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브루너(J. Bruner)의 발견학습이론의 음악교육적 적용과 단계적 발견학습의 모델 = Application of J. Bruner's Discovery Learning Method in Music Education and a Stage Model for Discovery Learning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7652751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Various teaching/learning methods have been developed for cognitive learning. In the 1960s, Jerome Bruner developed a theory of cognitive and thinking growth that has had a propound effect on education. Bruner said that knowing is a process. He focused on the importance of understanding the structure of a subject being studied, the need for active learning as the basis for understanding, and the importance of reasoning in learning. Discovery learning, as proposed by Bruner, encourages students to actively use their intuition, imagination, and creativity. Teachers propose issues or problems and students gather data and observations to develop hypotheses, confirm or refine their hypotheses, and explain or prove their hypotheses. The method of discovery learning is not limited to such highly formalized subjects as mathematics and physics. Its application is important in various disciplines, including music education. Research regarding discovery learning and its conceptual approach in music education is continuing. The content for study in discovery learning has a large range, and various roles for the teacher/learner have been proposed. For success of discovery learning in music education, a stage model that has definite steps is needed with development of intentional instructor questions for each stag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multi-faceted. An understanding of J. Bruner's discovery learning method as applied to music education is developed with reflection on the meaning of discovery learning in music education. Study of the types of discovery learning and instructor questions for application in the steps of a music learning model are developed, and an effective stage model with specific content for discovery learning in music education is proposed. A stage model with 3 styles of discovery learning, including a guided discovery style, a convergent discovery style, and a divergent discovery style, is suggested for music teaching/learning. Each style is developed in relation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tyle, the teacher/learner relationship, decision making, the roles of the teacher and the learner, the style of the instructor questions, and the characteristics of music learning.
      번역하기

      Various teaching/learning methods have been developed for cognitive learning. In the 1960s, Jerome Bruner developed a theory of cognitive and thinking growth that has had a propound effect on education. Bruner said that knowing is a process. He focuse...

      Various teaching/learning methods have been developed for cognitive learning. In the 1960s, Jerome Bruner developed a theory of cognitive and thinking growth that has had a propound effect on education. Bruner said that knowing is a process. He focused on the importance of understanding the structure of a subject being studied, the need for active learning as the basis for understanding, and the importance of reasoning in learning. Discovery learning, as proposed by Bruner, encourages students to actively use their intuition, imagination, and creativity. Teachers propose issues or problems and students gather data and observations to develop hypotheses, confirm or refine their hypotheses, and explain or prove their hypotheses. The method of discovery learning is not limited to such highly formalized subjects as mathematics and physics. Its application is important in various disciplines, including music education. Research regarding discovery learning and its conceptual approach in music education is continuing. The content for study in discovery learning has a large range, and various roles for the teacher/learner have been proposed. For success of discovery learning in music education, a stage model that has definite steps is needed with development of intentional instructor questions for each stag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multi-faceted. An understanding of J. Bruner's discovery learning method as applied to music education is developed with reflection on the meaning of discovery learning in music education. Study of the types of discovery learning and instructor questions for application in the steps of a music learning model are developed, and an effective stage model with specific content for discovery learning in music education is proposed. A stage model with 3 styles of discovery learning, including a guided discovery style, a convergent discovery style, and a divergent discovery style, is suggested for music teaching/learning. Each style is developed in relation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tyle, the teacher/learner relationship, decision making, the roles of the teacher and the learner, the style of the instructor questions, and the characteristics of music learning.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학습을 통한 지적 능력의 발달은 인지심리학 분야에서 지속적으로 이루어진 연구 주제이다. 인지심리학자인 브루너(J. Bruner)의 지식의 구조론과 발견학습 아이디어는 오늘날까지 각 교과의 교육과정과 학습이론에 많은 영향을 끼치고 있다. 발견학습의 기본 성격은, 내용면에서는 ‘지식의 구조’를 중심으로 하는 학습이며, 방법면에서는 학습자의 ‘발견적인 절차’에 따른 학습이고, 목표면에서는 ‘탐구적인 사고방법의 형성’을 위한 학습자 중심의 학습이다. 탐구학습과 동일한 의미로 사용되는 발견학습의 아이디어는 음악교과에서도 학습자의 음악적 지식 체계의 구축과 음악적 사고방법의 형성을 위해 지속적으로 연구되어왔다.
      발견학습을 통해 학습자가 습득하여야 할 교과의 지식은 다양하다. 발견학습은 간단한 개념을 이해하는 내용에서부터 정보를 재구성하여 새로운 지식을 산출할 수 있는 내용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학습의 수준을 포함한다. 또한 능동적인 학습을 촉진시키기 위한 수업은 교사와 학습자에게 더욱 구체적이고 적극적이며 많은 역할을 요구한다. 이 과정에서 교사의 질문은 중요한 전략으로 사용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발견학습을 음악교과에 적용함에 있어, 3가지 유형의 발견학습(유도-수렴-확산 발견학습)으로 구분하여 단계적으로 제시하고, 각 유형에 적절한 교사의 질문을 구체화시켰다. 본 연구에 제시된 3가지 유형의 발견학습은 각각 일반적 특성, 교사와 학습자의 관계, 학습활동 의사결정권, 교사와 학습자의 역할, 교사의 질문, 음악학습의 내용․활동․평가 등에 관한 내용으로 구성되었다.
      번역하기

      학습을 통한 지적 능력의 발달은 인지심리학 분야에서 지속적으로 이루어진 연구 주제이다. 인지심리학자인 브루너(J. Bruner)의 지식의 구조론과 발견학습 아이디어는 오늘날까지 각 교과의 ...

      학습을 통한 지적 능력의 발달은 인지심리학 분야에서 지속적으로 이루어진 연구 주제이다. 인지심리학자인 브루너(J. Bruner)의 지식의 구조론과 발견학습 아이디어는 오늘날까지 각 교과의 교육과정과 학습이론에 많은 영향을 끼치고 있다. 발견학습의 기본 성격은, 내용면에서는 ‘지식의 구조’를 중심으로 하는 학습이며, 방법면에서는 학습자의 ‘발견적인 절차’에 따른 학습이고, 목표면에서는 ‘탐구적인 사고방법의 형성’을 위한 학습자 중심의 학습이다. 탐구학습과 동일한 의미로 사용되는 발견학습의 아이디어는 음악교과에서도 학습자의 음악적 지식 체계의 구축과 음악적 사고방법의 형성을 위해 지속적으로 연구되어왔다.
      발견학습을 통해 학습자가 습득하여야 할 교과의 지식은 다양하다. 발견학습은 간단한 개념을 이해하는 내용에서부터 정보를 재구성하여 새로운 지식을 산출할 수 있는 내용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학습의 수준을 포함한다. 또한 능동적인 학습을 촉진시키기 위한 수업은 교사와 학습자에게 더욱 구체적이고 적극적이며 많은 역할을 요구한다. 이 과정에서 교사의 질문은 중요한 전략으로 사용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발견학습을 음악교과에 적용함에 있어, 3가지 유형의 발견학습(유도-수렴-확산 발견학습)으로 구분하여 단계적으로 제시하고, 각 유형에 적절한 교사의 질문을 구체화시켰다. 본 연구에 제시된 3가지 유형의 발견학습은 각각 일반적 특성, 교사와 학습자의 관계, 학습활동 의사결정권, 교사와 학습자의 역할, 교사의 질문, 음악학습의 내용․활동․평가 등에 관한 내용으로 구성되었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I. 서 론
      • II. 발견학습이론과 음악교육
      • 1. 발견학습이론의 이해
      • 2. 발견학습의 음악교육적 적용
      • III. 발견학습과 교사 질문의 유형
      • I. 서 론
      • II. 발견학습이론과 음악교육
      • 1. 발견학습이론의 이해
      • 2. 발견학습의 음악교육적 적용
      • III. 발견학습과 교사 질문의 유형
      • 1. 발견학습의 유형
      • 2. 교사 질문의 유형
      • IV. 단계적 발견학습의 모델
      • 1. 유도발견학습과 음악학습
      • 2. 수렴발견학습과 음악학습
      • 3. 확산발견학습과 음악학습
      • V. 결 론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Borich,G.D, "효과적인 교수법" 아카데미프레스 2002

      2 Sotto,E, "학습과 교수에 대한 이해" 교육과학사 2003

      3 배병태, "초등학교 5학년 음악교육에서의 개념적 접근법에 관한 연구" 동아대학교 2000

      4 승윤희, "지식표상이론과 음악지식의 표상" 한국음악교육학회 27 (27): 129-154, 2004

      5 Gardner,H., "지능심리학" 시그마프레스 2006

      6 김주선, "음악적 개념 형성을 위한 창작 수업의 연구 및 적용" 한양대학교 2000

      7 김성희, "움직임 표현을 통한 음악개념학습 프로그램 개발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2001

      8 승윤희, "스펙트럼이론(Spectrum Theory)을 적용한 음악교수,학습 스펙트럼의 내용 개발" 교과교육연구소 12 (12): 161-182, 2008

      9 Driscoll,M.P, "수업설계를 위한 학습심리학" 교육과학사 2000

      10 유승연, "브루너의 발견학습을 기초로 한 음악과 교육과정에 관한 분석" 동아대학교 2004

      1 Borich,G.D, "효과적인 교수법" 아카데미프레스 2002

      2 Sotto,E, "학습과 교수에 대한 이해" 교육과학사 2003

      3 배병태, "초등학교 5학년 음악교육에서의 개념적 접근법에 관한 연구" 동아대학교 2000

      4 승윤희, "지식표상이론과 음악지식의 표상" 한국음악교육학회 27 (27): 129-154, 2004

      5 Gardner,H., "지능심리학" 시그마프레스 2006

      6 김주선, "음악적 개념 형성을 위한 창작 수업의 연구 및 적용" 한양대학교 2000

      7 김성희, "움직임 표현을 통한 음악개념학습 프로그램 개발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2001

      8 승윤희, "스펙트럼이론(Spectrum Theory)을 적용한 음악교수,학습 스펙트럼의 내용 개발" 교과교육연구소 12 (12): 161-182, 2008

      9 Driscoll,M.P, "수업설계를 위한 학습심리학" 교육과학사 2000

      10 유승연, "브루너의 발견학습을 기초로 한 음악과 교육과정에 관한 분석" 동아대학교 2004

      11 김창선, "브루너 발견학습 이론에 의한 음악교육 신장 방안 연구" 서원대학교 2002

      12 이종일, "교육적 질문하기" 교육과학사 2006

      13 박아청, "교육심리학의 이해" 교육과학사 2002

      14 권대훈, "교육심리학의 이론과 실제" 학지사 2006

      15 김남성, "교육심리학(증보판)" 교육과학사 1998

      16 Slavin,R.E, "교육심리학" 시그마프레스(주) 2004

      17 Ornstein, A. C., "교수전략" 아카데미프레스 2006

      18 Joyce, B, "교수모형" 아카데미프레스 2005

      19 변영계, "교수․학습이론의 이해(개정판)" 학지사 2005

      20 Gagne,R.M, "교수-학습이론" 학지사 1999

      21 Gredler,M.E, "교수-학습의 이론과 실제" 아카데미 2006

      22 조승제, "교과교육과 교수․학습 방법론" 양서원 2006

      23 송기주, "과학의 명제적․방법적 지식에 미치는 명시적․발견적 수업의 상대적 효과" 10 (10): 85-112, 1996

      24 이성호, "개정 교수방법의 탐구" 양서원 1999

      25 김경애, "개념적 접근법을 적용한 음악 창작 지도방안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2007

      26 이윤아, "개념적 접근법에 의한 7학년 음악과 수업 모형 연구" 단국대학교 2007

      27 Mosston, M., "The spectrum of teaching style" Longman 1990

      28 Bruner,J.S, "The process of education" Harvard University Press 1960

      29 Herrmann,N, "The creative brain" 25 (25): 275-295, 1991

      30 Bruner,J.S, "The act of discovery" 31 : 21-32, 1961

      31 Mosston, M., "Teaching physical education (5th ed.)" Benjamin Cummings 2002

      32 Rosenshine, B., "Systematic instruction. In The new handbook of research on music teaching and learning" Oxford University Press 299-314, 2002

      33 Reigeluth, C. M., "Instructional-design theories and models: A new paradigm of instructional theory" Lawrence Erlbaum Associates, Inc. 1999

      34 Newby,T.J., "Instructional technology for teaching and learning (2nd ed.)" Prentice-Hall, Inc 2000

      35 Bransford, J. D, "How people learn" National Academy Press 2000

      36 Goleman,D, "Emotional intelligence" Bantam Books 1995

      37 Sternberg,R.J, "Cognitive psychology (3rd ed.)" Wadsworth/Thomson Learning, Inc 2003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3-09 학회명변경 영문명 : Research Institute of Curriculum Instruction -> Research Institute of Curriculum & Instruction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4-01-09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Journal of Research in Curriculum Instruction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07 1.07 1.1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2 1.17 1.432 0.2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