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러시아어 자음무리 단순화 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8234898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자음무리 단순화 과정에서 탈락하는 자음은 유표성 서열이 낮은 경향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자음의 유표성 서열(markedness hierarchy)을 밝히는데 Archangeli (1984)에 의해 제시된 미명시이론(Underspe...

      자음무리 단순화 과정에서 탈락하는 자음은 유표성 서열이 낮은 경향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자음의 유표성 서열(markedness hierarchy)을 밝히는데 Archangeli (1984)에 의해 제시된 미명시이론(Underspecification Theory)을 적용하였다.
      그리고 러시아어 자음의 유표성 순위를 설정하기 위해 조음자 마디 미명시에 의한 유표성, 자질 값 미명시에 따른 자음의 유표성, 공명도에 따른 자음의 유표성등을 이용하였고 그 결과를 제약으로 만들어 최적성이론에 의해 자음무리 단순화를 분석하였다.
      조음자 마디 미명시에 의한 유표성 서열에서는 [+anterior] 자질을 가지는 무표적 설정음(Unmarked Coronal)인 (/ t /, / d /, / s /, / z /, /n/, / l / / r /, / c /, / ?/)를 가장 무표적인 음으로 도출하였다. 그리고, 자질 값 미명시에 따른 자음의 유표성 서열에서는 완전명시에서 명시된 13개의 자질 중 미명시 도표에서 전혀 명시되지 않은 / t /를 가장 무표적인 자음으로 도출하였다. 또한 공명도에 따른 자음의 유표성 서열에서는 가장 공명도가 낮은 무성폐쇄음(voiceless stop)과 파찰음(affricates) 즉, / p /, / t /, / k /, / c /, / ?/ 등이 가장 무표적인 자음으로 도출되었다.
      그리고 3자음 무리 단순화과정에서 나타나는 묵음화 현상은 CLUSTER [UPF], CLUSTER [UAF]등 2가지 제약이 최적형을 결정하는데 대부분 주도적인 역할을 하였고 *CCC, CLUSTER [OCP], CLUSTER [SONORITY]. MAX-IO 제약은 결정적인 역할을 하지 못한다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또한 чувство와 같은 4자음 무리, безмолвствовать와 같은 5자음 무리는 CLUSTER [UAF]+ 라는 추가적인 제약을 통해 최적형을 도출 할 수 있었다.
      향후에는 동일한 환경에서 묵음화되기도 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도 있는 자음무리들과 형태소 경계에서 묵음이 되는 자음 무리와 통시적인 자음무리 단순화과정에 대해 본 논문에서 도입한 3가지 자음 유표성 서열 결정 기준을 통해 분석해 보고자 한다. 또한 음절내 위치가 자음무리 단순화과정에 미치는 영향과 자음 유표성을 결정하는 추가적인 기준에 대해서도 지속적으로 연구하고자 한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요약
      • Ⅰ. 서론
      • Ⅱ. 자음의 유표성 서열
      • Ⅲ. 자음 무리 단순화
      • Ⅳ. 결론
      • 국문요약
      • Ⅰ. 서론
      • Ⅱ. 자음의 유표성 서열
      • Ⅲ. 자음 무리 단순화
      • Ⅳ. 결론
      • 참고문헌
      • РЕЗЮМЕ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안상철, "최적성이론의 이해" 한신문화사 2000

      2 안상철, "최적성이론의 언어분석" 한국문화사 2001

      3 강덕수, "최적성이론에 의한 러시아어 음절 구조 연구" 한국음운론학회 4 : 1998

      4 김신효, "최적성이론에 의한 공통슬라브어 자음무리 단순화 고찰" 한국 외국어대학교 러시아연구소 16 (16): 2000

      5 전상범, "최적성이론" 한신문화사 1997

      6 손형숙, "미명시이론의 음운론적의미" 한국언어학회 22 (22): 71-106, 1997

      7 손형숙, "미명시이론과 설정음의 음운적 표시" 언어과학회 13 : 91-122, 1996

      8 김신효, "미명시 이론에 의한 러시아어 기저분절음과 음운현상 연구" 한국외국어대학교 1999

      9 유승남, "러시아어 음운론에 있어서 미명세 이론의 의미" 한국노어노문학회 11 : 1999

      10 이명자, "러시아어 음운론" 청주대학교 출판부 2002

      1 안상철, "최적성이론의 이해" 한신문화사 2000

      2 안상철, "최적성이론의 언어분석" 한국문화사 2001

      3 강덕수, "최적성이론에 의한 러시아어 음절 구조 연구" 한국음운론학회 4 : 1998

      4 김신효, "최적성이론에 의한 공통슬라브어 자음무리 단순화 고찰" 한국 외국어대학교 러시아연구소 16 (16): 2000

      5 전상범, "최적성이론" 한신문화사 1997

      6 손형숙, "미명시이론의 음운론적의미" 한국언어학회 22 (22): 71-106, 1997

      7 손형숙, "미명시이론과 설정음의 음운적 표시" 언어과학회 13 : 91-122, 1996

      8 김신효, "미명시 이론에 의한 러시아어 기저분절음과 음운현상 연구" 한국외국어대학교 1999

      9 유승남, "러시아어 음운론에 있어서 미명세 이론의 의미" 한국노어노문학회 11 : 1999

      10 이명자, "러시아어 음운론" 청주대학교 출판부 2002

      11 강덕수, "러시아어 발음과 구조" 한국외국어대학교 출판부 2009

      12 강덕수, "러시아 언어학 연구의 방법과 문제" 한신문화사 1995

      13 강덕수, "노어 음성학" 진명출판사 1990

      14 А. Н. СССР., "Русская грамматика" Наука 1982

      15 Донэ. А., "К вопросу слогоделения русских слов с интервокальнымисочетаниями согласных" 40 : 257-278, 1997

      16 Archangeli. D., "Underspecification in Yawelmani Phonology and Morphology" MIT 1984

      17 Halle, M., "The Sound Pattern of Russian" Hague 1971

      18 Chomsky, N., "The Sound Pattern of English in : 영어의 음성체계" 한신문화사 1968

      19 Yip.MYip. M., "The Obligatory Contour Principle and Phonological Rules: A Loss of Identity" 19 : 65-100, 1988

      20 Padgett, J., "Stricture in Feature Geometry in : Dissertations in Linguistics" Center for the Study of Language and Information 1995

      21 Kenstowicz . M., "Phonology in Generative Grammar" Basil Blackwell 1994

      22 Prince, A., "Optimality Theory: Constraint Interaction in Generative Grammar" Rutgers University 1993

      23 McCarthy, J., "Faithfulness and Reduplicative Identity" Graduate Linguistics Student Association 18 : 249-384, 1995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1999-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16 0.16 0.1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2 0.19 0.374 0.0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