가할 수 있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When we evaluate the water supply capacity of a river basin, it is a common practice to gradually increase the water demand and check if the water demands are met. This practice is not only used in the simulation approach, but also in the optimization approach. However, this trial and error approach is a tedious task. Hence, we propose a two-phase method. In the first phase, by assuming that the decision maker has complete information on inflow data, we use a goal programming model that can generate the maximum water supply capacity at one time. In the second phase, we simulate the real-time operation for the critical period by utilizing the water supply capacity given by the goal programming model under the condition that there is no foresight of inflow. We applied the two-phase method to the Geum-River basin, where multi-purpose weirs were newly constructed. By comparing the results of the goal programming model with those of the real-time simulation model we could comprehend and estimate the effect of perfect inflow data on the water supply capacity.
      번역하기

      When we evaluate the water supply capacity of a river basin, it is a common practice to gradually increase the water demand and check if the water demands are met. This practice is not only used in the simulation approach, but also in the optimization...

      When we evaluate the water supply capacity of a river basin, it is a common practice to gradually increase the water demand and check if the water demands are met. This practice is not only used in the simulation approach, but also in the optimization approach. However, this trial and error approach is a tedious task. Hence, we propose a two-phase method. In the first phase, by assuming that the decision maker has complete information on inflow data, we use a goal programming model that can generate the maximum water supply capacity at one time. In the second phase, we simulate the real-time operation for the critical period by utilizing the water supply capacity given by the goal programming model under the condition that there is no foresight of inflow. We applied the two-phase method to the Geum-River basin, where multi-purpose weirs were newly constructed. By comparing the results of the goal programming model with those of the real-time simulation model we could comprehend and estimate the effect of perfect inflow data on the water supply capacity.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