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리드리히 쉴러의 "미학편지"는 지금까지 거의 전적으로 정치적인 시각에서 해석되어 왔다. "미학편지"의 이같은 과도한 정치적 해석은 독일이 프랑스처럼 자신의 역사에서 혁명을 보여주...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G3745017
-
2016년
Korean
한국연구재단(NRF)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프리드리히 쉴러의 "미학편지"는 지금까지 거의 전적으로 정치적인 시각에서 해석되어 왔다. "미학편지"의 이같은 과도한 정치적 해석은 독일이 프랑스처럼 자신의 역사에서 혁명을 보여주...
프리드리히 쉴러의 "미학편지"는 지금까지 거의 전적으로 정치적인 시각에서 해석되어 왔다. "미학편지"의 이같은 과도한 정치적 해석은 독일이 프랑스처럼 자신의 역사에서 혁명을 보여주지 못하므로 그에 대한 보상으로 정치 담론에 대한 수요가 많아진데서 비롯한다. 물론 "미학편지"는 자체적으로 그런 정치적 내용을 내포하고 있긴 하다. 그러나 "미학편지"의 논리전개 전체를 예술의 정치적 기능에 대한 설명과 합리화로 이해할 때 그같은 정치적 관점은 커다란 모순을 보여준다. 무엇보다 편지 초반부에서 "자연인간"이 "이성인간"으로 변화되는 과도기인 "중간상태"는 편지 후반부에서 "미적상태"로 바뀌면서 아무런 정치적 기능을 수행하지 못하는 제로상태로 드러난다. 그 외에도 예술에 의해 가능해진 중간단계인 "미적 인간" 혹은 "미적 국가"는 정치 상황의 개선을 위한 수단으로 설명되었지만 나중에는 최종목적이 된다. 이같은 모순들은 - 보르히마이어가 언급하고 있듯이 - 쉴러의 "미학편지"가 오랜 기간을 두고 쓰여졌기 때문에 "작업의 진행상황" 전체를 조망하지 못한데서 비롯한 것이 아니다. 이것들이 정치적 해석시각 자체를 문제시 하는 부분들이다. 이 논문은 "미학편지"의 정치적 내용들이 진지하게 의도된 것이 아니라 이 편지의 핵심인 - 예술이 가능하게 하는 - 인간의 전인성 내지 총체성이 작용할 수 있는 사회적 의미영역 중의 하나로 도입된 것이며, 오직 전인성과 총체성의 유의미성을 수사적으로 보여주는 부분임을 밝혔다. 이때 인간의 전인성과 총체성이라는 개념은 18세기후반에 사회가 변화하자 쉴러가 이 변화한 사회환경에서 예술의 새로운 정체성을 "솔직하고 독립적인 가상의 미적 유희"로 설정하고 이것을 설명하는 개념일 뿐이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aesthetic letters" of Schiller have been interpreted almost exclusively from the political perspective. This political excess is due to the fact that Germany in its history showed little revolutions, such as France, and accordingly had a great ne...
"The aesthetic letters" of Schiller have been interpreted almost exclusively from the political perspective. This political excess is due to the fact that Germany in its history showed little revolutions, such as France, and accordingly had a great need for political discourse, which hopefully can replace the revolution. It is certain that "the ästethetischen letters" have such a political aspect in itself. But this aspect becomes problematic because of such contradictions which come out, when the argumentation of "the aesthetic letters" is regarded as justification of the political function of art. For example, "the middle state", which should pave the transition from the natural man to reason man later is changed to "the aesthetic state" in the 21st letter, which in practical terms has no political function, so nothing to do with the true sense of "the middle state". In addition, the state, which art promises the mankind in order to improve the political situation, ist exposed as not the transition, but the goal, the final state, in which the feeling and reason unite. These contradictions can not be simply dismissed with the notion of "process in work" as Borchmeyer. They drag the seriousness of the political argumentation strongly into doubt. From this man must conclude ra