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귀음자가감방(當歸飮子加減方)과 외치방(外治方) 병용의 아토피 치료 기전을 규명하고자 NC/Nga 생쥐의 동물 병태 모델을 이용하여 다양한 면역 반응을 관찰하였던 바, 다음과 같은 결론을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1008693
김성훈 ; 김종한 ; 박수연 ; 최정화 ; Kim, Sung-Hun ; Kim, Jong-Han ; Park, Su-Yeon ; Choi, Jung-Hwa
2005
English
KCI등재
학술저널
27-49(23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당귀음자가감방(當歸飮子加減方)과 외치방(外治方) 병용의 아토피 치료 기전을 규명하고자 NC/Nga 생쥐의 동물 병태 모델을 이용하여 다양한 면역 반응을 관찰하였던 바, 다음과 같은 결론을 ...
당귀음자가감방(當歸飮子加減方)과 외치방(外治方) 병용의 아토피 치료 기전을 규명하고자 NC/Nga 생쥐의 동물 병태 모델을 이용하여 다양한 면역 반응을 관찰하였던 바,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NC/Nga 생쥐의 피부손상 정도 16주와 20부에 대조군에 비해 36.0%, 37.8% 감소하다. 2. NC/Nga 생쥐의 혈중(血中) IgE, IL-4, IL-5, IL-6, IgM, IgG1 및 IgG2a 수준은 대조군에 비하여 유의성 있게 감소하였고, IL-13 수준은 대조군에 비하여 감소하였으나 유의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반면, $IFN-{\gamma}$ 수준은 유의성 있게 증가하다. 3. NC/Nga 생쥐의 비장 무게는 대조군에 비하여 유의성있게 감소하였다. 4. NC/Nga 생쥐의 lymph node에서 B/f ratio는 증가된 대조군에 비하여 감소하였으며, $CD4^+$와 $CD8^+$ 세포 발현은 대조군에 비하여 증가하였고, $CD4^+$는 유의성있는 감소를, $CD8^+$는 유의성 없는 약간의 증가를 나타내었다. $CD69^+$, CD11a 세포 발현은 대조군에 비하여 유의성있게 감소하였다. 5. NC/Nga 생쥐의 피부조직배양에서 IL-4 IL-5, CCR3 유전자 발현은 대조군에 비하여 현저히 감소하였고, IL-6, IL-13, $CD69^+/CD3{\varepsilon}^+,{\;}CD19^+/CD44^+$ 발현량은 유의성있게 감소하였으며, $IFN-{\gamma}$의 유전자 발현은 대조군에 비하여 증가하였다. 6. NC/Nga 생쥐 귀, 목의 피부 조직 변화에서는 표피와 진피의 염증 정도와 침윤된 염증 면역세포 등이 대조군에 비하여 현저하게 감소되었다. 7. Lymphokine assay에서 IL-4 발현량은 대조군에 비하여 유의성 있게 감소(減少)하였고, $IFN-{\gamma}$의 발현량은 유의성 있게 증가하였다.
구창(口瘡)의 외용약(外用藥)으로 다용(多用)되는 황백(黃柏), 청대(靑黛), 백반(白礬) 및 오배자(五倍子)의 항염작용(抗炎作用)에 관한 연구(硏究)
백지(白芷)의 ${\alpha}-Melanocyte$ Stimulating Hormone에 의해 유도된 Bl6 흑색종 세포의 멜라닌 형성에 미치는 영향
양혈사물탕가미방(凉血四物湯加味方)이 Allergy성(性) 접촉(接觸) 피부염(皮膚炎)에 미치는 영향(影響)
이기거풍산(理氣祛風散)이 백서(白鼠)의 신경병리성(神經病理性) 동통(疼痛) 억제(抑制) 및 c-Fos 단백(蛋白) 발현(發顯)에 미치는 영향(影響)